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201. 기풍 (氣風) [기풍]

한자: 氣(기운 기), 風(바람 풍)

살갗에 벌레가 기어가는 듯이 스멀스멀한 느낌이 생기는 증상.

202. 기핍하다 (氣乏하다) [기피파다]

한자: 氣(기운 기), 乏(모자랄 핍)

기력이 없거나 모자라다.

203. 기학 (氣瘧) [기학]

한자: 氣(기운 기), 瘧(학질(瘧疾) 학)

심하지 않은 만성 학질의 하나. 늘 가벼운 오한과 신열이 있고 몸이 나른하다.

204. 기함 (氣陷) [기함]

한자: 氣(기운 기), 陷(빠질 함:)

「1」기력이 없어서 가라앉음.
「2」갑작스레 몹시 놀라거나 아프거나 하여 소리를 지르면서 넋을 잃음.

용례:

  • 「1」이 환자는 고령으로 기함이 심해서 수술하기가 어렵습니다.
  • 「1」그 사람은 길을 잃고 헤매다가 기진맥진 기함이 된 뒤에야 가까스로 구조되었다.
  • 「2」참혹한 광경을 보자 여자들은 기함을 할 듯이 놀랐다.

205. 기함하다 (氣陷하다) [기함하다]

한자: 氣(기운 기), 陷(빠질 함:)

「1」기력이 없어서 가라앉다.
「2」갑작스레 몹시 놀라거나 아프거나 하여 소리를 지르면서 넋을 잃다.

용례:

  • 「1」할머니는 오랜 수술 후 기함하여 혼수상태에 빠지셨다.
  • 「2」영희는 개가 자기한테 달려드는 것을 보고 기함할 듯이 놀라며 소리를 질렀다.
  • 「2」쇤네는 기함하고 정신이 들었을 때는 자정이 넘어 있었사와요.≪한무숙, 생인손≫

206. 기합 (氣合) [기합]

한자: 氣(기운 기), 合(합할 합)

마음이 맞음.

207. 기합 (氣合) [기합]

한자: 氣(기운 기), 合(합할 합)

「1」어떤 특별한 힘을 내기 위한 정신과 힘의 집중. 또는 그런 집중을 위해 내는 소리.
「2」군대나 학교 따위의 단체 생활을 하는 곳에서 잘못한 사람을 단련한다는 뜻에서 정신적·육체적 고통을 가하는 것.

용례:

  • 「1」기합을 넣다.
  • 「1」기합이 빠지다.
  • 「1」기합이 풀리다.
  • 「1」기합 소리가 우렁차다.
  • 「1」두 사병은 잔뜩 기합이 든 자세로 경례했다.
  • 「1」도장 안에서는 태권도 연습을 하는 아이들이 “얏, 얏” 하고 우렁차게 기합을 넣는다.
  • 「2」기합을 받다.
  • 「2」호된 기합을 주다.

208. 기합술 (氣合術) [기합쑬]

한자: 氣(기운 기), 合(합할 합), 術(재주 술)

힘과 정신을 집중하여 소리를 지르면서 보통 이상의 능력을 나타내는 정신적 술법.

209. 기해 (氣海) [기해]

한자: 氣(기운 기), 海(바다 해:)

‘대기’(大氣)를 바다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10. 기해 (氣海) [기해]

한자: 氣(기운 기), 海(바다 해:)

배꼽 아래 한 치쯤 되는 부분의 급소로 한방에서 하단전을 혈로서 이르는 말.

211. 기허 (氣虛) [기허]

한자: 氣(기운 기), 虛(빌 허)

기(氣)가 허약한 병리 현상. 혹은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대개 장부(臟腑)의 손상이나 오랜 지병으로 인하여 원기가 손상되어 생긴다.

212. 기허증 (氣虛症) [기허쯩]

한자: 氣(기운 기), 虛(빌 허), 症(증세 증(:))

기(氣)가 허약한 병리 현상. 혹은 그로 인하여 나타나는 증상. 대개 장부(臟腑)의 손상이나 오랜 지병으로 인하여 원기가 손상되어 생긴다.

213. 기허하다 (氣虛하다) [기허하다]

한자: 氣(기운 기), 虛(빌 허)

기력이 허약하다.

214. 기혈 (氣穴) [기혈]

한자: 氣(기운 기), 穴(굴 혈)

14경맥(經脈)에 속해 있는 혈(穴)을 이르는 말. 경락(經絡)의 기혈(氣血)이 신체 표면에 모여 통과하는 부위로, 침을 놓거나 뜸을 떠서 자극을 내부 장기(臟器)로 전달하기도 하고 내부 장기의 징후를 드러내기도 한다.

215. 기혈 (氣血) [기혈]

한자: 氣(기운 기), 血(피 혈)

기와 혈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기혈이 막히다.
  • 기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다.
  • 체했을 때는 우선 손가락을 바늘로 따서 기혈을 통하게 한다.

