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기약 (旣約) [기약]
한자: 旣(이미 기), 約(맺을 약)
「1」이미 해 놓은 약속.
「2」더 이상 약분이 안 됨.
「3」더 이상 인수 분해가 안 됨.
42. 기약분수 (旣約分數) [기약뿐수]
한자: 旣(이미 기), 約(맺을 약), 分(나눌 분(:)), 數(셈 수:)
분모와 분자 사이의 공약수가 1뿐이어서 더 이상 약분되지 않는 분수.
43. 기왕 (旣往) [기왕]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Ⅰ]이미 지나간 이전.
[Ⅱ]이미 그렇게 된 바에.
용례:
- [Ⅰ]기왕의 일들은 빨리 잊어버리고 새로운 각오로 다시 시작해 보자.
- [Ⅰ]기왕의 잘잘못은 따지지 않기로 하겠다.
- [Ⅰ]그 사람은 성품으로 보나 기왕의 행동으로 보나 절대로 거짓말할 사람이 아니다.
- [Ⅰ]조 원장의 처사에 불만을 품은 직원들의 아이들은 기왕부터 벌써 섬을 떠나가고 없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Ⅱ]기왕 말이 나왔으니까 하는 얘긴데….
- [Ⅱ]기왕 해 놓은 밥이니 우리끼리라도 먹자.
- [Ⅱ]기왕 말이 나온 김에 이 자리에서 흉금을 모두 털어놓는 게 좋겠군. ≪윤흥길, 제식 훈련 변천 약사≫
44. 기왕력 (旣往歷) [기왕녁]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歷(지날 력)
과거에 앓았던 질병이나 상해의 종류 또는 경중(輕重)과, 유전·선천병의 유무 따위에 관한 정보.
45. 기왕불구 (旣往不咎) [기왕불구]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不(아닐 불), 咎(허물 구)
이미 지나간 일은 탓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46. 기왕사 (旣往事) [기왕사]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事(일 사:)
이왕에 지나간 일.
47. 기왕에 (旣往에) [기왕에]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이미 그렇게 된 바에.
용례:
- 기왕에 왔으니까 만나나 볼래?
- 기왕에 시작한 일이니까 끝까지 해 보자.
- 에이 형님도 원! 기왕에 늦으시겠거든 내일 아침에나 오지, 원.≪문순태, 타오르는 강≫
- 기왕에 그렇게 된 일을 가지고 왁자지껄 떠들기만 하면 무슨 소용이 있나?≪심훈, 상록수≫
48. 기왕이면 (旣往이면) [기왕이면]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어차피 그렇게 된 바에는.
용례:
- 기왕이면 국수 대신에 밥을 먹자.
- 기왕이면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이 좋지 않겠어?
- 졸업 선물이라서 기왕이면 기억에 남는 것을 해 주고 싶어.
49. 기왕증 (旣往症) [기왕쯩]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症(증세 증(:))
환자가 지금까지 경험해 본 병.
50. 기왕지사 (旣往之事) [기왕지사]
한자: 旣(이미 기), 往(갈 왕:), 之(갈 지), 事(일 사:)
이왕에 지나간 일.
용례:
- 기왕지사는 되도록 빨리 잊어버리는 것이 좋을 때도 있어.
- 기왕지사는 기왕지사고 이제부터라도 잘하도록 하자.
- 기왕지사 죽은 사람은 죽은 사람이고 산 사람은 살아야 될 게 아니겠니?
- 할 말이야 없네만 그렇다고 해서 기왕지사를 후회하고 잘못이라 말하고 싶지는 않아.≪박경리, 토지≫
- 일이야 기왕지사 그렇게 된 건데 질질 짜면서 되씹는다고 뭐가 달라지기라도 한답디까.≪한수산, 유민≫
- 아줌마가 얼굴을 디밀고 코를 훌쩍이면서 아침 먹을래, 점심 먹을래, 기왕지사 더 누웠다가 저녁에나 먹을래 하고 웃었다. ≪이동하, 우울한 귀향≫
51. 기위 (旣爲) [기위]
한자: 旣(이미 기), 爲(하/할 위(:))
다 끝나거나 지난 일을 이를 때 쓰는 말. ‘벌써’, ‘앞서’의 뜻을 나타낸다.
용례:
- 기위 예까지 따라왔은즉 며칠 안 남은 혼인 구경이라도 좀 하고 가자.≪이기영, 봄≫
- 병화는 기위 내놓은 발길이면야 갈 데까지 가고야 말아야 하겠다고 생각하였다.≪염상섭, 삼대≫
- 기위 당한 일은 당한 일이고, 앞으로 살아갈 걱정이나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하근찬, 야호≫
52. 기유 (旣有) [기유]
한자: 旣(이미 기), 有(있을 유:)
이미 있음.
용례:
이것은 무슨 기유의 숙어도 아닌 그야말로 완전히 새로 지어진 말이다.
53. 기이 (旣已) [기이]
한자: 旣(이미 기), 已(이미 이:)
다 끝나거나 지난 일을 이를 때 쓰는 말. ‘벌써’, ‘앞서’의 뜻을 나타낸다.
54. 기장 (旣張) [기장]
한자: 旣(이미 기), 張(베풀 장)
이미 펴 놓음.
55. 기장지무 (旣張之舞) [기장지무]
한자: 旣(이미 기), 張(베풀 장), 之(갈 지), 舞(춤출 무:)
이미 시작하여 중간에 그만둘 수 없는 것을 이르는 말.
