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1

1. 기 (機) [기]

한자: 機(틀 기)

‘그런 기능을 하는 기계 장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용례:

  • 비행기.
  • 이앙기.
  • 전투기.
  • 탈곡기.

2. 기갑 (機甲) [기갑]

한자: 機(틀 기), 甲(갑옷 갑)

전차, 장갑차 따위와 같이 기동력과 기계력을 갖춘 병기로 무장함. 또는 그런 병과(兵科).

용례:

  • 기갑 능력.
  • 기갑 장비.

3. 기경하다 (機警하다) [기경하다]

한자: 機(틀 기), 警(깨우칠 경:)

재빠르고 재치가 있다.

용례:

  • 기경한 풍자와 해학.
  • 진정한 질문으로 듣기에는 너무도 기경한 말이었다.≪김동인, 운현궁의 봄≫

4. 기계 (機械) [기계]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1」동력을 써서 움직이거나 일을 하는 장치. 단위로 대, 조, 틀 따위가 있다.
「2」생각, 행동, 생활 방식 따위가 정확하거나 판에 박은 듯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자기 뜻이 아닌 남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소매치기들의 은어로, 직접 손을 대어 훔치는 사람이나 그 손을 이르는 말.

용례:

  • 「1」기계 제조.
  • 「1」기계가 돌아가다.
  • 「1」기계를 돌리다.
  • 「1」기계를 조립하다.
  • 「1」그는 기계를 잘 다루는 숙련공이다.
  • 「1」공장에 새로 기계 한 대를 들여놓았다.
  • 「1」나는 기사가 손본 기계에 기름칠을 하고 공구를 챙겼다.≪조세희, 잘못은 신에게도 있다≫
  • 「2」그 사람은 사과 깎는 데는 기계야.
  • 「3」요즘 남자들은 돈 벌어 오는 기계로 전락했다.

5. 기계공 (機械工) [기계공]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工(장인 공)

기계를 다루는 일을 하는 사람.

6. 기계공업 (機械工業) [기계공업]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工(장인 공), 業(업 업)

「1」기계, 기구, 설비 따위를 사용하여 새로운 물품을 만드는 산업.
「2」기계나 기계 부품 따위를 만드는 산업.

7. 기계공장 (機械工場) [기계공장]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工(장인 공), 場(마당 장)

「1」기계를 사용하여 물품을 만들어 내는 공장.
「2」기계를 만들어 내는 공장.

용례:

「1」정부는 낙후된 이 지역에 기계 공장을 세울 예정이다.

8. 기계공학 (機械工學) [기계공학]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工(장인 공), 學(배울 학)

기계와 기계에 관련된 내용들을 연구하는 학문. 공학의 한 분야이다. 재료 역학, 구조 역학, 기계 역학, 기구학, 열역학, 유체 역학, 기계 설계학 따위가 있다.

9. 기계기름 (機械기름) [기계기름]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기계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마찰열이 생기는 것을 막기 위하여 치는 기름. 기계의 각 부분, 특히 마찰부에 친다.

용례:

  • 기계기름 냄새.
  • 양손에 시커먼 기계기름이 묻은 것으로 보아 그는 배 안에서 어떤 기계를 만지고 있었던 모양이었다.≪홍성원, 육이오≫

10. 기계떡 (機械떡) [기계떡]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손으로 만들지 아니하고 기계로 만든 떡.

용례:

기계떡보다는 손으로 만든 떡이 더 쫄깃쫄깃하고 맛있다.

11. 기계론적 (機械論的) [기계론적]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論(논할 론), 的(과녁 적)

[Ⅰ]모든 현상을 자연적 인과 관계와 역학적 법칙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에 기초하는 것.
[Ⅱ]모든 현상을 자연적 인과 관계와 역학적 법칙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에 기초하는.

용례:

  • [Ⅰ]인간의 생각과 행동을 기계론적으로 설명하다.
  • [Ⅱ]기계론적 사고방식.
  • [Ⅱ]기계론적 해석.

12. 기계문명 (機械文明) [기계문명]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文(글월 문), 明(밝을 명)

산업 혁명 이후 기계를 써서 이룩한 대량 생산 체제의 물질문명.

용례:

  • 기계 문명의 비약적 진보.
  • 기계 문명은 인간에게 편리와 능률과 속도와 쾌적과 안전과 힘의 수단을 제공했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13. 기계방아 (機械방아) [기계방아]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기계의 동력으로 움직이는 방아.

