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3

91. 금서성 (禁書省) [금:서성]

한자: 禁(금할 금:), 書(글 서), 省(살필 성)

후고구려에서, 경적(經籍)과 축문(祝文)을 맡아보던 관아. 고려의 비서성과 같다.

92. 금선 (禁線) [금:선]

한자: 禁(금할 금:), 線(줄 선)

줄을 쳐 놓고 들어가지 못하도록 금하는 선.

93. 금성 (禁城) [금:성]

한자: 禁(금할 금:), 城(재 성)

궁궐을 둘러싼 성벽.

94. 금성 (禁省) [금:성]

한자: 禁(금할 금:), 省(살필 성)

궁궐과 그 안에 있는 관아를 이르던 말.

95. 금속 (禁贖) [금:속]

한자: 禁(금할 금:), 贖(속죄할 속)

금지령을 어긴 죄를 씻고자 바치는 돈.

96. 금송 (禁松) [금:송]

한자: 禁(금할 금:), 松(소나무 송)

소나무를 베지 못하게 금하던 일.

97. 금송군 (禁松軍) [금:송군]

한자: 禁(금할 금:), 松(소나무 송), 軍(군사 군)

조선 시대에, 국유(國有) 송림의 벌목을 막으려고 둔 군사.

98. 금송자내 (禁松字內) [금:송자내]

한자: 禁(금할 금:), 松(소나무 송), 字(글자 자), 內(안 내:)

조선 시대에, 서울의 안팎에 있는 산림을 함부로 베지 못하게 하던 구역.

99. 금수 (禁輸) [금:수]

한자: 禁(금할 금:), 輸(보낼 수)

수입이나 수출을 금함.

용례:

  • 금수 조치.
  • 금수 품목.
  • 경제 제재 조치의 하나로 석유 자원의 금수가 단행되었다.

100. 금식 (禁食) [금:식]

한자: 禁(금할 금:), 食(밥/먹을 식)

치료나 종교,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일정 기간 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게 금해짐. 또는 먹지 않음.

용례:

  • 금식 기도.
  • 병원에서는 수술할 환자에게 금식을 시킨다.
  • 금식이라고는 하지만 아주 음식을 입에 대지 않았던 것은 아니었다.≪박경리, 토지≫

101. 금식재 (禁食齋) [금:식째]

한자: 禁(금할 금:), 食(밥/먹을 식), 齋(재계할/집 재)

사순절이 시작되는 수요일과 성주간의 예수 수난 금요일에 단식하며 마음과 몸을 깨끗이 하는 일.

102. 금식하다 (禁食하다) [금:시카다]

한자: 禁(금할 금:), 食(밥/먹을 식)

치료나 종교, 또는 그 밖의 이유로 일정 기간 동안 음식을 먹지 못하게 금해지다. 또는 먹지 않다.

용례:

  • 역사에 이름을 남긴 역대의 수녀들 중에서 50일 이상 금식하여 소임에 충실한 예는 부지기수이다.
  • 건강 검진을 받기 위하여 아침을 금식했다.

103. 금알 (禁遏) [그:말]

한자: 禁(금할 금:), 遏(막을 알)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함.

104. 금압 (禁壓) [그:맙]

한자: 禁(금할 금:), 壓(누를 압)

억눌러서 못 하게 함.

용례:

  • 금압 앞에서 더 치열하게 타오르는 그 불가사의한 열정.≪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그 무서운 신심 때문에, 오늘날 천주학이 그 무자비한 금압의 굴레를 벗고 저렇게 활개를 치게 된 것입니다.≪송기숙, 녹두 장군≫

105. 금압하다 (禁壓하다) [그:마파다]

한자: 禁(금할 금:), 壓(누를 압)

억눌러서 못 하게 하다.

용례:

신라 초기에는 나라에서 불교를 금압했다.

106. 금애 (禁隘) [그:매]

한자: 禁(금할 금:), 隘(좁을 애)

출입이 금지되어 있는 요새 지대.

107. 금액 (禁掖) [그:맥]

한자: 禁(금할 금:), 掖(낄/겨드랑이 액)

대궐 안.

108. 금약 (禁約) [그:먁]

한자: 禁(금할 금:), 約(맺을 약)

하지 못하게 단속함.

109. 금약 (禁藥) [그:먁]

한자: 禁(금할 금:), 藥(약 약)

먹지 못하게 하는 약.

110. 금양 (禁養) [그:먕]

한자: 禁(금할 금:), 養(기를 양:)

나무나 풀 따위를 함부로 베지 못하도록 하여 가꿈.

111. 금어 (禁漁) [그:머]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어류 따위를 잡지 못하게 함.

112. 금어구 (禁漁具) [그:머구]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具(갖출 구(:))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쓰지 못하게 하는 고기잡이 도구.

113. 금어구 (禁漁區) [그:머구]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區(구분할/지경 구)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고기잡이를 하지 못하도록 한 구역.

용례:

최근에 발견된 희귀종을 보호하기 위하여 정부는 섬 주변을 금어구로 설정하였다.

114. 금어기 (禁漁期) [그:머기]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고기잡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정한 기간. 보통 산란기를 그 기간으로 정한다.

용례:

  • 주요 어종의 금어기가 해제되자 어촌 마을에 활기가 돈다.
  • 여름철 산란기를 맞는 대게가 6월부터 금어기에 들어갈 예정이다.

115. 금어령 (禁漁令) [그:머령]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令(하여금 령(:))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고기잡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령이나 명령.

116. 금어해역 (禁漁海域) [그:머해:역]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海(바다 해:), 域(지경 역)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고기잡이를 못하도록 하는 해역.

117. 금언 (禁言) [그:먼]

한자: 禁(금할 금:), 言(말씀 언)

말을 하지 않음.

