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 기상 (氣象) [기상]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대기 중에서 일어나는 물리적인 현상을 통틀어 이르는 말. 바람, 구름, 비, 눈, 더위, 추위 따위를 이른다.
용례:
- 기상 난동.
- 고산 지역은 하루 중에도 여러 번 날씨가 바뀔 정도로 기상 변화가 심하다.
- 유달리 추웠던 겨울이 가고 봄이 왔으나 기상은 여전히 변덕스러웠다.≪한무숙, 만남≫
82. 기상 (氣像) [기상]
한자: 氣(기운 기), 像(모양 상)
사람이 타고난 기개나 마음씨. 또는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모양.
용례:
- 늠름하고 활달한 기상.
- 진취적인 기상.
- 김 선달은 이런 판에도 활발한 기상을 보인다.≪이기영, 고향≫
- 이순신 장군은 늠름한 기상을 얼굴에 띠고 결연히 명령을 내린다.≪박종화, 임진왜란≫
83. 기상관측 (氣象觀測) [기상관측]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觀(볼 관), 測(헤아릴 측)
대기의 상태를 알기 위하여 기압, 기온, 습도 따위의 기상 요소를 관찰하고 측정하는 일.
용례:
전국 평균 기온이 지난 1904년 기상 관측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84. 기상구 (氣象區) [기상구]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區(구분할/지경 구)
「1」기상 조건에 따라 나눈 구역.
「2」각 기상대나 기상 관측소가 담당하는 일정한 구역.
85. 기상대 (氣象臺) [기상대]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臺(대 대)
지방 기상청 소속으로, 관할 지역의 기상 상태를 관측·조사·연구하는 기관. 1992년 측후소를 고친 것이다.
86. 기상도 (氣象圖) [기상도]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圖(그림 도)
기상 상태를 표시하여 놓은 지도. 일기도 따위가 있다.
87. 기상법 (氣象法) [기상뻡]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法(법 법)
국가 기상 업무의 효율적 수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한 법률. 기상 업무의 건전한 발전에 힘써 기상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공공복리를 증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88. 기상병 (氣象病) [기상뼝]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病(병 병:)
날씨 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병 증상. 신경통, 류머티즘, 천식, 간질, 객혈 따위가 있다.
89. 기상소 (氣象所) [기상소]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所(바 소:)
군에 필요한 각 지역의 기상 자료를 모아서 분석하고 알리는 기관.
90. 기상수 (氣狀水) [기상수]
한자: 氣(기운 기), 狀(형상 상), 水(물 수)
암석 안에 기체 상태로 들어 있는 수분.
91. 기상이변 (氣象異變) [기상이:변]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異(다를 이:), 變(변할 변:)
보통 지난 30년간의 기상과 아주 다른 기상 현상.
용례:
- 지구촌 곳곳에 기상 이변으로 인한 피해가 일어나고 있다.
- 기상 이변으로 사막에 큰비가 내렸다고 한다.
92. 기상재해 (氣象災害) [기상재해]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災(재앙 재), 害(해할 해:)
비, 바람, 눈, 가뭄, 벼락, 우박 따위의 기상 현상으로 생기는 재해.
용례: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상 재해가 매년 늘어나고 있다.
93. 기상청 (氣象廳) [기상청]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환경부 소속으로, 우리나라의 기상 상태를 관측하고 예보하는 사무를 맡아본다. 1990년 12월에 ‘중앙 기상대’에서 승격하였다.
94. 기상통보 (氣象通報) [기상통보]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通(통할 통), 報(갚을/알릴 보:)
기상의 대체적인 상황이나 각 지방의 날씨 따위를 신문, 방송 따위를 통하여 일반에게 알리는 보도.
용례:
어업에 종사하는 어민들은 언제나 일기도나 기상 통보에 주의해야 한다.
95. 기상특보 (氣象特報) [기상특뽀]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特(특별할 특), 報(갚을/알릴 보:)
태풍, 호우, 대설, 폭염, 한파 따위의 기상 현상으로 재해가 발생할 수 있어 주의를 환기하거나 경고를 하기 위하여 발표하는 예보. 기상 주의보와 기상 경보가 있다.
용례:
기상 특보에 따르면 앞으로도 서울·경기 지역에 100mm 이상의 많은 비가 내릴 것이라고 한다.
96. 기상학 (氣象學) [기상학]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學(배울 학)
대기의 상태와 거기에서 일어나는 물리적 현상과 과정들을 연구하는 학문.
97. 기색 (氣色) [기색]
한자: 氣(기운 기), 色(빛 색)
「1」마음의 작용으로 얼굴에 드러나는 빛.
「2」어떠한 행동이나 현상 따위가 일어나는 것을 짐작할 수 있게 하여 주는 눈치나 낌새.
