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 (基) [기]
한자: 基(터 기)
화학 반응에서, 분해되지 않고 마치 한 원자처럼 행동하는 원자들의 덩어리. 메틸기, 수산기, 황산기 따위가 있다.
2. 기 (基) [기]
한자: 基(터 기)
「1」무덤, 비석, 탑 따위를 세는 단위.
「2」원자로, 유도탄 따위를 세는 단위.
용례:
- 「1」묘역은 사방 십 리인지라 그 안에 있던 백성들의 가옥, 전답은 물론 수천 기의 조상 묏자리까지 빼앗겼으니….≪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2」대륙 간 탄도 유도탄 12기.
- 「2」정부는 현재 43기의 원자력 발전소를 내년까지 55기로 늘려 국내 전력의 40%를 충당할 예정이다.
3. 기간 (基幹) [기간]
한자: 基(터 기), 幹(줄기 간)
어떤 분야나 부문에서 가장 으뜸이 되거나 중심이 되는 부분.
용례:
- 기간 조직.
- 조선은 유교가 기간이 되는 도덕을 정치 이념으로 삼았다.
- 혜택을 받고 있는 모희규지만, 후보생을 제외한 훈련소의 기간 장교들은 그를 마치 괴물을 보듯이 싫어했다.≪홍성원, 육이오≫
- 애초부터 그쪽 인원을 믿고 그쪽 인원으로 기간을 삼자는 것은 아니었으니까요.≪박경리, 토지≫
4. 기간요원 (基幹要員) [기간뇨원]
한자: 基(터 기), 幹(줄기 간), 要(요긴할 요(:)), 員(인원 원)
어떤 단체나 기관에서 핵심적인 구실을 하는 중요한 사람.
용례:
대열을 정돈하고 있던 기간요원인 건설 반장의 불호령이다. “이쪽을 주목해요, 이쪽을…….”≪전광용, 태백산맥≫
5. 기간적 (基幹的) [기간적]
한자: 基(터 기), 幹(줄기 간), 的(과녁 적)
[Ⅰ]어떤 분야나 부문에서 가장 으뜸이 되거나 중심이 될 만한 것.
[Ⅱ]어떤 분야나 부문에서 가장 으뜸이 되거나 중심이 될 만한.
용례:
- [Ⅰ]제철, 제강은 기간적인 공업 분야이다.
- [Ⅰ]자금 운용에 있어서 기간적인 자금을 계획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Ⅱ]이 조직은 그 체계를 지탱해 주는 기간적 존재이다.
6. 기거 (基據) [기거]
한자: 基(터 기), 據(근거 거:)
터전을 닦음. 또는 그 터전.
7. 기격 (基格) [기격]
한자: 基(터 기), 格(격식 격)
기본이 되는 격식.
8. 기근 (基根) [기근]
한자: 基(터 기), 根(뿌리 근)
사물이나 현상, 이론, 시설 따위를 이루는 바탕.
9. 기금 (基金) [기금]
한자: 基(터 기), 金(쇠 금)
어떤 목적이나 사업, 행사 따위에 쓸 기본적인 자금. 또는 기초가 되는 자금.
용례:
- 기금을 조성하다.
- 행사 기금이 마련되다.
- 동창회 기금을 거두다.
- 이번에 모은 돈은 장학 사업을 위한 기금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10. 기단 (基壇) [기단]
한자: 基(터 기), 壇(단 단)
건축물의 터를 반듯하게 다듬은 다음에 터보다 한 층 높게 쌓은 단.
용례:
첨성대의 기단은 정사각형이다.
11. 기독 (基督) [기독]
한자: 基(터 기), 督(감독할 독)
‘그리스도’(예수에 대한 칭호.)의 음역어.
용례:
어떤 불순한 동기에서 기독을 믿는 것도 아니고 그래서 우리들이 포교하고 있는 것도 아닙니다.≪유현종, 들불≫
12. 기독교 (基督敎) [기독꾜]
한자: 基(터 기), 督(감독할 독), 敎(가르칠 교:)
예수 그리스도의 인격과 교훈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천지 만물을 창조한 유일신을 섬기고, 그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를 구세주로 믿는다.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나 로마 제국의 국교가 되었고, 다시 페르시아·인도·중국 등지에 전해졌다. 11세기에 그리스 정교회가 갈려 나갔고, 16세기 종교 개혁으로 로마 가톨릭교회는 구교인 가톨릭교와 신교로 분리되어 현재 세 교회로 나뉘어 있다.