용례:

가을이면 자기 기계 방아 두고 아랫마을 현미기로 볏섬 내는 꼴이 보기 싫기 때문이다.≪송기숙, 자랏골의 비가≫

14. 기계배 (機械배) [기계배]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기계 장치에 의하여 움직이는 배를, 돛배 따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용례:

한동안 쫓고 쫓기는 기계배 두 척의 엔진 소리가 응달 연안을 발끈 뒤집어 놓고 있었다.≪한승원, 해일≫

15. 기계번역 (機械飜譯) [기계버녁]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飜(번역할 번), 譯(번역할 역)

인간이 사용하는 자연 언어의 번역을 컴퓨터에 맡겨 처리하는 일.

16. 기계선 (機械船) [기계선]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船(배 선)

「1」내연 기관의 모터를 추진기로 사용하는 보트.
「2」아폴로 우주선에서 사람이 타지 않는 기계 장치 부분. 사령선과 합쳐서 모선을 형성하는데, 지구로 돌아올 때 대기권에 들어오기 전에 절단해서 버린다.

용례:

「1」이때 한국 사람들은 기껏 삼줄로 꼰 줄을 써서 낚시질을 하는 것이 고작이었지만 일본인들은 기계선을 타고 주낙질을 하였다.≪한승원, 해일≫

17. 기계식 (機械式) [기계식]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式(법 식)

「1」기계를 이용하는 방식.
「2」기계적인 사고방식이나 행동 방식.

용례:

  • 「1」기계식 회로.
  • 「1」기계식 타자기.
  • 「1」기계식 주차장을 설치하다.
  • 「1」압쇄기와 줄톱 등을 이용한 기계식 공법으로 건물을 해체했다.
  • 「1」통신은 기계식 아날로그 방식에서 전자식 디지털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18. 기계실 (機械室) [기계실]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室(집 실)

기계를 설치하여 놓은 방.

용례:

  • 실습생들은 운전 장치에 대한 설명을 듣기 위해 기계실로 올라갔다.
  • 기계실에서 처음 난 불은 케이블과 냉방기 따위를 모두 태우고 한 시간 만에 진화되었다.

19. 기계어 (機械語) [기계어]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語(말씀 어:)

컴퓨터가 직접 판독하고 실행할 수 있는 언어. 0과 1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컴퓨터의 내부 구조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으면 프로그램 작성이나 오류 수정이 매우 어렵다.

용례:

기계어로 작성한 프로그램은 번역할 필요가 없어서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다.

20. 기계음 (機械音) [기계음]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音(소리 음)

「1」기계에서 나는 소리.
「2」기계로 만들어 내는 소리.

용례:

  • 「1」발굴 장비가 요란한 기계음을 내며 돌아가고 있다.
  • 「1」덜덜거리며 돌아가던 재봉틀의 기계음도, 나뭇조각을 깎아 내리던 녹슨 기계의 마찰음도 멈춰 서고….≪최인호, 지구인≫
  • 「2」컴퓨터에서 기계음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만큼 자연스러운 고인의 음성이 흘러나왔다.

21. 기계적 (機械的) [기계적]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的(과녁 적)

[Ⅰ]「1」기계를 사용하여 하는 것.
[Ⅰ]「2」기계와 관계된 것.
[Ⅰ]「3」정확하고 규칙적인 점이 기계와 비슷한 것.
[Ⅰ]「4」인간적인 감정이나 창의성이 없이 맹목적·수동적으로 하는 것.
[Ⅱ]「1」기계를 사용하여 하는.
[Ⅱ]「2」기계와 관계된.
[Ⅱ]「3」정확하고 규칙적인 점이 기계와 비슷한.
[Ⅱ]「4」인간적인 감정이나 창의성이 없이 맹목적·수동적으로 하는.

용례:

  • [Ⅰ]「1」요즘은 제품의 포장이나 운반 등을 기계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
  • [Ⅰ]「1」기존 녹음기는 모터와 같은 기계적인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였다.
  • [Ⅰ]「2」기계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교환해 드리겠습니다.
  • [Ⅰ]「4」이 결과 현대인은 사회의 거대한 메커니즘의 한 부속적 부분품으로서 기계적 인간이 되고 평균인이 된다.≪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 [Ⅰ]「4」그는 귀찮다는 듯 기계적으로 대답하였다.
  • [Ⅰ]「4」그 말을 다시 새겨 묻더라도 그는 몇 번이든지 기계적으로 같은 말을 되풀이할 따름이었다. ≪김동리, 사반의 십자가≫
  • [Ⅱ]「1」기계적 생산 방식.
  • [Ⅱ]「1」그들은 낙하하는 물체가 갖는 힘, 감겨진 태엽 따위가 갖는 힘과 같은 기계적 에너지로 사용됩니다. ≪조세희, 궤도 회전≫
  • [Ⅱ]「2」기계적 결함.
  • [Ⅱ]「3」기계적 손놀림.
  • [Ⅱ]「4」기계적 사고방식.
  • [Ⅱ]「4」암기 위주의 기계적 교육 방식.
  • [Ⅱ]「4」이 결과 현대인은 사회의 거대한 메커니즘의 한 부속적 부분품으로서 기계적 인간이 되고 평균인이 된다. ≪안병욱, 사색인의 향연≫

22. 기계치 (機械癡) [기계치]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癡(어리석을 치)

기계를 다루는 데 소질이 없는 사람.