용례:
- 「1」두려워하는 기색.
- 「1」어머니는 놀란 기색이 역력했다.
- 「1」그는 두려운 기색이 없이 선생님의 말에 또박또박 말대답을 했다.
- 「1」난데없는 손님을 안방으로 끌어 들이면서 시권이는 안절부절못하는 기색이 역력했다.≪윤흥길, 완장≫
- 「2」해가 중천에 떴는데도 형은 일어날 기색을 보이지 않는다.
- 「2」점심때가 되었는데도 그녀는 점심을 준비할 기색이 전혀 없었다.
- 「2」봄 가뭄은 좀처럼 물러날 기색이 아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98. 기색 (氣塞) [기색]
한자: 氣(기운 기), 塞(막힐 색)
「1」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막힘. 또는 그런 상태.
「2」심한 흥분이나 충격으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멎음. 또는 그런 상태.
용례:
「2」저러다 만일 억울하고 원통한 분기를 못 이긴 종손이 그대로 성질이 북받쳐 기색을 해 버리면 어쩔꼬.≪최명희, 혼불≫
99. 기색하다 (氣塞하다) [기새카다]
한자: 氣(기운 기), 塞(막힐 색)
「1」어떠한 원인으로 인하여 기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막히다.
「2」심한 흥분이나 충격으로 호흡이 일시적으로 멎다.
용례:
「2」천만뜻밖에 자기 딸이 잡혀 왔다는 소식을 듣고 그 자리에 기색하고 말았다.≪현진건, 무영탑≫
100. 기색혼절 (氣塞昏絕) [기새콘절]
한자: 氣(기운 기), 塞(막힐 색), 昏(어두울 혼), 絕(끊을 절)
숨이 막혀 까무러침.
101. 기서 (氣序) [기서]
한자: 氣(기운 기), 序(차례 서:)
절기가 바뀌는 순서.
102. 기성 (氣成) [기성]
한자: 氣(기운 기), 成(이룰 성)
냉각 중인 마그마에서 방출된 수증기와 휘발 성분이 주변 암석과 반응하여 새로운 광물을 형성하거나 주변 암석을 변화시키는 일.
103. 기성 (氣性) [기성]
한자: 氣(기운 기), 性(성품 성:)
기력과 체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104. 기성기 (氣成期) [기성기]
한자: 氣(기운 기), 成(이룰 성), 期(기약할 기)
마그마가 거의 굳어졌을 때 나오는 높은 온도의 가스에 의하여 기성 작용이 일어나는 시기.
105. 기성암 (氣成巖) [기성암]
한자: 氣(기운 기), 成(이룰 성), 巖(바위 암)
바람에 의하여 운반되어 쌓인 흙과 모래로 이루어진 암석. 중국의 황토 지대에 널리 퍼져 있는 대부분의 롬층(loam層)이 그 예이다.
106. 기성차다 (氣盛차다) [기성차다]
한자: 氣(기운 기), 盛(성할 성:)
기력이 매우 왕성하다.
용례:
기성찬 젊은이들.
107. 기세 (氣勢) [기세]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증권 시장에서, 실제 거래는 없으면서 값만 형성되는 일. 또는 그 값. 매도 호가(呼價)의 경우에는 전일의 시세에 비하여 가장 낮은 호가가 해당되며, 매수 호가의 경우에는 전일의 시세에 비하여 가장 높은 호가가 해당된다.
108. 기세 (氣勢) [기세]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1」기운차게 뻗치는 모양이나 상태.
「2」남에게 영향을 끼칠 기운이나 태도.
용례:
- 「1」당당한 기세.
- 「1」기세가 누그러지다.
- 「1」기세를 떨치다.
- 「1」그녀의 상냥함에 그의 기세가 누그러지는 것 같았다.
- 「1」일단 동점이 되자 기세가 오른 우리 팀은 총공세를 펼쳐 역전에 성공했다.
- 「1」어둠 속에서 불길은 기세 좋게 타올랐다.≪조해일, 왕십리≫
- 「2」폭동이 일어날 기세.
- 「2」그는 조금도 양보할 기세를 보이지 않는다.
- 「2」그는 한바탕 따질 기세로 소문을 낸 친구에게 달려갔다.
- 「2」화가 난 멧돼지가 금방이라도 달려들 기세이다.
- 「2」한 푼이라도 뗄 기세가 보이면, 놈이 가진 돈을 우리 작업량만큼만 빼앗아 와도 좋소. ≪황석영, 객지≫
- 「2」종엽이는 얼굴이 발개지며, 그런 소리 한 사람이 여기 있다면 당장 멱살이라도 붙들려는 기세다. ≪염상섭, 무화과≫
109. 기세당당하다 (氣勢堂堂하다) [기세당당하다]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堂(집 당), 堂(집 당)
태도나 자세가 매우 의젓하고 떳떳하다.
