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旣 이미 기 - 1

1. 기 (旣) [기]

한자: 旣(이미 기)

‘그것이 이미 된’ 또는 ‘그것을 이미 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용례:

  • 기구축.
  • 기수강.
  • 기출석.

2. 기간 (旣刊) [기간]

한자: 旣(이미 기), 刊(새길 간)

책 따위를 이미 간행함. 또는 그런 간행물.

용례:

  • 기간 도서.
  • 기간 잡지.

3. 기간지 (旣墾地) [기간지]

한자: 旣(이미 기), 墾(개간할 간), 地(따 지)

이미 개간하여 놓은 땅.

4. 기간하다 (旣墾하다) [기간하다]

한자: 旣(이미 기), 墾(개간할 간)

이미 개간하다.

용례:

작년에 기간한 땅에는 포도가 탐스럽게 자라고 있다.

5. 기결 (旣決) [기결]

한자: 旣(이미 기), 決(결단할 결)

이미 결정함.

용례:

  • 기결 서류.
  • 기결 안건.
  • 미결 말이오, 기결 말이오? 되묻는 그의 얼굴엔 표정이 없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미결에서 기결이 되면서부터 취사장에서 잔반이 한 깡통 온 것이다.≪이정환, 샛강≫

6. 기결감 (旣決監) [기결감]

한자: 旣(이미 기), 決(결단할 결), 監(볼 감)

수형자를 가두어 두는 곳.(기결사(旣決舍))

7. 기결수 (旣決囚) [기결쑤]

한자: 旣(이미 기), 決(결단할 결), 囚(가둘 수)

죄인으로서 형벌을 받았거나 받고 있는 사람.

용례:

구형대로 사형 선고가 내려지면 그날로 사각형의 빨간 딱지는 삼각형으로 바뀌며 미결수에서 기결수로의 첫 관문을 통과하게 될 것이다.≪이호철, 문≫

8. 기결안 (旣決案) [기겨란]

한자: 旣(이미 기), 決(결단할 결), 案(책상 안:)

이미 결정된 안건.

9. 기경지 (旣耕地) [기경지]

한자: 旣(이미 기), 耕(밭갈[犁田] 경), 地(따 지)

땅을 일구어서 농사를 짓고 있는 논과 밭.

10. 기기 (旣記) [기기]

한자: 旣(이미 기), 記(기록할 기)

이미 기록함.

11. 기득 (旣得) [기득]

한자: 旣(이미 기), 得(얻을 득)

이미 얻어서 차지함.

용례:

  • 정치권과 언론은 관료 사회가 조그마한 변화마저도 자신들의 기득 이권을 잃어버릴까 봐 두려워하고 있다고 질타한다.
  • 그들은 개혁을 주도하기는 고사하고 기득 이익을 대변하는 데 여념이 없었다.

12. 기득권 (旣得權) [기득꿘]

한자: 旣(이미 기), 得(얻을 득), 權(권세 권)

특정한 자연인, 법인, 국가가 정당한 절차를 밟아 이미 차지한 권리.

용례:

  • 기득권 계층.
  • 기득권을 지키다.
  • 기득권을 포기하다.
  • 기득권을 갖고 있다.
  • 그가 편집국장 자리에 붙어 있을 수 있는 것은 일제 시대부터의 신문인이라는 관록에 의해서였는데, 그 기득권이 요즈음 위협을 받고 있었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13. 기득권층 (旣得權層) [기득꿘층]

한자: 旣(이미 기), 得(얻을 득), 權(권세 권), 層(층[層階] 층)

한 사회에서 여러 가지 권리나 혜택을 이미 누리고 있는 계층.

용례:

  • 개혁을 위해서는 기득권층의 양보와 협조가 필요하다.
  • 이를 테면 체제를 비판하거나 혁명을 부르짖지 않으면 작가는 작가도 아니고, 기득권층의 악을 폭로하고 민중의 혁명열을 고취하지 못하는 예술가는 예술가도 아니라는 식이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4. 기망 (旣望) [기망]

한자: 旣(이미 기), 望(바랄 망:)

음력으로 매달 열엿샛날.

용례:

  • 팔월 기망.
  • 불덩이는 기망의 달이 떠올라도 꺼지지 않고 더욱 투명한 주황색으로 타고 있었다.≪한무숙, 만남≫

15. 기발 (旣發) [기발]

한자: 旣(이미 기), 發(필 발)

어떤 일이 이미 일어남.

16. 기보하다 (旣報하다) [기보하다]

한자: 旣(이미 기), 報(갚을/알릴 보:)

이미 알리다.

용례:

그들에게 그 사실을 기보하였는데도 아무 반응이 없다.

17. 기불 (旣拂) [기불]

한자: 旣(이미 기), 拂(떨칠 불)

이미 지불함. 또는 이미 끝난 지불.

18. 기불금 (旣拂金) [기불금]

한자: 旣(이미 기), 拂(떨칠 불), 金(쇠 금)

이미 지불한 돈.

19. 기설 (旣設) [기설]

한자: 旣(이미 기), 設(베풀 설)

이미 베풀거나 만들어 놓음.

용례:

  • 기설 건물.
  • 일본의 대륙 침략의 당면 목표는 기설 철로의 점유와 신철도의 부설권 획득에 있었다.≪안수길, 북간도≫

20. 기성 (旣成) [기성]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1」이미 이루어짐. 또는 그런 것.
「2」신주를 만듦. 또는 그런 일.

용례:

  • 「1」기성 체제.
  • 「1」젊은이들은 기성의 문화를 거부했다.
  • 「1」덮어놓고 기성은 물러가라 하는 구호는 여기서는 통하지 않소!≪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21. 기성곡 (旣成曲) [기성곡]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曲(굽을 곡)

이미 널리 알려진 민요 따위의 음악이나, 작곡가가 창작한 곡을 통틀어 이르는 말.