용례:

이 제품은 기계치도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간편하게 만들었습니다.

23. 기계톱 (機械톱) [기계톱]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동력으로 톱날을 움직여 물체를 자르는 톱.

용례:

철 공장에서 나는 쇠붙이 소리와 목재소의 기계톱이 통나무 써는 소리가 들려왔다.≪이호철, 소시민≫

24. 기계화 (機械化) [기계화]

한자: 機(틀 기), 械(기계 계:), 化(될 화(:))

「1」사람이나 동물이 하는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 또는 그렇게 함.
「2」탱크, 자동차 따위의 기계를 도입하여 군대의 기동력이 향상됨. 또는 그렇게 함.
「3」사람의 언행이 자주성, 창조성을 잃고 기계적으로 됨. 또는 그렇게 함.

용례:

  • 「1」사무의 기계화.
  • 「1」영농의 기계화.
  • 「1」농기구의 기계화.
  • 「1」기계화 농업.
  • 「1」기계화 시대.
  • 「1」오늘날 기업은 생산 작업의 기계화로 생산 능률을 크게 올리게 되었다.
  • 「1」물론 출판업도 마찬가지 사정일 테지만 기계화 추세에 따라서 모든 산업이 자본 집약적으로 변해 가는 마당에….≪윤흥길, 무제≫
  • 「2」기계화 정예 부대.
  • 「2」탱크를 앞세운 적의 기계화 부대가 의정부까지 들어온 이상에는, 역시 어물어물하고 서울에 있을 것은 아니라고…. ≪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 「3」행동 방식의 기계화.

25. 기공 (機工) [기공]

한자: 機(틀 기), 工(장인 공)

「1」기계를 다루는 일을 하는 사람.
「2」‘기계 공업(機械工業)’을 줄여 이르는 말.

26. 기관 (機關) [기관]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1」화력·수력·전력 따위의 에너지를 기계적 에너지로 바꾸는 기계 장치. 이에는 증기 기관, 내연 기관, 수력 기관 따위가 있다.
「2」사회생활의 영역에서 일정한 역할과 목적을 위하여 설치한 기구나 조직.
「3」정보의 수집, 처리, 선전, 통제 따위에 관한 일을 전문적으로 맡아 하는 기관.

용례:

  • 「1」기차의 기관에 이상이 생겨 잠시 동안 정차하겠사오니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여권 발급 기관.
  • 「2」건강 검진 기관을 검색하다.
  • 「2」국가 자격증을 따려면 정식 기관에서 교육을 받는 것이 좋다.
  • 「2」작은 도시일수록 각급 기관의 우두머리의 영향력이 크다.
  • 「3」기관의 감시를 받다.

27. 기관고 (機關庫) [기관고]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庫(곳집 고)

기관차를 넣어 두거나 수리하는 차고. 또는 이와 관련된 종업원의 근무 장소.

용례:

  • 그 국도 옆에 웅크린 기관고에서는 고장 나서 쉬는 기차들과 망가진 데를 고친 화통들이 식식거리며….≪이제하, 기차, 기선, 바다, 하늘≫
  • 그는 서울역 소속의 경부선을 뛰는 좋은 자리를 내놓고 신경통을 구실로 수색에 나와 기관고에서 일하기도 하고 조차장에서 일하기도 하였다.≪이정환, 샛강≫

28. 기관구 (機關區) [기관구]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區(구분할/지경 구)

기관차나 동력차를 관리하고 운용, 정비, 보관 따위를 맡아보는 국토 교통부 철도 관리국에 소속된 현장 기관.

용례:

이 친구가 전에 기관구 파업 선동자들 소굴을 선두에서 들이치던 친구같이 생각되질 않았다.≪선우휘, 테러리스트≫

29. 기관단총 (機關短銃) [기관단:총]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短(짧을 단(:)), 銃(총 총)

크기가 작고 가벼운 자동 또는 반자동의 기관총.

용례:

그들은 기관 단총을 든 갱 정도가 아니고 탱크와 대포까지 갖춘 어마어마한 군대란 말입니다.≪홍성원, 육이오≫

30. 기관병 (機關兵) [기관병]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兵(병사 병)

해군에서, 군함의 기관실에서 일하는 병사.