용례:
- 기세당당하게 진군하는 병사들.
- 민수의 공갈치기는 점점 더 기세당당한 아우성이 되어 갈 것이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110. 기세등등 (氣勢騰騰) [기세등등]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騰(오를 등), 騰(오를 등)
기세가 매우 높고 힘찬 모양.
용례:
- 통일이라면 죽자 살자 수난자 처지를 앞세워 기세등등 목소리를 높이고 드느냔 말이다.≪이청준, 가해자의 얼굴≫
- 그는 한주먹에 당장 지욱을 때려눕힐 듯 기세등등 허공을 마구 주먹으로 후려치면서 욕설을 퍼부어 댔다.≪이청준, 자서전들 쓰십시다≫
111. 기세등등하다 (氣勢騰騰하다) [기세등등하다]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騰(오를 등), 騰(오를 등)
기세가 매우 높고 힘차다.
용례:
- 그들은 기세등등하게 적군을 향해 쳐들어갔다.
- 젊은이가 주먹을 불끈 쥐고 기세등등하게 구호를 외쳤다.
- 그렇게 기세등등했던 영감이 병색이 짙은 초췌한 얼굴을 하고 묏등이 파헤쳐지는 것을 지켜보고 있었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112. 기세부리다 (氣勢부리다) [기세부리다]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남에게 영향을 끼칠 기운이나 태도를 드러내 보이다.
113. 기세충천하다 (氣勢衝天하다) [기세충천하다]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衝(찌를 충), 天(하늘 천)
기세가 하늘을 찌를 듯이 높다.
용례:
- 응원에 힘입어 기세충천한 선수들이 운동장을 누비고 다녔다.
- 농민군은 인근 농민들의 합세로 그 수가 늘어나 기세충천하여 관아를 습격했다.
114. 기세피우다 (氣勢피우다) [기세피우다]
한자: 氣(기운 기), 勢(형세 세:)
남에게 영향을 끼칠 기운이나 태도를 드러내 보이다.
115. 기쇠하다 (氣衰하다) [기쇠하다]
한자: 氣(기운 기), 衰(쇠할 쇠)
기운이 줄어서 약해지다.
용례:
이제는 그도 늙고 기쇠해서 거동하기도 힘들다.
116. 기수 (氣嗽) [기수]
한자: 氣(기운 기), 嗽(기침할 수)
기침이 나고 가래가 목구멍에 걸려서 침을 뱉거나 삼키기가 거북하고 가슴이 답답한 병. 특히 여자에게 많다.
117. 기수 (氣數) [기수]
한자: 氣(기운 기), 數(셈 수:)
저절로 오고 가고 한다는 길흉화복의 운수.
용례:
- 기수가 다하다.
- 사람이란 것은 제가끔 분지복이 있어서 기수를 잘 타고나든지 부지런하면 부자가 되는 법이요….≪채만식, 치숙≫
118. 기수증 (氣水症) [기수쯩]
한자: 氣(기운 기), 水(물 수), 症(증세 증(:))
부종(浮腫)의 하나. 대장의 탈로 생긴다.
119. 기습 (氣習) [기습]
한자: 氣(기운 기), 習(익힐 습)
집단이나 개인에게서 특징적으로 보이는 습성이나 습관.
용례:
- 그녀는 예전에 사람을 부리던 기습이 남아 있어서 요즘도 손 하나 까딱하지 않으려 한다.
- 제도를 없이함으로써 오랜 노예의 멍에로부터 노비들은 해방되었다고 하지만 끈질기게 내려온 제도가 빚은 기습이 일조일석에 없어질 리는 없고….≪박경리, 토지≫
120. 기승 (氣勝) [기승]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성미가 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지 않음. 또는 그 성미.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음. 또는 그 기운이나 힘.
용례:
- 「1」자기 딴은 하느라고 저물도록 사정을 해 보았는데 안승학은 점점 기승을 피우지 않는가.≪이기영, 고향≫
- 「1」일변 반갑기도 하려니와 어려움도 있어야 할 승재가 오고 보니 차마 더 기승은 떨 수가 없었다.≪채만식, 탁류≫
- 「2」기승을 떨치다.
- 「2」노염이 기승을 떠는 늦여름의 오후….≪박완서, 세상에서 제일 무거운 틀니≫
- 「2」연일 33도를 오르내리는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려 살아 있는 모든 것의 수분을 말리고 있었다.≪전상국, 음지의 눈≫
- 「2」그의 소원은 성취되고 그의 천주교 공격의 기승은 점점 더해 갔다. ≪한무숙, 만남≫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