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忌 꺼릴 기

1. 기 (忌) [기]

한자: 忌(꺼릴 기)

상제(喪制)의 몸으로 있는 동안.

2. 기각 (忌刻) [기각]

한자: 忌(꺼릴 기), 刻(새길 각)

남의 재주를 시기하여 모질게 굶.

3. 기고 (忌故) [기고]

한자: 忌(꺼릴 기), 故(연고 고(:))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제사를 지내는 일. 또는 그날.

용례:

  • 기고가 들다.
  • 내일이 작년에 돌아가신 시어머니의 기고이다.

4. 기곳날 (忌故날) [기곤날]

한자: 忌(꺼릴 기), 故(연고 고(:))

기제사를 지내는 날.

5. 기극 (忌克) [기극]

한자: 忌(꺼릴 기), 克(이길 극)

남의 재능을 공연히 시샘하여 그보다 나으려고 다툼.

6. 기명 (忌明) [기명]

한자: 忌(꺼릴 기), 明(밝을 명)

「1」기일(忌日)이 끝남.
「2」꺼려 하는 일이 그침.

7. 기물 (忌物) [기물]

한자: 忌(꺼릴 기), 物(물건 물)

접촉하거나 범하면 재해를 주는 힘이 생긴다고 믿는 물건. 원시 종교적 의미를 지니는 금기(禁忌)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정한 무기·피·시체·여자 따위가 있다.

8. 기복 (忌服) [기복]

한자: 忌(꺼릴 기), 服(옷 복)

근친의 상(喪)을 당하여 상제로서 일을 봄.

9. 기사 (忌事) [기사]

한자: 忌(꺼릴 기), 事(일 사:)

꺼리어 싫어하는 일.

10. 기수 (忌數) [기수]

한자: 忌(꺼릴 기), 數(셈 수:)

마음에 꺼려 싫어하는 숫자. 동양에서의 4나 서양에서의 13 따위를 이른다.

11. 기신 (忌辰) [기신]

한자: 忌(꺼릴 기), 辰(때 신)

‘기일’(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을 높여 이르는 말.(기신일(忌辰日))

12. 기신제 (忌晨祭) [기신제]

한자: 忌(꺼릴 기), 晨(새벽 신), 祭(제사 제:)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

13. 기신판 (忌辰板) [기신판]

한자: 忌(꺼릴 기), 辰(때 신), 板(널 판)

조상의 제삿날에 종이를 붙여 두는 판.

14. 기오 (忌惡) [기오]

한자: 忌(꺼릴 기), 惡(미워할 오)

꺼리고 미워함.

15. 기외 (忌畏) [기외]

한자: 忌(꺼릴 기), 畏(두려워할 외:)

꺼리고 두려워함.

16. 기외하다 (忌畏하다) [기외하다]

한자: 忌(꺼릴 기), 畏(두려워할 외:)

꺼리고 두려워하다.

용례:

지금의 그로서 무엇보다도 제일 기외하는 것은 자기의 계획이 완성되기 전에 가족의 눈에 띄거나 탄로되는 것인 동시에….≪염상섭, 표본실의 청개구리≫

17. 기월 (忌月) [기월]

한자: 忌(꺼릴 기), 月(달 월)

「1」제삿날이 들어 있는 달.
「2」일을 하는 데에 꺼려 피하는 달.

18. 기일 (忌日) [기일]

한자: 忌(꺼릴 기), 日(날 일)

「1」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2」불길하다 하여 꺼리는 날.

용례:

  • 「1」아버지 기일이라 식구가 한자리에 모였다.
  • 「1」부모는 있었지만 아비가 어디서 언제 어떻게 죽었는지 어미는 생사조차 알 수 없는 관수, 기일이 있을 리 없다.≪박경리, 토지≫
  • 「2」손재수가 있다고 꺼리는 기일에는 계약이나 이사가 크게 준다.

19. 기일제 (忌日祭) [기일쩨]

한자: 忌(꺼릴 기), 日(날 일), 祭(제사 제:)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

용례:

조선 시대 이후 기일제가 중시되면서 시제에 대한 인식은 점차 퇴색되어 갔다.

20. 기자하다 (忌恣하다) [기자하다]

한자: 忌(꺼릴 기), 恣(마음대로/방자할 자:)

시기심이 많고 방자하다.

21. 기제 (忌祭) [기제]

한자: 忌(꺼릴 기), 祭(제사 제:)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

용례:

아버님 기제에 쓸 과일이나 어육은 미리 장만해 두었다.

22. 기제사 (忌祭祀) [기제사]

한자: 忌(꺼릴 기), 祭(제사 제:), 祀(제사 사)

해마다 사람이 죽은 날에 지내는 제사.

용례:

  • 할아버지 기제사를 지내러 고향에 내려갔다.
  • 가용에 보탬이 될 만큼 넉넉하게 큰집으로 송금하는 모양이지만, 그렇다고 내가 선산을 못 돌아보고 기제사에 참례 못 하는 죄스러움이 가벼워지는 것은 아니었다.≪현기영, 순이 삼촌≫

23. 기주 (忌酒) [기주]

한자: 忌(꺼릴 기), 酒(술 주(:))

술 마시기를 꺼림.

