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기본형 (基本形) [기본형]
한자: 基(터 기), 本(근본 본), 形(모양 형)
「1」기본이 되는 꼴이나 형식.
「2」결정계에서 세 축을 각각 단위의 길이로 자른 각 면으로 이루어진 결정.
「3」활용하는 단어에서 활용형의 기본이 되는 형태. 국어에서는 어간에 어미
‘-다’를 붙인다.
42. 기부 (基部) [기부]
한자: 基(터 기), 部(떼 부)
기초가 되는 부분.
43. 기비 (基肥) [기비]
한자: 基(터 기), 肥(살찔 비:)
씨를 뿌리거나 모종하기 전에 주는 거름.
44. 기색 (基色) [기색]
한자: 基(터 기), 色(빛 색)
회화나 사진의 복제에서 원래의 색.
45. 기선 (基線) [기선]
한자: 基(터 기), 線(줄 선)
「1」도로, 수로, 전신, 철도 따위에서 줄기가 되는 주요한 선.
「2」삼각 측량에서, 기준이 되는 선.
「3」투영도에서 정면과 평면과의 경계를 나타내는 횡선(橫線). 비교·계산의 기준이
된다.
46. 기성암 (基性巖) [기성암]
한자: 基(터 기), 性(성품 성:), 巖(바위 암)
이산화 규소의 함유량이 비교적 적은 화성암을 통틀어 이르는 말. 거무스름한 빛을 띠며, 화산암 가운데 현무암과 심성암 가운데 반려암이 이에 속한다.
47. 기수 (基數) [기수]
한자: 基(터 기), 數(셈 수:)
「1」수를 나타내는 데 기초가 되는 수. 십진법에서는 0에서 9까지의 정수를 이른다.
「2」집합의 원소의 수. 집합 A와 집합 B가 일대일의 대응을 할 때, A와 B는 기수가 같다고 한다.
48. 기수사 (基數詞) [기수사]
한자: 基(터 기), 數(셈 수:), 詞(말/글 사)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 하나, 둘, 셋 따위이다.
49. 기안목 (基眼目) [기안목]
한자: 基(터 기), 眼(눈 안:), 目(눈 목)
연체동물문 복족강의 한 목. 껍데기는 대개 둘둘 말려 있고 한 쌍의 촉수가 있으며 대부분 민물에 산다. 물달팽잇과, 민물삿갓조갯과 따위가 있다.
50. 기암 (基巖) [기암]
한자: 基(터 기), 巖(바위 암)
구축물의 기초 지반을 구성하는 암석.
51. 기업 (基業) [기업]
한자: 基(터 기), 業(업 업)
「1」기초가 되는 사업.
「2」대대로 물려 내려오는 재산과 사업.
용례:
- 「1」기업으로 삼다.
- 「2」수십 년 기업을 버리다.
- 「2」가친과 장인께서는 나머지 권속들을 안돈하여 기업을 보존하게 하시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52. 기연 (基緣) [기연]
한자: 基(터 기), 緣(인연 연)
그릇 굽의 밑 테두리.
53. 기우 (基宇) [기우]
한자: 基(터 기), 宇(집 우:)
「1」사물의 본질이나 본바탕.
「2」사물이나 일 따위의 기본이 되는 것.
「3」건물, 다리 따위와 같은 구조물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만든 밑받침.
54. 기원 (基源) [기원]
한자: 基(터 기), 源(근원 원)
어떤 사건이나 원인의 처음.
55. 기음 (基音) [기음]
한자: 基(터 기), 音(소리 음)
「1」어떤 물체가 진동에 의하여 소리가 날 때 가장 진동수가 작은 소리.
「2」음악에서 표준음을 이르는 말. 다장조에서 ‘다, 라, 마, 바, 사, 가, 나’의 7음을 이르며, 피아노와 오르간의
흰건반에 해당하는 음이다.
56. 기인 (基因) [기인]
한자: 基(터 기), 因(인할 인)
근본이 되는 원인.
57. 기저 (基底) [기저]
한자: 基(터 기), 底(밑 저:)
「1」어떤 것의 바닥이 되는 부분.
「2」사물의 뿌리나 밑바탕이 되는 기초.
「3」주어진 벡터 공간에 속하는 원소의 모임으로, 임의의 벡터를 그 집합에 속하는 벡터들의 일의적(一意的)인 일차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집합.
용례:
- 「2」이 소설은 도교 사상을 기저에 깔고 있다.
- 「2」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저의 갈등 구조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58. 기저막 (基底膜) [기저막]
한자: 基(터 기), 底(밑 저:), 膜(꺼풀/막 막)
상피 세포, 근육 세포, 내피 세포 등의 바닥면과 결합 조직 사이에 형태가 없는 세포 바깥 물질로 이루어진 얇은 판.
59. 기저체 (基底體) [기저체]
한자: 基(터 기), 底(밑 저:), 體(몸 체)
원생동물에서, 편모나 섬모의 형성을 유도하는 세포 내의 기관(器官).
60. 기저핵 (基底核) [기저핵]
한자: 基(터 기), 底(밑 저:), 核(씨 핵)
대뇌 속질의 가운데에 있는 신경 세포체의 집단을 통틀어 이르는 말. 꼬리핵, 렌즈핵, 편도핵 따위이다.
61. 기절 (基節) [기절]
한자: 基(터 기), 節(마디 절)
갑각류 다리의 두 번째 마디.
62. 기점 (基點) [기쩜]
한자: 基(터 기), 點(점 점(:))
기본이 되는 점이나 곳.
