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기승떨다 (氣勝떨다) [기승떨다]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성미가 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려고 하지 않다.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다.
122. 기승부리다 (氣勝부리다) [기승부리다]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성미가 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려고 하지 않다.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다.
용례:
- 「2」사흘간 기승부리던 산불을 겨우 잡았다.
- 「2」이튿날은 영등바람이 몰고 온 꽃샘추위가 유별나게 기승부리는 날씨였건만 회민들은 아침부터 화톳불을 피우고 종일 자리를 뜨지 않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23. 기승스럽다 (氣勝스럽다) [기승스럽따]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지 않으려는 데가 있다.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으려는 데가 있다.
용례:
- 「1」안 가면 그 기승스러운 여편네가 분명히 딸을 끌고 와서 한바탕 소동을 부릴 텐데…….≪백도기, 청동의 뱀≫
- 「2」기승스럽게 내리는 비.
- 「2」만주 땅은 봄가을이 짧다고 해서 날 잡은 게 노염이 기승스러운 팔월 하순경이었다.≪박완서, 미망≫
124. 기승스레 (氣勝스레) [기승스레]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지 않으려는 데가 있게.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으려는 데가 있게.
용례:
「1」주인아주머니가 언성을 버쩍 높여 가지고 더 기승스레 펄펄 뛴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손창섭, 층계의 위치≫
125. 기승하다 (氣勝하다) [기승하다]
한자: 氣(기운 기), 勝(이길 승)
「1」성미가 억척스럽고 굳세어 좀처럼 굽히지 않다.
「2」기운이나 힘 따위가 성해서 좀처럼 누그러들지 않다.
용례:
- 「1」원체 기승한 아내는 제가 병 있는 사람이라는 것을 승인하고 싶지 아니하였던 것이오.≪이광수, 유정≫
- 「1」공대하기는 나이 어려서 아들 같았지만 반말하기에는 천하를 삼킬 듯 기승했던 그의 부친에 대한 존경심이 허락지 않는 때문이다.≪박경리, 토지≫
- 「2」서울은 일본인의 독판이 되고, 조정에선 개화 친일파가 더욱 기승해서 정국의 소용돌이는 혼란을 극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126. 기식 (氣息) [기식]
한자: 氣(기운 기), 息(쉴 식)
숨을 쉼. 또는 그런 기운.
용례:
- 오십 분을 연착한 십오 열차가 이제야 요란한 기식을 내뿜으며 구내로 들이닥친다.≪이문희, 흑맥≫
- 사변의 원인과 유래는 기식이 엄엄하면서도 자기의 행동을 명백히 하자는 콜난의 말에 의해서 알게 되었다.≪한용운, 흑풍≫
127. 기식우 (氣食牛) [기시구]
한자: 氣(기운 기), 食(밥/먹을 식), 牛(소 우)
소를 삼킬 만한 큰 기상.
128. 기신 (氣神) [기신]
한자: 氣(기운 기), 神(귀신 신)
기력과 정신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정신이 돌아서 일어나려고 움직이는 것을 먼저 기신을 차린 왈짜 하나가 발길로 몇 번 차서 못 일어나게 하고….≪홍명희, 임꺽정≫
- 웅보는 쌀분이의 치마 끝을 잡은 채 잠시도 놓아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녀가 오히려 병자인 남편보다 기신이 빠져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29. 기신없다 (氣神없다) [기시넙따]
한자: 氣(기운 기), 神(귀신 신)
기력이 없고 정신이 흐리다.
130. 기신없이 (氣神없이) [기시넙씨]
한자: 氣(기운 기), 神(귀신 신)
기력이 없고 흐린 정신으로.
용례:
- 기신없이 쓰러지다.
- 그는 피곤에 지쳐 기신없이 잠이 들었다.
- 가뜩이나 헐벗고 얻어먹지 못해서 파리한 몸이 기신없이 쓰러졌다가도 바스락 소리만 나면 발딱 일어나 “선생님, 왜 그러세요?” 하고 영신의 얼굴을 들여다본다.≪심훈, 상록수≫
131. 기실 (氣室) [기실]
한자: 氣(기운 기), 室(집 실)
「1」액체의 유출을 고르게 하기 위해 물을 뿜어내는 관과 펌프 사이에 공기가 들어 있는 공간.
