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4

136. 금육재 (禁肉齋) [그:뮥째]

한자: 禁(금할 금:), 肉(고기 육), 齋(재계할/집 재)

사순절이 시작되는 수요일과 사순절의 매 금요일에 육식을 끊고 재계하는 일.

137. 금자 (禁子) [금:자]

한자: 禁(금할 금:), 子(아들 자)

옥에 갇힌 사람을 맡아 지키던 사람.

138. 금잡인 (禁雜人) [금:자빈]

한자: 禁(금할 금:), 雜(섞일 잡), 人(사람 인)

관계없는 사람이 함부로 드나드는 것을 금함.

용례:

순위부 군사가 금잡인을 하옵고 파수를 지켜 있사옵니다.≪박종화, 다정불심≫

139. 금잡인하다 (禁雜人하다) [금:자빈하다]

한자: 禁(금할 금:), 雜(섞일 잡), 人(사람 인)

관계없는 사람이 함부로 드나드는 것을 금하다.

용례:

무엄한 놈이지, 막중 이 행차가 어떤 행차라고 목욕재계하고 금잡인하고 귀빈의 명을 받들어 가는 행차에 가로 거치적거릴 법이 있단 말이냐.≪박종화, 임진왜란≫

140. 금장 (禁仗) [금:장]

한자: 禁(금할 금:), 仗(의장(儀仗) 장)

죄인을 치거나 찌르는 데에 쓰던, 창처럼 생긴 형구.

141. 금장 (禁將) [금:장]

한자: 禁(금할 금:), 將(장수 장(:))

조선 후기에 둔, 금위영의 으뜸 벼슬. 종이품 가선대부로, 병조 판서가 겸임하다가 영조 30년(1754)에 별도의 대장을 두었다.

142. 금장 (禁葬) [금:장]

한자: 禁(금할 금:), 葬(장사지낼 장:)

어떤 장소에 매장을 금함.

용례:

마을의 어르신들은 금장 지역을 훼손하는 암장이 있을 때에는 심한 한재가 든다고 믿고 있었다.

143. 금장군사 (禁仗軍士) [금:장군사]

한자: 禁(금할 금:), 仗(의장(儀仗) 장), 軍(군사 군), 士(선비 사:)

궁궐을 경비하고 문에서 보초를 서던 군사.

144. 금장지지 (禁葬之地) [금:장지지]

한자: 禁(금할 금:), 葬(장사지낼 장:), 之(갈 지), 地(따 지)

매장(埋葬)을 금지하는 땅.

145. 금장처 (禁葬處) [금:장처]

한자: 禁(금할 금:), 葬(장사지낼 장:), 處(곳 처:)

매장을 금지하는 곳.

146. 금전 (禁轉) [금:전]

한자: 禁(금할 금:), 轉(구를 전:)

수표나 어음 따위의 양도를 금지함.

147. 금전수표 (禁轉手票) [금:전수표]

한자: 禁(금할 금:), 轉(구를 전:), 手(손 수(:)), 票(표 표)

발행인이나 배서인이 배서 양도를 금한다는 내용을 적은 수표.

148. 금전어음 (禁轉어음) [금:저너음]

한자: 禁(금할 금:), 轉(구를 전:)

발행인이나 배서인이 배서 양도를 금한다는 내용을 적은 어음.

149. 금절하다 (禁絕하다) [금:절하다]

한자: 禁(금할 금:), 絕(끊을 절)

엄중히 금하여 근절하다.

용례:

국가에 공론이 없으면 더 이상의 발전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이를 금절해서는 안 된다.

150. 금제 (禁制) [금:제]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말림. 또는 그런 법규.

용례:

  • 사회적 금제를 깨뜨리다.
  • 조선 시대의 복식에는 까다로운 금제가 있어 염색 기술이 발달하기 어려웠다.

151. 금제되다 (禁制되다) [금:제되다]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저지되다.

용례:

마을 아이들에게는 언덕과 냇물을 지나야 하는 읍내 길이 금제되어 있었다.

152. 금제품 (禁制品) [금:제품]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品(물건 품:)

법령에 의하여 소유나 거래가 금지되어 있는 물품. 아편, 위조지폐, 외설 서적이나 그림 따위이다.(금제물(禁制物))

용례:

국내에서 판매가 금지된 금제품을 밀수하려던 조직이 검찰에 대거 구속되었다.

153. 금제하다 (禁制하다) [금:제하다]

한자: 禁(금할 금:), 制(절제할 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말리다.