118. 금언패 (禁言牌) [그:먼패]

한자: 禁(금할 금:), 言(말씀 언), 牌(패(牌) 패)

말하지 말라는 뜻으로 ‘禁言’이라고 쓰거나 새긴 나뭇조각.

119. 금연 (禁煙) [그:면]

한자: 禁(금할 금:), 煙(연기 연)

「1」담배를 피우는 것을 금함.
「2」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의식적으로 피우지 않음.

용례:

  • 「1」금연 좌석.
  • 「1」금연 구역.
  • 「2」금주보다 금연이 더 어려운 법이다.
  • 「2」정초에는 금연을 결심하는 사람들이 많다.

120. 금연권 (禁煙權) [그:면꿘]

한자: 禁(금할 금:), 煙(연기 연), 權(권세 권)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의 피해에서 보호될 사회적 권리.

용례:

요즘 드높아지는 금연권 때문에 내놓고 담배 피우기도 어려워졌다.

121. 금연석 (禁煙席) [그:면석]

한자: 禁(금할 금:), 煙(연기 연), 席(자리 석)

담배를 피울 수 없는 좌석.

용례:

이 자리는 금연석이므로 흡연을 삼가 주십시오.

122. 금연침 (禁煙鍼) [그:면침]

한자: 禁(금할 금:), 煙(연기 연), 鍼(침(鍼) 침)

담배를 끊는 데 도움이 되는 침. 담배를 피우고 싶은 욕구를 없애고 담배 맛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한다.

123. 금연하다 (禁煙하다) [그:면하다]

한자: 禁(금할 금:), 煙(연기 연)

「1」담배를 피우는 것을 금하다.
「2」담배를 피우던 사람이 의식적으로 피우지 아니하다.

용례:

  • 「1」이곳은 금연하는 장소이다.
  • 「2」요즘은 금연하려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 「2」웬만한 결심 아니면 금연하기가 어렵다.
  • 「2」그는 매년 새해에 금연하려고 결심했으나 끝내 실패하고 말았다.

124. 금영 (禁營) [그:명]

한자: 禁(금할 금:), 營(경영할 영)

궁궐 안을 지키는 병사들이 머물던 군영.

125. 금옥 (禁獄) [그:목]

한자: 禁(금할 금:), 獄(옥[囚舍] 옥)

옥에 가두어 두던 형벌. 중죄(重罪)에 부과하는 형으로, 중금옥과 경금옥이 있었다.

126. 금욕 (禁慾) [그:묙]

한자: 禁(금할 금:), 慾(욕심 욕)

욕구나 욕망을 억제하고 금함.

용례:

그는 마치 수도원에 금욕의 생활을 하고 있는 신녀(信女)같이 보이었다.≪나도향, 환희≫

127. 금욕주의 (禁慾主義) [그:묙쭈이]

한자: 禁(금할 금:), 慾(욕심 욕),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정신적·육체적 욕망이나 욕구 및 세속적 명예나 이익을 탐하는 모든 욕심을 억제하여 종교나 도덕에서 이상을 성취하려는 사상. 불교나 기독교에서도 이 사상을 볼 수 있다.

128. 금욕주의자 (禁慾主義者) [그:묙쭈이자]

한자: 禁(금할 금:), 慾(욕심 욕),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者(놈 자)

금욕주의를 믿거나 주장하는 사람.

용례:

금욕주의자가 아닌 그는 이따금 여자를 만나 미래가 없고 인색한 풋사랑을 나누기도 했지만….≪박경리, 토지≫

129. 금원 (禁苑) [그:뭔]

한자: 禁(금할 금:), 苑(나라동산 원:)

예전에, 궁궐 안에 있던 동산이나 후원.

용례:

경복궁 금원 늙은 나무 수풀에서는 저녁 까치 소리가 시끄럽게 들린다.≪이광수, 무정≫

130. 금원 (禁垣) [그:뭔]

한자: 禁(금할 금:), 垣(담 원)

예전에, 궁궐의 안을 이르던 말.

131. 금위 (禁衛) [그:뮈]

한자: 禁(금할 금:), 衛(지킬 위)

고려·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경비하던 친위병.

132. 금위군 (禁衛軍) [그:뮈군]

한자: 禁(금할 금:), 衛(지킬 위), 軍(군사 군)

「1」고려·조선 시대에, 궁중을 지키고 임금을 호위·경비하던 친위병.
「2」중국에서, 천자의 궁성을 지키던 군대. 한나라의 낭위병위(郎衛兵衛), 당나라의 남북아(南北衙), 송나라의 금군(禁軍), 명나라의 시위상직군(侍衛上直軍), 청나라의 호군영(護軍營) 및 팔기 호군영(八旗護軍營) 따위이다.

133. 금위대장 (禁衛大將) [그:뮈대:장]

한자: 禁(금할 금:), 衛(지킬 위), 大(큰 대(:)), 將(장수 장(:))

조선 후기에 둔, 금위영의 으뜸 벼슬. 종이품 가선대부로, 병조 판서가 겸임하다가 영조 30년(1754)에 별도의 대장을 두었다.

134. 금위영 (禁衛營) [그:뮈영]

한자: 禁(금할 금:), 衛(지킬 위), 營(경영할 영)

조선 시대에 둔 오군영의 하나. 서울을 지키던 군영으로 숙종 8년(1682)에 정초군과 훈련별대(訓鍊別隊)를 합쳐 설치하였으며, 고종 18년(1881)에 장어영으로 통합하였다가 고종 22년에 없앴다.

135. 금육 (禁肉) [그:뮥]

한자: 禁(금할 금:), 肉(고기 육)

고기붙이를 먹지 아니함.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