「2」선태식물의 표피 아래에 있는 세포 사이의 공실.
132. 기심통 (氣心痛) [기심통]
한자: 氣(기운 기), 心(마음 심), 痛(아플 통:)
기(氣)의 장애로 가슴이 아픈 증상.
133. 기싸움 (氣싸움) [기싸움]
한자: 氣(기운 기)
어떤 일과 관련하여 서로 주도권을 쥐기 위해 기세를 앞세워 심리적으로 대립하는 일. 또는 그런 싸움.
용례:
- 기싸움을 벌이다.
- 토론회를 앞두고 후보들의 팽팽한 기싸움이 계속되고 있다.
134. 기싸움하다 (氣싸움하다) [기싸움하다]
한자: 氣(기운 기)
어떤 일과 관련하여 서로 주도권을 쥐기 위해 기세를 앞세워 심리적으로 대립하거나 싸우다.
용례:
- 나는 누군가와 기싸움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지금은 우리끼리 이렇게 견제하고 기싸움할 때가 아닙니다.
135. 기안하다 (氣岸하다) [기안하다]
한자: 氣(기운 기), 岸(언덕 안:)
마음이 견실하다.
136. 기압 (氣壓) [기압]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대기의 압력. 북위 45도의 바다 면과 0℃의 온도에서, 수은 기둥을 높이 760mm까지 올리는 데 작용하는 압력을 1기압이라 하며, 1기압은 1,013.25헥토파스칼과 같다. 기호는 atm.
용례:
- 기압이 높다.
- 높은 산에 올라가면 기압이 낮아져 귀가 먹먹해진다.
137. 기압계 (氣壓系) [기압꼐]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系(이어맬 계:)
물리적 성질이 고른 편이고 대륙이나 대양과 비교할 정도로 면적이 넓은 공기의 압력장(壓力場).
138. 기압계 (氣壓計) [기압꼐]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計(셀 계:)
기압을 재는 계기. 수은 기압계와 아네로이드 기압계 따위가 있다.
139. 기압골 (氣壓골) [기압꼴]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일기도에서, 여러 개의 등압선이 모여 골짜기를 이룬, 기압이 낮은 부분. 이 부분의 동쪽은 일반적으로 날씨가 좋지 않다.
용례:
주말에는 기압골의 영향으로 한차례 비가 올 것으로 보인다.
140. 기압력 (氣壓力) [기암녁]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力(힘 력)
대기 중에서 기압 차에 의하여 생기는 힘. 보통 수평 방향의 힘만을 가리킨다.
141. 기압장 (氣壓場) [기압짱]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場(마당 장)
기압의 공간적 분포. 일기도에서 등압선이나 등고선으로 표시한다.
142. 기압파 (氣壓波) [기압파]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波(물결 파)
기압이 변할 때, 지역에 따라 시간적으로 기압의 변화 폭이 늘거나 줄면서 전달되어 가는 현상. 종파(縱波)의 일종이다.
143. 기압형 (氣壓型) [기아평]
한자: 氣(기운 기), 壓(누를 압), 型(모형 형)
기압 배치의 모양.
144. 기약하다 (氣弱하다) [기야카다]
한자: 氣(기운 기), 弱(약할 약)
「1」원기(元氣)가 약하다.
「2」기백(氣魄)이 약하다.
용례:
「2」그는 기약한 성질과 청아한 품격의 소유자다.
145. 기역 (氣逆) [기역]
한자: 氣(기운 기), 逆(거스릴 역)
기운이 위로 치미는 병리 현상. 가슴이 답답하고 손발이 차고 머리가 아프며 어지럽고 목이 마르는 증상이 나타난다.
146. 기염 (氣焰) [기염]
한자: 氣(기운 기), 焰(불꽃 염)
불꽃처럼 대단한 기세.
용례:
- 기염을 내뿜다.
- 도전자는 통쾌한 케이오 승을 거두겠다고 기염을 토하고 있다.