용례:

  • 밀수입을 금제하다.
  • 당장 그 두 놈을 잡아 가두고 앞으로는 그런 일이 없도록 단단히 금제하시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54. 금조 (禁鳥) [금:조]

한자: 禁(금할 금:), 鳥(새 조)

법률로 잡지 못하게 하여 보호하는 새. 천연기념물 또는 학술 연구나 산업상의 이유로 보호하는데 지역적인 것과 시기적인 것이 있다.

155. 금족 (禁足) [금:족]

한자: 禁(금할 금:), 足(발 족)

「1」일정한 곳에 머무르게 하고 외출을 못하게 함.
「2」결제(結制)할 때 드나들지 못하게 하는 일. 절의 방문 밖 문지방 왼쪽에 써 붙인다.

용례:

  • 「1」금족을 시키다.
  • 「1」오 도령은 한 번 나간 뒤로 발걸음을 못했으나, 연연한 정은 도무지 잊을 수가 없었다. 하지만 금족을 당한 터에 맘대로 만날 수도 없고, 그대로 참자니 살이 내릴 지경이다.≪이기영, 봄≫

156. 금족령 (禁足令) [금:종녕]

한자: 禁(금할 금:), 足(발 족), 令(하여금 령(:))

「1」외출을 금하는 명령.
「2」비상시에 장병들이 부대 밖으로 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명령.

용례:

  • 「1」금족령을 풀다.
  • 「1」금족령을 어기다.
  • 「1」다시는 태임이가 종상의 거처에 얼씬을 못하도록 중문 밖을 못 나오게 엄한 금족령을 내리고도 미심쩍어 유심히 종상의 거처 근방을 살피곤 했었다.≪박완서, 미망≫

157. 금주 (禁酒) [금:주]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1」술을 마시지 못하게 함.
「2」술을 마시던 사람이 술을 먹지 않고 끊음.

용례:

  • 「1」금주를 법으로 정하다.
  • 「2」금주 운동.
  • 「2」금주를 시작하다.
  • 「2」그는 간이 나빠져 금주를 결심했다.
  • 「2」아버지는 에잇 모르겠다 찬장에서 소주병을 꺼내 들고 잔에 따라 마실까 말까, 며칠간의 금주를 깨뜨릴까 말까 아주 위태위태하였었다.≪최인호, 처세술 개론≫

158. 금주가 (禁酒家) [금:주가]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家(집 가)

술을 끊은 사람이나 먹지 않는 사람.

159. 금주론 (禁酒論) [금:주론]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論(논할 론)

술을 먹으면 몸에 끼치는 해독이 클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도 손실이 크므로 술을 먹지 말자는 주장.

용례:

금주론을 펴다.

160. 금주법 (禁酒法) [금:주뻡]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法(법 법)

술을 만들거나 사고팔거나 운반하는 일을 금지하는 법.

용례:

  • 금주법을 제정하다.
  • 금주법을 시행하다.
  • 결과적으로 금주법은 실패한 법의 대표적인 예가 되곤 하는데 그것은 애초에 실현이 거의 불가능한 선을 지향한 까닭이었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61. 금주운동 (禁酒運動) [금:주운:동]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運(옮길 운:), 動(움직일 동:)

술이 심신에 미치는 해독을 설명하여 일반인에게 술을 먹지 말도록 장려하는 사회 운동.

162. 금주하다 (禁酒하다) [금:주하다]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1」술을 마시지 못하게 하다.
「2」술을 마시던 사람이 술을 먹지 않고 끊다.

용례:

  • 「2」이 약을 드실 동안에는 반드시 금주하셔야 합니다.
  • 「2」그는 건강이 아주 나빠져 이참에 금주하기로 결심했다.

163. 금주회 (禁酒會) [금:주회]

한자: 禁(금할 금:), 酒(술 주(:)), 會(모일 회:)

규약을 정하여 금주를 실행하고 그 이점을 널리 선전하는 모임.

164. 금줄 (禁줄) [금:쭐]

한자: 禁(금할 금:)

부정한 것의 침범이나 접근을 막기 위하여 문이나 길 어귀에 건너질러 매거나 신성한 대상물에 매는 새끼줄. 아이를 낳았을 때, 장 담글 때, 잡병을 쫓고자 할 때, 신성 영역을 나타내고자 할 때에 사용한다. 이 줄이 있는 곳은 사람이 함부로 드나들지 못한다.

