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161. 기절 (氣絕) [기절]

한자: 氣(기운 기), 絕(끊을 절)

「1」두려움, 놀람, 충격 따위로 한동안 정신을 잃음.
「2」병든 사람이 숨이 끊어져 죽음.
「3」갑자기 몹시 놀람.

용례:

  • 「1」기절 상태에 빠지다.
  • 「1」부인은 안간힘을 한 번 쓰고 거의 기절이나 한 사람 모양으로 뒤로 넘어질 뻔하였다.≪현진건, 무영탑≫

162. 기절초풍 (氣絕초風) [기절초풍]

한자: 氣(기운 기), 絕(끊을 절), 風(바람 풍)

기절하거나 까무러칠 정도로 몹시 놀라 질겁을 함.

용례:

그는 딱 부릅뜬 적장의 부리부리한 눈을 보자 그만 기절초풍이 되어 온몸이 떨려 왔다.

163. 기절초풍하다 (氣絕초風하다) [기절초풍하다]

한자: 氣(기운 기), 絕(끊을 절), 風(바람 풍)

기절하거나 까무러칠 정도로 몹시 놀라 질겁을 하다.

용례:

  • 기절초풍할 만큼 충격적인 소식.
  • 내가 방에 들어가자 그는 귀신이라도 본 것처럼 기절초풍했다.
  • 그는 이야기를 듣자 기절초풍하여 그 자리에 철퍼덕 주저앉고 말았다.
  • 그 기침 소리를 들으면 무서워서 왜놈들이 기절초풍하고 달아날 것이야.≪문순태, 타오르는 강≫

164. 기절하다 (氣絕하다) [기절하다]

한자: 氣(기운 기), 絕(끊을 절)

「1」두려움, 놀람, 충격 따위로 한동안 정신을 잃다.
「2」병든 사람이 숨이 끊어져 죽다.
「3」갑자기 몹시 놀라다.

용례:

  • 「1」아내는 아들의 교통사고 소식을 듣고는 기절하고 말았다.
  • 「1」그가 갑자기 내 이름을 불렀을 때 나는 기절할 정도로 놀랐다.
  • 「1」정면에서 걷어차는 발길에 명치를 정통으로 맞아 그는 숨을 못 쉬고 몸을 비틀다가 그대로 기절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165. 기정 (氣精) [기정]

한자: 氣(기운 기), 精(정할 정)

기력(氣力)이나 정력(精力).

166. 기주 (氣柱) [기주]

한자: 氣(기운 기), 柱(기둥 주)

연직(鉛直)으로 서 있는 관 따위의 속에 있는 기둥 꼴의 공기.

167. 기죽다 (氣죽다) [기죽따]

한자: 氣(기운 기)

기세가 꺾여 약해지다.

용례:

  • 아무리 어려운 처지에 있더라도 결코 기죽지 마라.
  • 시험에 떨어졌다고 해서 너무 기죽을 필요는 없다.
  • 가난하다고 해서 기죽는 그런 사람이 되지는 마라.
  • 나는 무척 화가 났지만 기죽은 친구의 얼굴을 보자 마음이 약해졌다.

168. 기죽이다 (氣죽이다) [기주기다]

한자: 氣(기운 기)

기세를 꺾어 약해지게 하다.

용례:

  • 아이들이 잘못을 저질렀다고 심하게 기죽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 다른 것은 몰라도 돈 때문에 애들 기죽이는 일은 없어야 할 텐데.
  • 처음 보는 동혁을 기죽여 놓자는 건지 왕년의 한가락 솜씨를 지루하게 늘어놓았었다.≪황석영, 객지≫

169. 기중 (氣中) [기중]

한자: 氣(기운 기), 中(가운데 중)

갑자기 성을 내거나 무서움을 느낄 때 까무러쳐 넘어지면서 이를 악물고 손발이 오그라드는 증상.

170. 기증 (氣蒸) [기증]

한자: 氣(기운 기), 蒸(찔 증)

온몸에 열이 나고 코가 마르며 숨결이 급하고 콧김이 뜨거운 병.

171. 기지 (氣志) [기지]

한자: 氣(기운 기), 志(뜻 지)

의지와 기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172. 기진 (氣盡) [기진]

한자: 氣(기운 기), 盡(다할 진:)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어짐.

173. 기진 (氣塵) [기진]

한자: 氣(기운 기), 塵(티끌 진)

공기 속에 떠돌아다니는 아주 작은 먼지. 크기는 0.15~0.5mm이다.