63. 기제 (基劑) [기제]
한자: 基(터 기), 劑(약제 제)
연고나 경고 따위의 약을 만드는 바탕으로 쓰는 물질. 바셀린, 카카오 기름, 라놀린, 왁스, 파라핀 따위가 있다.
64. 기조 (基調) [기조]
한자: 基(터 기), 調(고를 조)
「1」사상, 작품, 학설 따위에 일관해서 흐르는 기본적인 경향이나 방향.
「2」시세나 경제 정세의 기본적 동향.
「3」한 악곡 전체의 중심이 되는 가락.
용례:
- 「1」그의 초기 작품은 인간성 회복을 기조로 삼고 있다.
- 「1」남북 회담 성사로 평화 통일의 기조가 마련되었다.
- 「1」풍랑이 심한 바닷가에 버려진 폐선을 거친 터치로, 청회색 기조로 짓이겨 놓은 풍경화 앞에 선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 「2」경기 침체로 경제의 안정 기조가 흔들리고 있다.
65. 기조연설 (基調演說) [기조연:설]
한자: 基(터 기), 調(고를 조), 演(펼 연:), 說(말씀 설)
국회, 전당 대회, 학회 따위에서 중요 인물이 기본 취지나 정책, 방향 따위에 대하여 설명하는 연설.
용례:
- 국회에서는 각 당 대표의 기조연설로 본회의를 시작하였다.
- 회장의 기조연설로 시작된 학술 대회는 앞으로 3일간 계속될 것이다.
66. 기주 (基主) [기주]
한자: 基(터 기), 主(임금/주인 주)
집터를 지키는 지신(地神). 또는 그 자리. 가마니 같은 것 안에 베 석 자와 짚신 따위를 넣어서 달아 두고 위한다.
67. 기준 (基準) [기준]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Ⅰ]기본이 되는 표준.
[Ⅱ]제식 훈련에서, 대오(隊伍)를 정렬하는 데 기본이 되는 표준을 대원들에게 알리는 구령.
용례:
- [Ⅰ]심사 기준.
- [Ⅰ]평가 기준.
- [Ⅰ]기준을 세우다.
- [Ⅰ]기준을 잡다.
- [Ⅰ]기준을 강화하다.
- [Ⅰ]기준을 바꾸다.
- [Ⅰ]새로운 기준을 적용하다.
- [Ⅰ]가스 배출량이 기준을 초과하다.
- [Ⅰ]세금은 그 기준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Ⅰ]하루아침에 지금까지 내려온 가치 기준과 관습을 뒤엎을 수는 없다.
- [Ⅰ]가해자와 피해자를 얼른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은 체격이었다.≪윤흥길, 비늘≫
- [Ⅰ]시간급제는 종업원이 일한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임금이 지급되는 것이다.
- [Ⅱ]우측 일 번 선두 기준!
68. 기준계 (基準系) [기준계]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系(이어맬 계:)
지각, 판단, 느낌 따위의 기준이 되는 체계. 어떤 사람이 키가 크거나 작다고 하는 판단은 늘 대하는 사람들의 평균 키의 값이 기준계로 작용한 것이다.
69. 기준골 (基準골) [기준꼴]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논밭을 갈 때에 처음에 갈아 놓고 기준으로 삼는 고랑.
70. 기준도 (基準圖) [기준도]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圖(그림 도)
물체의 기준이 되는 도면(圖面).
71. 기준량 (基準量) [기준냥]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量(헤아릴 량)
기준으로 삼는 양.
72. 기준면 (基準面) [기준면]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面(낯 면:)
어떤 높이나 깊이를 잴 때 그 기준으로 삼는 면.
73. 기준병 (基準兵) [기준병]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兵(병사 병)
일정한 대열이나 대형을 지을 때 기준이 되는 자리에 있는 병사.
74. 기준선 (基準線) [기준선]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線(줄 선)
「1」무엇을 재거나 그리거나 할 때 기준으로 잡는 선.
「2」어떤 것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생각이나 사실.
용례:
- 「1」기준선을 잡다.
- 「2」우리가 어떤 체제로 지향하고 선택하든, 나로서는 최소한 양보할 수 없는 기준선을 갖고 있다.
75. 기준시 (基準時) [기준시]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時(때 시)
시간의 순서로 늘어놓은 통계 숫자를 지수(指數)의 형태로 나타낼 때 출발점으로 삼는 시기.
76. 기준식 (基準食) [기준식]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食(밥/먹을 식)
건강을 유지하는 데에 필요한 각 영양소의 표준량이 들어 있는 식사.
77. 기준실 (基準실) [기준실]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수평을 알기 위하여 표준틀에 맨 실.
78. 기준율 (基準率) [기준뉼]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率(비율 률(율))
외화의 교환 비율을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타 통화의 환율을 산출할 때, 그 기준이 되는 환율.
79. 기준일 (基準日) [기주닐]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日(날 일)
주주 명부에 이름이 올라 권리 행사가 시작된다고 보는 날.
80. 기준점 (基準點) [기준쩜]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點(점 점(:))
「1」계산하거나 측정할 때 기준이 되는 점.
「2」어떤 것을 할 때 기준이 되는 생각이나 사실.
용례:
- 「1」1995년을 기준점으로 잡다.
- 「1」온도계는 0도를 기준점으로 하여 그 위는 영상, 그 아래는 영하라고 한다.
- 「2」독자에게 주인공과 그의 세계를 인식하고 판단할 기준점을 제공하는 것은 정상적인 주변 인물들이다.
- 「2」이번 일을 발전의 기준점으로 삼아 더욱 정진할 것을 촉구합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