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3

81. 기준지 (基準地) [기준지]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地(따 지)

장소에 따라 배열한 통계 숫자를 지수(指數)로 나타낼 때 비교의 출발점이 되는 지역.

82. 기준층 (基準層) [기준층]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層(층[層階] 층)

여러 층으로 된 건물에서 각 층의 평면이 거의 같을 때, 그 층들을 대표하는 층.

83. 기준치 (基準値) [기준치]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値(값 치)

어떤 상태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는 수치.

용례:

  • 허용 기준치를 넘다.
  • 일반 세균이 기준치 이상 검출되다.
  • 자동차의 소음이 기준치를 초과하다.

84. 기준틀 (基準틀) [기준틀]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물체의 운동을 나타내기 위하여 설정하는 관성 틀.

85. 기준포 (基準砲) [기준포]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砲(대포 포:)

여러 문의 포 가운데 포병 중대 사격 지휘에서 기준으로 삼는 포.

86. 기준표 (基準表) [기준표]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表(겉 표)

기준을 제시해 놓은 표.

용례:

  • 양형 기준표.
  • 평가 이전에 채점 기준표를 마련하여야 객관적이고 명확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87. 기준화 (基準化) [기준화]

한자: 基(터 기), 準(준할 준:), 化(될 화(:))

모두가 일정한 기준에 맞게 됨. 또는 그렇게 만듦.

용례:

상업 광고에 대한 기준화 방안을 마련하다.

88. 기지 (基址) [기지]

한자: 基(터 기), 址(터 지)

「1」건축물의 기초.
「2」사업의 근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89. 기지 (基趾) [기지]

한자: 基(터 기), 趾(발 지)

「1」건축물의 기초.
「2」사업의 근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90. 기지 (基地) [기지]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1」군대, 탐험대 따위의 활동의 기점이 되는 근거지.
「2」자리를 잡은 곳.

용례:

  • 「1」기지를 세우다.
  • 「1」독립운동가들은 간도 등지에 독립의 기틀을 다질 기지를 마련했다.
  • 「1」야간에 기지 경계를 맡은 날은 절대로 앉아 있지 않고 계속 순찰을 돌았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91. 기지국 (基地局) [기지국]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局(판[形局] 국)

전파를 주고받는 기능을 하는 작은 통신 기관.

용례:

  • 기지국을 설치하다.
  • 이곳은 첩첩산중이라 근처에 기지국이 없어 휴대 전화가 터지지 않는다.

92. 기지망 (基地網) [기지망]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網(그물 망)

곳곳에 설치된 기지들의 배치 체계.

93. 기지창 (基地廠) [기지창]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廠(공장 창)

보급품을 조달·비축·분배하는 임무를 맡은 부대나 그 시설.

94. 기지촌 (基地村) [기지촌]

한자: 基(터 기), 地(따 지), 村(마을 촌:)

외국군 기지 주변에 형성된 촌락.

용례:

  • 그 친구는 기지촌에서 음울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 이 소설은 기지촌에서 몸을 파는 여성들의 삶을 아주 사실적으로 그려 내고 있다.

95. 기질 (基質) [기질]

한자: 基(터 기), 質(바탕 질)

「1」결합 조직의 세포가 분비한 기본 물질.
「2」곰팡이류나 지의류가 붙어 자라는 부착물.
「3」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 속에 있는 액상의 물질.
「4」효소와 작용하여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예를 들면, 녹말은 그 효소인 아밀라아제의 기질이다.

96. 기체 (基體) [기체]

한자: 基(터 기), 體(몸 체)

「1」결정계에서 세 축을 각각 단위의 길이로 자른 각 면으로 이루어진 결정.
「2」형상을 받아들이는 질료(質料)로, 성질이나 양 따위의 여러 변화 밑에 있으면서 스스로는 변하지 아니하고 그 변화들을 받아들이는 것. 아리스토텔레스의 용어이다.

97. 기초 (基礎) [기초]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1」사물이나 일 따위의 기본이 되는 것.
「2」건물, 다리 따위와 같은 구조물의 무게를 받치기 위하여 만든 밑받침.

용례:

  • 「1」기초 실력.
  • 「1」기초 조사.
  • 「1」기초가 부족하다.
  • 「1」기초를 닦다.
  • 「1」기초를 다지다.
  • 「1」기초를 세우다.
  • 「1」논리적 사고력은 모든 학문의 기초가 된다.
  • 「1」서양의 사상은 기독교적 세계관에 기초를 둔 경우가 많다.
  • 「1」민주 국가에서는 국민의 여론을 기초로 하여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한다.
  • 「2」이곳은 지반이 약한 곳이기 때문에 무엇보다도 기초를 튼튼히 하고 공사해야 한다.

98. 기초군 (基礎群) [기초군]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群(무리 군)

다중 통신 방식에서 많은 수의 통신로에 적당한 주파수 대역을 할당한 변조를 진행하여 필요한 주파수 대역을 구성할 때에 기초가 되는 주파수 대역.

99. 기초도 (基礎圖) [기초도]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圖(그림 도)

구조물이나 기계 따위의 기초 공사를 위하여 작성하는 도면.