174. 기진맥진 (氣盡脈盡) [기진맥찐]

한자: 氣(기운 기), 盡(다할 진:), 脈(줄기 맥), 盡(다할 진:)

기운이 다하고 맥이 다 빠져 스스로 가누지 못할 지경이 됨.(기진역진(氣盡力盡))

용례:

  • 뱃멀미로 사람들은 기진맥진이 되었다.
  • 아버지를 비롯해서 조합의 관계자들은 그 조사를 받느라 기진맥진 넋이 다 나갔다.≪전상국, 좁은 길≫

175. 기진맥진하다 (氣盡脈盡하다) [기진맥찐하다]

한자: 氣(기운 기), 盡(다할 진:), 脈(줄기 맥), 盡(다할 진:)

기운이 다하고 맥이 다 빠져 스스로 가누지 못할 지경이 되다.

용례:

  • 오랜 행군에 모두들 기진맥진하여 길가에 주저앉았다.
  • 진통이 이틀이나 계속되어서 산모는 기진맥진했고 해산 역시 지독한 난산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76. 기진역진하다 (氣盡力盡하다) [기진녁찐하다]

한자: 氣(기운 기), 盡(다할 진:), 力(힘 력), 盡(다할 진:)

기운이 다하고 맥이 다 빠져 스스로 가누지 못할 지경이 되다.

용례:

만돌 어미가 기진역진한 끝에 또다시 모진 마음을 먹으려 들었을 때….≪박태원, 천변 풍경≫

177. 기진하다 (氣盡하다) [기진하다]

한자: 氣(기운 기), 盡(다할 진:)

기운이 다하여 힘이 없어지다.

용례:

  • 과로로 기진해서 쓰러질 지경이다.
  • 딸이 그 아버지를 끌고 돌아왔을 때 산모와 갓난아이는 기진하여 있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 함안댁은 기진한 모습으로 도로 자리에 벌렁 나가떨어지고 만다.≪김춘복, 쌈짓골≫

178. 기질 (氣質) [기질]

한자: 氣(기운 기), 質(바탕 질)

「1」기력과 체질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정주학파(程朱學派)의 학설에서 본연의 성(性)에 대하여 혈기(血氣)에 의해서 후천적으로 생기는 성질.
「3」자극에 대한 민감성이나 특정한 유형의 정서적 반응을 보여 주는 개인의 성격적 소질.

용례:

  • 「3」낙천적인 기질.
  • 「3」예술가적 기질을 타고난 작가.
  • 「3」이 신문은 보수적 기질이 강하다.
  • 「3」그의 작품에는 어딘지 모르게 반항아적인 기질이 나타난다.
  • 「3」종구 쪽 집안은 직업에서부터 장이의 기질이 있었다.≪한수산, 유민≫

179. 기차 (氣差) [기차]

한자: 氣(기운 기), 差(다를 차)

천체(天體)에서 오는 빛이 지구 대기층을 지나며 굴절하는 현상 때문에 생기는 천체의 겉보기 방향과 실제 방향과의 차이.

180. 기차다 (氣차다) [기차다]

한자: 氣(기운 기)

「1」(속되게) 말할 수 없을 만큼 좋거나 훌륭하다.
「2」힘에 과하다.

용례:

  • 「1」맛이 기차게 좋은 과자.
  • 「1」그는 노래를 기차게 잘 부른다.
  • 「1」낙서가 이 정도면 진짜 그림은 정말 기차겠구나.
  • 「1」와 그거 기찬 아이디어인데.

181. 기창 (氣脹) [기창]

한자: 氣(기운 기), 脹(부을 창:)

기가 정체되어서 복부가 더부룩하게 불러 오는 증상. 대개 간이나 지라 기능의 장애로 생긴다.

182. 기천 (氣喘) [기천]

한자: 氣(기운 기), 喘(숨찰 천:)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며 목구멍에 가래 걸리는 소리가 나는 증세.

183. 기체 (氣滯) [기체]

한자: 氣(기운 기), 滯(막힐 체)

「1」체내의 기(氣)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여 어느 한곳에 정체되어 막히는 병리 현상. 또는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배가 더부룩하거나 통증이 있다.
「2」마음이 편하지 아니하여 생기는 체증.

184. 기체 (氣體) [기체]

한자: 氣(기운 기), 體(몸 체)

물질이 나타내는 상태의 하나. 공기, 수소, 산소 따위와 같이 분자의 간격이 멀고 응집력이 없어 각 분자가 자유로이 유동하므로, 일정한 모양과 부피를 갖지 않고 용기를 채우려는 성질이 있다. 액체나 고체에 비하여 밀도가 훨씬 작고, 압력의 증감으로 부피가 쉽게 변하며, 압축이나 열팽창이 쉽다.