용례:
- 근현대사 책을 통해 기독교가 한국에 전파된 과정을 배웠다.
- 그는 사 대째 기독교를 믿는 집안에서 자랐다.
13. 기독교인 (基督敎人) [기독꾜인]
한자: 基(터 기), 督(감독할 독), 敎(가르칠 교:), 人(사람 인)
기독교를 믿는 사람.
용례:
- 그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어머니의 영향으로 성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 일찍부터 개화하여 남 먼저 기독교인이 된 여옥의 부친은 같은 교인으로서 신앙이 독실하고 장래가 유망하다 하여….≪박경리, 토지≫
14. 기모체 (基毛體) [기모체]
한자: 基(터 기), 毛(터럭 모), 體(몸 체)
원생동물에서, 편모나 섬모의 형성을 유도하는 세포 내의 기관(器官).
15. 기반 (基盤) [기반]
한자: 基(터 기), 盤(소반 반)
기초가 되는 바탕. 또는 사물의 토대.
용례:
- 기반을 다지다.
- 기반을 닦다.
- 판소리는 전승되는 설화에 기반을 두고 형성되었다.
- 서울에 온 지 10년 만에야 생활의 기반을 잡았다.
- 서구의 시민 계급이라면 중산층의 경제적 기반 위에 이루어진 건데, 우리나란 어디 중산층이 있나요.≪김원일, 불의 제전≫
16. 기반암 (基盤巖) [기바남]
한자: 基(터 기), 盤(소반 반), 巖(바위 암)
「1」겉흙의 아래에 놓여 있는 굳은 암석.
「2」퇴적물 아래의 지각 부분. 보통 화성암과 변성암의 복합체로 이루어진다.
17. 기반하다 (基盤하다) [기반하다]
한자: 基(터 기), 盤(소반 반)
바탕이나 토대를 두다.
용례:
- 그는 오랜 경험에 기반하여 사건을 해결했다.
- 요즘엔 실화에 기반한 영화가 인기다.
18. 기본 (基本) [기본]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사물이나 현상, 이론, 시설 따위를 이루는 바탕.
용례:
- 첨단 기능을 기본으로 갖춘 컴퓨터.
- 기본을 익히다.
- 격렬한 논란 끝에 양측은 기본 원칙에 합의했다.
- 인간 존중은 민주주의의 기본이다.
- 무슨 일을 하든지 기본이 충실해야 발전할 수 있다.
19. 기본권 (基本權) [기본꿘]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權(권세 권)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권리. 자유권, 참정권, 사회권 따위가 있다.
용례:
민주 국가는 국민의 기본권을 보장하고 있다.
20. 기본금 (基本金) [기본금]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金(쇠 금)
어떤 목적이나 사업, 행사 따위에 쓸 기본적인 자금. 또는 기초가 되는 자금.
용례:
학우회 기본금과 입회금의 적립 반대, 가족 실습의 수입 이익은 가족에게 분배할 일…….≪이효석, 약령기≫
21. 기본급 (基本給) [기본급]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給(줄 급)
임금(賃金)을 구성하는 요소 가운데, 여러 가지 수당을 제외한 급료. 여러 가지 수당, 상여금, 퇴직금 따위의 산정 기준이 된다.
용례:
- 기본급이 인상되었다.
- 기본급이 적어서 수당을 빼면 월급이 얼마 되지 않는다.
22. 기본기 (基本技) [기본기]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技(재주 기)
악기 따위를 다룰 때나 어떤 운동을 할 때 가장 기초가 되는 기술.
용례:
- 기본기를 닦다.
- 기본기를 착실히 익히다.
- 그 선수는 기본기가 튼튼하지 못하다.
- 도전자는 기본기가 좋았고 몸놀림이 빨랐다.
- 유명한 연주가들의 공통점은 기본기가 탄탄한 것이다.
23. 기본도 (基本圖) [기본도]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圖(그림 도)
일정한 축척과 규격에 따라 측량된, 전국적인 지도 가운데 최대 축척인 지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5만분의 1 지도가 기본도이다.
24. 기본동작 (基本動作) [기본동:작]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動(움직일 동:), 作(지을 작)
기본이 되는 동작.