216. 기혈쌍보 (氣血雙補) [기혈쌍보]

한자: 氣(기운 기), 血(피 혈), 雙(두/쌍 쌍), 補(기울 보:)

약을 먹어 원기와 피를 다 보함.

217. 기협 (氣俠) [기협]

한자: 氣(기운 기), 俠(의기로울 협)

호탕한 기상.

218. 기협하다 (氣俠하다) [기혀파다]

한자: 氣(기운 기), 俠(의기로울 협)

기개가 호협하다.

219. 기혼하다 (氣昏하다) [기혼하다]

한자: 氣(기운 기), 昏(어두울 혼)

기력이 없어 정신이 아득하고 흐리멍덩하다.

용례:

통곡하던 사람이 기혼하여 쓰러졌다.

220. 기화 (氣化) [기화]

한자: 氣(기운 기), 化(될 화(:))

액체가 기체로 변함. 또는 그런 현상.

용례:

냉매는 냉동기 등에서 그 속을 순환하면서 기화, 액화를 되풀이하여 주위로부터 열을 빼앗아 온도를 낮게 하는 기체 물질을 말한다.

221. 기화기 (氣化器) [기화기]

한자: 氣(기운 기), 化(될 화(:)), 器(그릇 기)

가솔린 기관에서, 가솔린과 공기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실린더에 보내는 장치. 항공기용, 자동차용, 선박용 따위가 있다.

222. 기화되다 (氣化되다) [기화되다]

한자: 氣(기운 기), 化(될 화(:))

액체가 기체로 변하게 되다.

223. 기화열 (氣化熱) [기화열]

한자: 氣(기운 기), 化(될 화(:)), 熱(더울 열)

액체가 기화할 때 외부로부터 흡수하는 열량. 보통 일정한 온도에서 1그램의 물질을 기화하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나타내는데, 100℃에서 물 1그램의 기화열은 539.8cal이다. 기호는 cal/g.

224. 기화하다 (氣化하다) [기화하다]

한자: 氣(기운 기), 化(될 화(:))

액체가 기체로 변하다.

225. 기황 (氣黃) [기황]

한자: 氣(기운 기), 黃(누를 황)

황달의 하나. 온몸이 노래지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배와 옆구리가 뻐근하면서 아프고 오줌이 잘 나오지 않는다.

226. 기후 (氣候) [기후]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1」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대기(大氣) 상태.
「2」일 년의 이십사절기와 칠십이후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는 15일, ‘후’는 5일을 뜻한다.
「3」일정한 지역에서 여러 해에 걸쳐 나타난 기온, 비, 눈, 바람 따위의 평균 상태.

용례:

  • 「1」서늘한 기후.
  • 「1」기후가 나쁘다.
  • 「1」기후의 변화가 심하다.
  • 「1」요즘은 겨울인지 봄인지 알 수 없는 기후가 계속되어 왔다.≪유현종, 들불≫
  • 「3」고온 다습한 기후.
  • 「3」이곳 기후는 농사짓기에 좋다.

227. 기후 (氣候) [기후]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몸과 마음의 형편이라는 뜻으로, 웃어른께 올리는 편지에서 문안할 때 쓰는 말.

용례:

  • 기후 안녕하십니까. 문안 여쭙니다.
  • 내내 기후 안강하오시고 백 년 향수하오소서.≪한무숙, 이사종의 아내≫

228. 기후계 (氣候界) [기후계]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界(지경 계:)

두 기후의 경계. 산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229. 기후구 (氣候區) [기후구]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區(구분할/지경 구)

기후대를 비슷한 기후 특성에 따라 세분한 지역. 식물 분포, 해양의 위치, 산맥의 높이 따위를 기준으로 하여 세분한다.

230. 기후대 (氣候帶) [기후대]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帶(띠 대(:))

공통적인 기후 특성에 따라 구분한 지대. 일반적으로 기온에 따라 크게 열대, 온대, 한대로 나누며 대체로 위도에 평행하게 나타난다.

231. 기후도 (氣候圖) [기후도]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圖(그림 도)

기후의 지리적 분포를 나타낸 지도. 기후 요소별로 등치선을 사용하여 나타낸 것이 많다. 등온선도, 등우량선도, 등압선도 따위가 이에 속한다.

232. 기후변화 (氣候變化) [기후변:화]

한자: 氣(기운 기), 候(기후 후:), 變(변할 변:), 化(될 화(:))

일정 지역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서 진행되는 기상의 변화.

용례:

  • 기후 변화에 대응하다.
  • 기후 변화로 인해 지구의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233. 기훈 (氣暈) [기훈]

한자: 氣(기운 기), 暈(무리[光環] 훈)

과로로 힘이 없고 현기증이 나는 증상.

234. 기흉 (氣胸) [기흉]

한자: 氣(기운 기), 胸(가슴 흉)

가슴막안에 공기가 차 있는 상태. 흉부 부상 또는 결핵이나 폐렴 따위로 허파의 표면에 구멍이 생기는 것이 원인이며, 폐가 수축하여 호흡 곤란 증상이 나타난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