185. 기체 (氣體) [기체]

한자: 氣(기운 기), 體(몸 체)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말.

용례:

  • 그동안 기체 안녕하신지 궁금합니다.
  • 할아버님, 그간 기체 강녕하시옵니까?

186. 기체후 (氣體候) [기체후]

한자: 氣(기운 기), 體(몸 체), 候(기후 후:)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말.

용례:

할아버님, 그동안 기체후 일향 만강하옵신지요?

187. 기촉 (氣促) [기촉]

한자: 氣(기운 기), 促(재촉할 촉)

숨결이 몹시 빠른 증상.

188. 기축되다 (氣縮되다) [기축뙤다]

한자: 氣(기운 기), 縮(줄일 축)

두렵거나 무서워 기가 질리거나 움츠러들게 되다.

용례:

그는 겁을 집어먹은 듯 기축되어 있었다.

189. 기층 (氣層) [기층]

한자: 氣(기운 기), 層(층[層階] 층)

대기의 층.

용례:

기층이 불안정한 여름철에는 소나기가 자주 내린다.

190. 기치 (氣痔) [기치]

한자: 氣(기운 기), 痔(치질 치)

정신적인 고민이나 흥분 때문에 부어올라 아픈 치질.

191. 기태 (氣態) [기태]

한자: 氣(기운 기), 態(모습 태:)

기체의 어느 부분을 취하여도 물리적으로나 화학적으로 균일한 성질을 가지는 상태.

192. 기통 (氣痛) [기통]

한자: 氣(기운 기), 痛(아플 통:)

체내의 기(氣) 운행이 순조롭지 못하여 어느 한곳에 정체되어 막히는 병리 현상. 또는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배가 더부룩하거나 통증이 있다.

193. 기통 (氣筒) [기통]

한자: 氣(기운 기), 筒(통(筒) 통)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 따위에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는, 속이 빈 원통 모양의 장치.

194. 기파 (氣波) [기파]

한자: 氣(기운 기), 波(물결 파)

공기의 층이 여러 층으로 겹쳐서 움직일 때에 각 층의 경계면에서 생기는 공기의 파동.

195. 기포 (氣泡) [기포]

한자: 氣(기운 기), 泡(거품 포)

액체나 고체 속에 기체가 들어가 거품처럼 둥그렇게 부풀어 있는 것.

용례:

  • 기포가 생기다.
  • 기포가 발생하다.
  • 맥주를 금방 따른 컵에서는 기포가 방울방울 올라온다.
  • 사이다를 따르자 하얀 기포가 일었다.

196. 기포 (氣胞) [기포]

한자: 氣(기운 기), 胞(세포 포(:))

허파로 들어간 기관지의 끝에 포도송이처럼 달려 있는 자루. 호흡할 때에 가스를 교환하는 작용을 한다.

197. 기포 (氣砲) [기포]

한자: 氣(기운 기), 砲(대포 포:)

압축 공기의 힘으로 탄알을 발사하는 포.

198. 기품 (氣品) [기품]

한자: 氣(기운 기), 品(물건 품:)

인격이나 작품 따위에서 드러나는 고상한 품격.

용례:

  • 기품이 있는 귀부인.
  • 기품이 높다.
  • 기품이 서리다.
  • 기품이 넘치다.
  • 전에는 마치 새하얗게 소복한 여인처럼 감히 범접할 수 없는 기품 같은 것이 느껴지던 백목련이었다.≪윤흥길, 완장≫

199. 기품 (氣稟) [기품]

한자: 氣(기운 기), 稟(여쭐 품:)

타고난 기질과 성품.

용례:

  • 점잖은 기품.
  • 연세가 칠십에 가까웠건만 얼굴은 홍안이요 머리는 백발인데 강강한 기품은 젊은 사람도 따를 수 없이 강장했다.≪박종화, 임진왜란≫

200. 기풍 (氣風) [기풍]

한자: 氣(기운 기), 風(바람 풍)

「1」어떤 집단이나 지역 사람들의 공통적인 기질.
「2」기상(氣像)과 풍채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보수적인 기풍.
  • 「1」서로 믿고 돕는 건전한 사회 기풍을 조성하다.
  • 「2」고구려의 미술은 웅장한 기풍을 지니고 있었다.
  • 「2」당태종은 큰 나라의 군왕다운 기풍을 보이느라고 애를 쓰고 있었다.≪홍효민, 신라 통일≫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