용례:
태권도의 기본 동작을 배우다.
25. 기본뜻 (基本뜻) [기본뜯]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하나의 어휘에서 기본이 되는 뜻.
26. 기본법 (基本法) [기본뻡]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法(법 법)
「1」다른 여러 가지 법의 기본이 되는 법.
「2」일반적으로 국가의 기본 조직을 규정하는 법. 헌법 따위를 이른다.
용례:
- 「1」농업 관련 기본법.
- 「1」기본법을 제정하다.
- 「1」기본법의 초안을 마련하다.
27. 기본비 (基本費) [기본비]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費(쓸 비:)
기본적으로 드는 돈.
28. 기본색 (基本色) [기본색]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色(빛 색)
물체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색. 무채색으로 하양, 회색, 검정이 있고 유채색으로 빨강, 주황, 노랑, 연두, 초록, 청록, 파랑, 남색, 보라, 자주, 분홍, 갈색 따위가 있다.
29. 기본서 (基本書) [기본서]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書(글 서)
어떤 분야에서 기초적인 내용을 다룬 책. 또는 어떤 분야의 기초가 되는 책.
용례:
공부를 할 때는 기본서부터 시작해서 차츰 수준을 높여 가는 것이 좋다.
30. 기본선 (基本線) [기본선]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線(줄 선)
옷을 만들 때 몸통의 주요 부위들의 자리를 이루는 선.
31. 기본수 (基本數) [기본수]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數(셈 수:)
수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십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의 정수를 이른다.
32. 기본열 (基本列) [기본녈]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列(벌릴 렬)
항의 번호가 커짐에 따라 항과 항의 차가 0에 가까워지는 수열.
33. 기본요금 (基本料金) [기본뇨:금]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料(헤아릴 료(:)), 金(쇠 금)
설비나 서비스 따위를 이용하는 데에 기본적으로 내야 하는 돈.
용례:
- 가정용 전화에는 기본요금을 낮출 예정이다.
- 터미널에서 우리 집까지는 택시를 타더라도 기본요금밖에 안 나온다.
34. 기본율 (基本率) [기본뉼]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率(비율 률(율))
세금 등을 계산할 때 기본적으로 적용되는 비율.
용례:
- 소득세 기본율이 올라가 납부할 세금이 증가하였다.
- 종합 소득세 신고 시 단순 경비율은 업종별로 기본율이 다르므로 자기 업종에 맞는 기본율을 먼저 확인해야 한다.
35. 기본음 (基本音) [기보늠]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音(소리 음)
「1」어떤 물체가 진동에 의하여 소리가 날 때 가장 진동수가 작은 소리.
「2」음악에서 표준음을 이르는 말. 다장조에서 ‘다, 라, 마, 바, 사, 가, 나’의 7음을 이르며, 피아노와 오르간의
흰건반에 해당하는 음이다.
36. 기본자세 (基本姿勢) [기본자:세]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姿(모양 자:), 勢(형세 세:)
어떤 일이나 운동을 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반드시 갖추어야 할 태도나 습관.
용례:
- 너는 아직도 할 수 있다는 기본자세가 안 돼 있어.
- 어떤 운동이든지 기본자세를 익히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
37. 기본적 (基本的) [기본적]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的(과녁 적)
[Ⅰ]사물의 근본이나 기초가 되는 것.
[Ⅱ]사물의 근본이나 기초가 되는.
용례:
- [Ⅰ]기본적인 개념.
- [Ⅰ]그는 기본적으로는 나의 의견에 동의했다.
- [Ⅱ]국민의 기본적 의무.
- [Ⅱ]사람은 누구나 먹고 싶고 자고 싶은 기본적 욕구를 가지고 있다.
38. 기본체 (基本體) [기본체]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體(몸 체)
일부 담자균과 자낭균 가운데 자실체 안에 있는 홀씨 형성 조직.
39. 기본코 (基本코) [기본코]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뜨개질에서, 뜨개질하는 크기에 따라 기본으로 잡는 코. 뜨개질할 때 맨 처음에 만드는 코이며, 대바늘 두 개로 만들거나 코바늘로 만든다.
40. 기본파 (基本波) [기본파]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波(물결 파)
복잡한 진동 현상을 이루는 여러 파동 가운데 가장 기본이 되는 파동.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