용례:
이제는 가위 기장지무가 되었은즉 성패 간에 또 해 볼 밖에 없다.≪이기영, 신개지≫
56. 기재 (旣裁) [기재]
한자: 旣(이미 기), 裁(옷마를 재)
이미 결정함.
57. 기정 (旣定) [기정]
한자: 旣(이미 기), 定(정할 정:)
이미 결정되어 있음.
용례:
기정의 방침대로 업무를 처리하면 된다.
58. 기정방침 (旣定方針) [기정방침]
한자: 旣(이미 기), 定(정할 정:), 方(모[棱] 방), 針(바늘 침(:))
이미 결정되어 있는 방침.
용례:
- 일부의 반대가 있지만 기정방침에는 변함이 없다.
- 사원들의 생각과는 달리 회사는 회사로서의 기정방침이 서 있어서 어쩔 수 없는 문제였다.
59. 기정비 (旣定費) [기정비]
한자: 旣(이미 기), 定(정할 정:), 費(쓸 비:)
재정에서 헌법, 법률, 계약 따위에 의하여 일정 금액으로 확정되어 있으면서 국가가 지출할 의무가 있는 경비. 국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는다.
60. 기정사실 (旣定事實) [기정사:실]
한자: 旣(이미 기), 定(정할 정:), 事(일 사:), 實(열매 실)
이미 결정되어 있는 사실.
용례:
- 가족들은 노모의 죽음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고 장례 절차를 논의했다.
- 인은 이미 원장이 섬을 떠나는 것을 바꿀 수 없는 기정사실로 못 박고 있는 투였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61. 기제 (旣製) [기제]
한자: 旣(이미 기), 製(지을 제:)
주문에 의하여 만드는 것이 아니고 미리 상품으로 만들어져 있는 것.
62. 기제 (旣濟) [기제]
한자: 旣(이미 기), 濟(건널 제:)
「1」일이 이미 처리되어 끝남.
「2」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감괘(坎卦)와 이괘(離卦)가 거듭된 것으로 물이 불 위에 있음을 상징한다.
63. 기제괘 (旣濟卦) [기제괘]
한자: 旣(이미 기), 濟(건널 제:), 卦(점괘 괘)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감괘(坎卦)와 이괘(離卦)가 거듭된 것으로 물이 불 위에 있음을 상징한다.
64. 기제품 (旣製品) [기제품]
한자: 旣(이미 기), 製(지을 제:), 品(물건 품:)
이미 만들어져 있는 물품. 또는 미리 일정한 규격대로 만들어 놓고 파는 물품.
65. 기존 (旣存) [기존]
한자: 旣(이미 기), 存(있을 존)
이미 존재함.
용례:
- 기존의 세력.
- 기존 질서를 무너뜨릴 획기적 이론.
- 기존 방침을 따르다.
- 새 시설을 지을 예산이 없으니 기존 시설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 기존의 구리 전선을 새로 개발한 신소재의 전선으로 교체하였다.
- 신제품은 기존 제품보다 훨씬 싸면서도 성능이 월등히 좋다.
- 이미 나의 정신에 배어 버린 정치 불신은 종내 기존의 편견을 포기하려 들지 않았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66. 기존하다 (旣存하다) [기존하다]
한자: 旣(이미 기), 存(있을 존)
이미 존재하다.
용례:
신설 연구소는 기존하는 여타의 연구소와 유사 단체들을 통합하여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이다.
67. 기지 (旣知) [기지]
한자: 旣(이미 기), 知(알 지)
이미 앎.
용례:
부자가 꼭 행복한 것은 아니라는 것은 기지의 사실이다.
68. 기지수 (旣知數) [기지수]
한자: 旣(이미 기), 知(알 지), 數(셈 수:)
「1」일일이 추측할 수 있는 일.
「2」방정식에서 이미 그 값이 알려진 수. 또는 그 값이 주어졌다고 가정한 수.
69. 기출문제 (旣出問題) [기출문:제]
한자: 旣(이미 기), 出(날[生] 출), 問(물을 문:), 題(제목 제)
이미 출제되었던 문제.
용례:
- 시험 전날에 기출문제만 풀어 봤어도 그 시험에 합격했을 것이다.
- 올해 시험은 작년과 달리 기출문제와 유사한 유형이 많이 출제되었다.
70. 기취 (旣娶) [기취]
한자: 旣(이미 기), 娶(장가들 취:)
이미 장가듦.
71. 기판력 (旣判力) [기판녁]
한자: 旣(이미 기), 判(판단할 판), 力(힘 력)
확정된 재판의 판단 내용이 소송 당사자 및 같은 사항을 다루는 다른 법원을 구속하여, 그 판단 내용에 어긋나는 주장이나 판단을 할 수 없게 하는 소송법적인 효력.
72. 기혼 (旣婚) [기혼]
한자: 旣(이미 기), 婚(혼인할 혼)
이미 결혼함. 또는 그런 사람.
용례:
- 기혼 여성.
- 기혼 남성.
- 우리 회사는 기혼, 미혼을 가리지 않고 직원을 채용한다.
- 30대 직장인 중에서 기혼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73. 기혼자 (旣婚者) [기혼자]
한자: 旣(이미 기), 婚(혼인할 혼), 者(놈 자)
이미 결혼을 한 사람.
용례:
우리는 분명히 모자 쓰기를 좋아하는 민족인 것 같다. 모자로써 기혼자와 미혼자를 가리었고, 모자로써 일생의 축제인 결혼식을 장식하기도 했다.≪이어령, 흙 속에 저 바람 속에≫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旣 이미 기 - 1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