22. 기성관념 (旣成觀念) [기성관념]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觀(볼 관), 念(생각 념:)

이미 굳어져 버린 생각.

용례:

  • 기성관념을 깨다.
  • 기성관념에 얽매이다.
  • 기성관념에서 벗어나다.
  • 수건을 꺼내 코와 입을 막고 숨을 쉬지 못하면서도, 그러한 경험과 내 머릿속에 있는 금수강산의 기성관념과는 끝끝내 연결되지 않은 채….≪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23. 기성도덕 (旣成道德) [기성도:덕]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道(길 도:), 德(큰 덕)

현실적으로 사회에 널리 통용되고 있는 도덕적 습관이나 판단.

24. 기성문단 (旣成文壇) [기성문단]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文(글월 문), 壇(단 단)

이미 형성되어 있는 문인들의 사회.

25. 기성복 (旣成服) [기성복]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服(옷 복)

특정한 사람을 위해 맞춘 것이 아니라, 일정한 기준 치수에 따라 미리 여러 벌을 지어 놓고 파는 옷.

용례:

양복을 맞추려면 보름 이상이 걸리지만 기성복은 바로 사서 입을 수 있다.

26. 기성사실 (旣成事實) [기성사:실]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事(일 사:), 實(열매 실)

이미 이루어진 사실.

용례:

기성사실을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대단히 소극적인 태도임에 틀림없다.≪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27. 기성세대 (旣成世代) [기성세:대]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世(인간 세:), 代(대신할 대:)

현재 사회를 이끌어 가는 나이가 든 세대.

용례:

  • 기성세대의 향수를 자극하는 옛 노래들이 다시 유행한다.
  • 바쁜 기성세대는 청소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28. 기성세력 (旣成勢力) [기성세:력]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勢(형세 세:), 力(힘 력)

이미 이루어진 권세와 힘. 또는 그런 것을 가진 집단.

용례:

지주와 자본가는 기성세력에 야합하여, 그들의 부력을 테러 단체에까지 사용하였다.≪안회남, 폭풍의 역사≫

29. 기성인 (旣成人) [기성인]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人(사람 인)

현재 사회를 이끌어 가는 나이가 든 사람.

용례:

  • 기성인의 경직된 사고.
  • 기성인들의 인식이 바뀌다.
  • 자넨 문학을 하는 청년이고, 또 어느 정도는 기성인의 대우를 받고 있다지?≪이동하, 우울한 귀향≫

30. 기성종교 (旣成宗敎) [기성종교]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宗(마루 종), 敎(가르칠 교:)

이미 성립되어 존재하는 종교.

용례:

신흥 종교와 기성 종교의 대립.

31. 기성품 (旣成品) [기성품]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品(물건 품:)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물품. 또는 미리 일정한 규격대로 만들어 놓고 파는 물품.

용례:

오늘의 도회인은 다른 사람들이 생산한 기성품만을 소비하는 까닭으로 심지어는 그들의 사무와 쾌락까지도….≪김진섭, 인생 예찬≫

32. 기성학자 (旣成學者) [기성학짜]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學(배울 학), 者(놈 자)

이미 학자로 활동을 하고 있는 사람.

용례:

대외 문화 활동을 총장이 통제한다는 것은 기성학자가 적은 조선 현실로 보아 우수한 학자 양성을 저해한다.≪이병주, 지리산≫

33. 기성화 (旣成靴) [기성화]

한자: 旣(이미 기), 成(이룰 성), 靴(신[履, 鞋] 화)

주문을 받지 않고 일정한 기준 치수에 맞추어 미리 지어 놓고 파는 구두.

용례:

바닥에서 물이 올라오는 기성화를 신고 다니는 나의 초라한 외양을 생각할 때….≪김원일, 어둠의 축제≫

34. 기수 (旣遂) [기수]

한자: 旣(이미 기), 遂(드디어 수)

「1」이미 일을 끝냄.
「2」어떠한 행위가 일정한 범죄의 구성 요건으로 완전히 성립하는 일.

35. 기수범 (旣遂犯) [기수범]

한자: 旣(이미 기), 遂(드디어 수), 犯(범할 범:)

범죄의 구성 요건을 완전히 갖추고 실현한 범죄. 또는 그런 범죄를 저지른 사람.

36. 기수죄 (旣遂罪) [기수쬐]

한자: 旣(이미 기), 遂(드디어 수), 罪(허물 죄:)

범죄 행위의 착수·실행을 거쳐 구성 요건을 완전히 갖춘 범죄.

37. 기술 (旣述) [기술]

한자: 旣(이미 기), 述(펼 술)

이미 앞서 기술함.

38. 기시감 (旣視感) [기시감]

한자: 旣(이미 기), 視(볼 시:), 感(느낄 감:)

한 번도 경험한 일이 없는 상황이나 장면이 언제, 어디에선가 이미 경험한 것처럼 친숙하게 느껴지는 일.

용례:

나는 대본을 들여다볼 때마다 계속해서 어떤 묘한 기시감에서 헤어날 수가 없었다.≪안정효, 할리우드 키드의 생애≫

39. 기식답 (旣蝕畓) [기식땁]

한자: 旣(이미 기), 蝕(좀먹을 식), 畓(논 답)

이미 흐르는 물의 침식을 받은 논.

40. 기식전 (旣蝕田) [기식쩐]

한자: 旣(이미 기), 蝕(좀먹을 식), 田(밭 전)

이미 흐르는 물의 침식을 받은 밭.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旣 이미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旣 이미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