용례:

  • 금줄을 치다.
  • 대문 밖에 소금 뿌리고, 금줄 치고, 가시 많은 찔레 덤불을 베어다 앞을 막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65. 금줄 (禁줄) [금:쭐]

한자: 禁(금할 금:)

굿패의 우두머리.

166. 금중 (禁中) [금:중]

한자: 禁(금할 금:), 中(가운데 중)

대궐 안.

용례:

태종은 일찍이 금중에 감나무를 심고 상완하였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167. 금즙하다 (禁戢하다) [금:즈파다]

한자: 禁(금할 금:), 戢(거둘 즙)

어떤 사람을 물리치거나 어떤 일을 하지 못하도록 금하다.

용례:

도적을 금즙하다.

168. 금지 (禁止) [금:지]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함.

용례:

  • 금지 기간.
  • 금지 조항.
  • 수입 금지 품목.
  • 금지를 당하다.
  • 금일 오전 8시부터 천도교당 내에서 개최하려던 두 동맹 주최의 암태 소작 쟁의 동정 연설회는 당국의 금지로 못하게 되었다는데….≪송기숙, 암태도≫

169. 금지 (禁地) [금:지]

한자: 禁(금할 금:), 地(따 지)

함부로 드나들지 못하게 하는 땅.

용례:

  • 금지를 범하다.
  • 금지가 되다.
  • 사원(賜苑)이라 이름한 천여 평의 계곡 기슭도 몇 차례 시비가 있은 후에는 황제와 그 측근만이 소요할 수 있는 금지로 인정되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70. 금지곡 (禁止曲) [금:지곡]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曲(굽을 곡)

정치적·사회적인 이유로 정부에서 부르지 못하게 한 노래.

용례:

  • 방송 금지곡.
  • 금지곡으로 지정되다.
  • 금지곡에서 해제되다.
  • 종전에 일부 가요는 가사 불량, 혐오감 조성과 같은 이유로 금지곡이 되기도 했었다.
  • 어떤 계집애는 그 금지곡의 가사에 새삼 감동한 나머지 주룩주룩 눈물을 흘렸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71. 금지관세 (禁止關稅) [금:지관세]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關(관계할 관), 稅(세금 세:)

자기 나라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입품에 부과하는 높은 비율의 관세. 특정한 상대국을 목표로 하여 통상전(通商戰)의 무기로 쓰기도 한다.

172. 금지권 (禁止權) [금:지꿘]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權(권세 권)

남에게 특정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요구할 수 있는 권리.

173. 금지규정 (禁止規定) [금:지규정]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規(법 규), 定(정할 정:)

일정한 행위를 못하게 하는 규정.

174. 금지되다 (禁止되다) [금:지되다]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법이나 규칙이나 명령 따위로 어떤 행위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다.

용례:

  • 개발이 원천적으로 금지되는 자연 보호 지역.
  • 휴전선 부근은 휴전 이후 민간인의 출입이 금지되어 왔다.
  • 전방 지역에 내린 특별 경계령으로 사병들의 외출과 외박이 금지되었다.

175. 금지띠 (禁止띠) [금:지띠]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고체 가운데에서 전자가 차지할 수 없는 에너지 준위(準位)의 영역.

176. 금지령 (禁止令) [금:지령]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令(하여금 령(:))

금지하는 법령이나 명령.

용례:

  • 출국 금지령.
  • 금지령을 내리다.
  • 금지령을 받다.
  • 금지령을 선포하다.
  • 출륙 금지령이 내린 이 섬에는 포구마다 기찰이 심하고….≪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77. 금지명령 (禁止命令) [금:지명:녕]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命(목숨 명:), 令(하여금 령(:))

일정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명령.

178. 금지법 (禁止法) [금:지뻡]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法(법 법)

「1」일정한 행위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법.
「2」국제 사법에서, 외국법의 적용을 배제하는 내국법.

용례:

  • 「1」독과점 금지법.
  • 「1」금지법을 제정하다.
  • 「1」금지법이 시행되다.
  • 「1」우리나라에서도 일부 종교 단체 등에서 복제 실험 금지법 청원서를 국회에 제출하였다.

179. 금지본 (禁止本) [금:지본]

한자: 禁(금할 금:), 止(그칠 지), 本(근본 본)

출판이나 판매 또는 독서를 법적으로 금지한 책.

180. 금지부득 (禁之不得) [금:지부득]

한자: 禁(금할 금:), 之(갈 지), 不(아닐 불), 得(얻을 득)

하지 못하게 말릴 수가 없음.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禁 금할 금: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