100. 기초반 (基礎班) [기초반]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班(나눌 반)

학교나 학원 따위에서, 수강생이 배우고자 하는 분야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을 가르치는 반.

용례:

  • 수영 기초반.
  • 영어 기초반.
  • 우리 군은 결혼 이주 여성들을 위해 한국어 기초반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101. 기초벽 (基礎壁) [기초벽]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壁(벽 벽)

지표면 밑에 있는 구조벽. 벽체나 기둥 또는 다른 구조물의 하부에 쌓아 상부의 하중을 기초 판 또는 지반면에 전달한다.

102. 기초보 (基礎보) [기초보]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기초를 연결하는 땅속에 있는 보. 기초 상부에 직접 설치하기도 하고 기초가 깊을 때는 기둥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기도 한다.

103. 기초선 (基礎線) [기초선]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線(줄 선)

옷 도안에서, 본을 설계하는 기초가 되는 선. 흔히 설계면에 가로 그은 수평선과 그와 직각으로 만나는 수직선으로 나타낸다.

104. 기초원 (基礎圓) [기초원]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圓(둥글 원)

「1」톱니바퀴의 신개선(伸開線)을 그리는 데 기초가 되는 원.
「2」캠(cam) 윤곽의 최소 지름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

105. 기초적 (基礎的) [기초적]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的(과녁 적)

[Ⅰ]사물이나 일 따위의 기본이 되는 것.
[Ⅱ]사물이나 일 따위의 기본이 되는.

용례:

  • [Ⅰ]그녀는 프랑스어를 기초적인 말 이외에는 알아들을 수가 없었다.≪안정효, 하얀 전쟁≫
  • [Ⅱ]생활의 기초적 조건이 되는 경제가 사회적으로 또는 개인적으로 파멸이 되었다는 말이다.≪조명희, 저기압≫

106. 기초제 (基礎劑) [기초제]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劑(약제 제)

연고나 경고 따위의 약을 만드는 바탕으로 쓰는 물질. 바셀린, 카카오 기름, 라놀린, 왁스, 파라핀 따위가 있다.

107. 기초층 (基礎層) [기초층]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層(층[層階] 층)

도로포장에서 포장층 밑에 지반을 보강하여 놓은 층. 포장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노반(路盤)의 전면(全面)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주로 자갈·모래·석비레 따위로 만든다.

108. 기초하다 (基礎하다) [기초하다]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근거를 두다.

용례:

  • 정의에 기초한 새 질서의 확립.
  • 엄밀한 추론에 기초한 과학.
  • 그의 소설은 현실에 기초하고 있다.
  • 이 역사책은 민족 사관에 기초하고 있다.
  • 국민의 요구에 기초하여 법안이 수정되었다.

109. 기초화장 (基礎化粧) [기초화장]

한자: 基(터 기), 礎(주춧돌 초), 化(될 화(:)), 粧(단장할 장)

피부를 아름답게 다듬고 메이크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기본적 화장.

용례:

  • 기초화장만 한 얼굴.
  • 기초화장을 잘해서 화장이 잘 받는다.

110. 기축 (基軸) [기축]

한자: 基(터 기), 軸(굴대 축)

어떤 사상이나 조직 따위의 토대나 중심이 되는 곳.

용례:

충과 효는 조선 유교의 기축을 이루는 가치이다.

111. 기층 (基層) [기층]

한자: 基(터 기), 層(층[層階] 층)

어떤 사물의 바탕을 이루는 층.

용례:

지식인들이 주도하던 재야 운동은 80년대 들어 5월 항쟁을 계기로 기층 민중과 연대하는 진보적 운동으로 발전했다.

112. 기층말 (基層말) [기층말]

한자: 基(터 기), 層(층[層階] 층)

한 민족이 원래의 언어를 버리고 다른 언어를 새로 배워 쓰거나 외국어를 배울 때에, 새 언어에 얼마간의 영향을 주는 원래 언어의 요소.

113. 기층문화 (基層文化) [기층문화]

한자: 基(터 기), 層(층[層階] 층), 文(글월 문), 化(될 화(:))

각 민족이나 지역의 전통적이며 고유한 서민 문화.

용례:

  • 기층문화의 진작을 위하여 힘쓰다.
  • 민속학상으로는 고유문화는 즉 기층문화요, 외래문화는 즉 표층 문화라고 합니다.

114. 기판 (基板) [기판]

한자: 基(터 기), 板(널 판)

배선(配線)을 변경할 수 있는 전기 회로가 편성되어 있는 판.

115. 기하 (基下) [기하]

한자: 基(터 기), 下(아래 하:)

발해에서, 상류 계급에서 임금을 부르던 칭호.

116. 기하다 (基하다) [기하다]

한자: 基(터 기)

기초를 두다.

117. 기형 (基形) [기형]

한자: 基(터 기), 形(모양 형)

기본이 되는 꼴이나 형식.

118. 기형설 (基型說) [기형설]

한자: 基(터 기), 型(모형 형), 說(말씀 설)

무수히 많은 복잡한 화합물을 비교적 소수의 기본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학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基 터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基 터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