- 술이 얼근하여지자 송 화백과 안정호는 서로 열을 올리며 기염을 다투기 시작하였다.≪김동리, 밀다원 시대≫
147. 기예하다 (氣銳하다) [기예하다]
한자: 氣(기운 기), 銳(날카로울 예:)
기백이 날카롭고 대단하다.
148. 기온 (氣溫) [기온]
한자: 氣(기운 기), 溫(따뜻할 온)
대기(大氣)의 온도. 보통 지면으로부터 1.5미터 높이의 백엽상 속에 놓인 온도계로 잰 온도를 이른다.
용례:
- 기온이 내려가다.
- 기온이 올라가다.
- 기온이 높다.
- 기온이 낮다.
- 내일은 차가운 시베리아 고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의 기온이 영하로 떨어질 것이라고 한다.
- 기온의 일교차가 심한 요즈음에는 특히 감기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149. 기온차 (氣溫差) [기온차]
한자: 氣(기운 기), 溫(따뜻할 온), 差(다를 차)
일정한 기간 동안의 기온 관측에서 얻은 최고 온도와 최저 온도와의 차이.
150. 기온파 (氣溫波) [기온파]
한자: 氣(기운 기), 溫(따뜻할 온), 波(물결 파)
기온의 변화가 물결 모양으로 퍼져 나가는 현상.
151. 기요통 (氣腰痛) [기요통]
한자: 氣(기운 기), 腰(허리 요), 痛(아플 통:)
정신적인 원인으로 기혈이 잘 돌지 못하여 허리가 아픈 병.
152. 기용하다 (氣勇하다) [기용하다]
한자: 氣(기운 기), 勇(날랠 용:)
일을 하는 데에 겁이 없고 과단성이 있다.
153. 기우 (氣宇) [기우]
한자: 氣(기운 기), 宇(집 우:)
기개와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의지가 굳세고 기우가 활달한 사람.
- 꼬장꼬장한 일상 잡사에서 멀리 벗어날수록 당장 기우도 커진다.≪이호철, 문≫
154. 기운 (氣運) [기운]
한자: 氣(기운 기), 運(옮길 운:)
어떤 일이 벌어지려고 하는 분위기.
용례:
- 이번 사건은 한창 무르익던 화해의 기운에 찬물을 끼얹은 것이나 다름없다.
- 박적골 집에 불화의 기운이 돌고 나쁜 일은 엎친 데 덮친다고 올케가 기어코 각혈을 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55. 기운 (氣韻) [기운]
한자: 氣(기운 기), 韻(운 운:)
글이나 글씨, 그림 따위에서 표현된 풍격(風格)과 정취(情趣).
156. 기울증 (氣鬱症) [기울쯩]
한자: 氣(기운 기), 鬱(답답할 울), 症(증세 증(:))
정신적인 원인으로 기가 한곳에 몰려 잘 순환하지 못하는 병리 현상. 혹은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마음이 울적하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맛이 없고 옆구리가 결리는 따위의 증상이 나타난다.(기울(氣鬱))
157. 기음 (氣音) [기음]
한자: 氣(기운 기), 音(소리 음)
숨이 거세게 나오는 자음. 국어의 ‘ㅊ’, ‘ㅋ’, ‘ㅌ’, ‘ㅍ’ 따위가 있다.
158. 기의 (氣意) [기이]
한자: 氣(기운 기), 意(뜻 의:)
대상·환경 따위에 따라 마음에 절로 생기며 한동안 지속되는, 유쾌함이나 불쾌함 따위의 감정.
159. 기전 (氣轉) [기전]
한자: 氣(기운 기), 轉(구를 전:)
대기(大氣)의 변화.
160. 기절 (氣節) [기절]
한자: 氣(기운 기), 節(마디 절)
「1」굽힐 줄 모르는 기개와 절조.
「2」일 년의 이십사절기와 칠십이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는 15일, ‘후’는 5일을 뜻한다.
용례:
「1」삼가 바라건대 전하께서는 곧은 기절을 배양하시고 선비들의 습속을 바로잡아 공론이 크게 행하게 한다면 대간이 그 직임을 다하게 될 것입니다.≪번역 중종실록≫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