24. 기중 (忌中) [기중]

한자: 忌(꺼릴 기), 中(가운데 중)

상중(喪中)의 비표준어

25. 기증 (忌憎) [기증]

한자: 忌(꺼릴 기), 憎(미울 증)

싫어하고 미워함.

26. 기지 (忌地) [기지]

한자: 忌(꺼릴 기), 地(따 지)

한 논밭에 같은 곡식을 연거푸 심어서 그 곡식이 잘 자라지 않는 땅.

27. 기철 (忌鐵) [기철]

한자: 忌(꺼릴 기), 鐵(쇠 철)

약재가 그 성질에 따라 시우쇠, 무쇠 따위의 쇠를 꺼림.

28. 기탄 (忌憚) [기탄]

한자: 忌(꺼릴 기), 憚(꺼릴 탄)

어렵게 여겨 꺼림.

용례:

그는 아무런 기탄이 없이 말을 이었다.

29. 기탄없다 (忌憚없다) [기타넙따]

한자: 忌(꺼릴 기), 憚(꺼릴 탄)

어려움이나 거리낌이 없다.

용례:

  • 지금 우리가 여기에 모인 것은 여러분의 기탄없는 의견을 들어 보기 위함입니다.
  • 또래끼리는 우스갯소리로 기탄없는 농은 했을망정 그를 대적해서 감히 싸우려 덤비는 사람은 없었다.≪이기영, 봄≫

30. 기탄없이 (忌憚없이) [기타넙씨]

한자: 忌(꺼릴 기), 憚(꺼릴 탄)

어려움이나 거리낌이 없이.

용례:

  • 기탄없이 비판하다.
  • 기탄없이 이야기하다.
  • 기탄없이 의견을 말하다.
  • 그럼 가끔 들러서 그림 얘기도 들으며 기탄없이 폐를 끼치겠습니다.≪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31. 기피 (忌避) [기피]

한자: 忌(꺼릴 기), 避(피할 피:)

「1」꺼리거나 싫어하여 피함.
「2」법관, 법원 직원 따위가 한쪽 소송 관계인과 특수한 관계에 있거나 어떠한 사정으로 불공평한 재판을 할 염려가 있다고 여겨질 때 다른 쪽 소송 당사자가 그 법관이나 직원의 직무 집행을 거부하는 일.

용례:

  • 「1」책임 기피.
  • 「1」젊은 여성들의 농촌 생활 기피로 많은 농촌 청년들이 적령기에 결혼을 하지 못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32. 기피자 (忌避者) [기피자]

한자: 忌(꺼릴 기), 避(피할 피:), 者(놈 자)

꺼리거나 싫어하여 피하는 사람.

용례:

  • 징집 기피자.
  • 납세 기피자.

33. 기피제 (忌避劑) [기피제]

한자: 忌(꺼릴 기), 避(피할 피:), 劑(약제 제)

곤충이나 작은 동물 따위를 쫓기 위하여 쓰는 약. 곤충류가 그 냄새나 맛을 싫어하여 피하는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34. 기피증 (忌避症) [기피쯩]

한자: 忌(꺼릴 기), 避(피할 피:), 症(증세 증(:))

특정 대상을 꺼리거나 싫어하여 피하는 증세.

용례:

  • 언론 기피증.
  • 기피증에 시달리다.
  • 아마도 생각해야 할 일들이 꽤나 많은 시기였던가 보지? 아니면 귀가 기피증 같은 것에 걸려 있었거나…….≪이동하, 도시의 늪≫

35. 기피하다 (忌避하다) [기피하다]

한자: 忌(꺼릴 기), 避(피할 피:)

「1」꺼리거나 싫어하여 피하다.
「2」법관, 법원 직원 따위가 한쪽 소송 관계인과 특수한 관계에 있거나 어떠한 사정으로 불공평한 재판을 할 염려가 있다고 여겨질 때 다른 쪽 소송 당사자가 그 법관이나 직원의 직무 집행을 거부하다.

용례:

  • 「1」병역을 기피하다.
  • 「1」경기가 하강 국면으로 접어들자 기업들은 투자를 기피하고 있다.
  • 「1」그가 술자리에서 몇 번 술주정을 하고 난 뒤부터 사람들은 그를 기피하기 시작했다.

36. 기하다 (忌하다) [기하다]

한자: 忌(꺼릴 기)

꺼리거나 피하다.

용례:

  • 웬걸, 끊고 싶어 끊었나요? 제 병에 담배가 기하는 게 돼 놔서…….≪박태원, 윤 초시의 상경≫
  • 해산하고 나서 사람 출입을 기하기 위해 대문에 써 붙인 글이….≪박완서, 미망≫

37. 기혐 (忌嫌) [기혐]

한자: 忌(꺼릴 기), 嫌(싫어할 혐)

꺼리고 싫어함.

38. 기휘 (忌諱) [기휘]

한자: 忌(꺼릴 기), 諱(숨길/꺼릴 휘)

「1」꺼리고 싫어함.
「2」꺼리거나 두려워 피함.
「3」나라의 금령(禁令).

용례:

「3」기휘를 어기다.

39. 기휘하다 (忌諱하다) [기휘하다]

한자: 忌(꺼릴 기), 諱(숨길/꺼릴 휘)

「1」꺼리고 싫어하다.
「2」꺼리거나 두려워 피하다.

용례:

「2」모든 일을 기휘하지 말고 명명백백히 아뢰라.≪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忌 꺼릴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