31. 기관부 (機關部) [기관부]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部(떼 부)

기계 장치에서 기관이 설치된 부분.

용례:

자동차의 기관부.

32. 기관사 (機關士) [기관사]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士(선비 사:)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열차나 지하철, 선박, 항공기 따위의 기관을 다루거나 조종하는 사람.

용례:

화차에 올라탄 인부들이 기관사를 격려하느라고 목청을 돋우어 외쳐 댔다.≪황석영, 객지≫

33. 기관선 (機關船) [기관선]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船(배 선)

기관을 설치한 배.

용례:

그는 부두에 모여드는 기관선에 기름을 대 주는 거상이다.

34. 기관수 (機關手) [기관수]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手(손 수(:))

일정한 자격을 갖추어 열차나 지하철, 선박, 항공기 따위의 기관을 다루거나 조종하는 사람.

용례:

하긴 아버진 기차 기관수이니깐 부산 가자면 부산 가고 신의주 가자면 신의주 가는 일밖에 뭐 있겠어요?≪이정환, 샛강≫

35. 기관실 (機關室) [기관실]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室(집 실)

「1」기차, 배, 항공기 따위에서 추진기를 설치하여 놓은 방.
「2」발전, 냉난방, 환기, 급수, 배수 따위의 기관을 설치하여 놓은 방.
「3」공장을 가동할 수 있는 원동기를 설치한 방.

용례:

「2」기관실들은 대개 건물의 지하에 있다.

36. 기관원 (機關員) [기과눤]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員(인원 원)

「1」정보 기관에서 일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
「2」배에 관련된 기능 공무원 직급의 하나. 선박직의 선박 기관 직렬에 속하는 직위로 8급, 9급, 10급이 있다.

용례:

  • 「1」기관원을 사칭하다.
  • 「1」그는 기관원으로 행세하면서 사기 행각을 벌였다.
  • 「2」이 배에는 기관사 1명, 기관원 5명이 타고 있다.

37. 기관장 (機關長) [기관장]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長(긴 장(:))

「1」사회생활의 영역에서 일정한 역할과 목적을 위해서 설치한 기구나 조직의 우두머리. 주로, 국가 기관의 으뜸 책임자를 이르는 말로 쓴다.
「2」기관을 운영하고 수리하는 사람들의 으뜸 책임자.

용례:

  • 「1」기관장 회의.
  • 「1」기관장 모임.
  • 「2」기관장의 명령에 따라 기관공들이 일제히 움직인다.

38. 기관지 (機關紙) [기관지]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紙(종이 지)

특정한 개인이나 조직, 단체 따위가 그 기관의 목적을 이루고 이념 따위를 널리 펴기 위하여 발행하는 신문.

용례:

뭣을 해도 좋지만 공산당, 또는 좌익 계열 기관지의 기자만은 하지 말게.≪이병주, 지리산≫

39. 기관차 (機關車) [기관차]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車(수레 차)

「1」여객차나 화차를 끌고 다니는 철도 차량. 증기 기관차, 디젤 기관차, 전기 기관차 따위가 있다.
「2」어떤 일을 이끌어 나가는 원동력 또는 그런 힘을 가진 존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난민들은 기관차가 떨어져 나간 화차에서, 다시 앞을 다투어 기관차가 연결된 딴 화차로 몰려갔다.≪홍성원, 육이오≫
  • 「2」그 신문은 민주화와 통일을 위한 변화의 기관차 구실을 해 왔다.

40. 기관총 (機關銃) [기관총]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銃(총 총)

탄알이 자동적으로 재어져서 연속적으로 쏠 수 있게 만든 총.

용례:

  • 기관총 공격.
  • 기관총 사격.
  • 무장 괴한이 행인에게 기관총을 난사했다.
  • 개펄을 따라 검은 그림자 몇이 쏠려 내려오며 기관총을 쏴 대고 있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41. 기관총수 (機關銃手) [기관총수]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銃(총 총), 手(손 수(:))

기관총을 쏘고 다루는 임무를 맡은 병사.

용례:

기관총수가 바다를 향해 손을 흔들었다. 헬기는 다시 급상승하기 시작했다.≪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42. 기관총탄 (機關銃彈) [기관총탄]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銃(총 총), 彈(탄알 탄:)

기관총에 쓰는 탄환.

용례:

전방에선 여전히 선발대 탱크들이 포탄과 기관총탄을 고막이 멍하도록 맹렬하게 볶아 대고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43. 기관포 (機關砲) [기관포]

한자: 機(틀 기), 關(관계할 관), 砲(대포 포:)

기관총 가운데 구경이 20mm 이상인 포. 주로 비행기에 설치하거나 고사포 대신으로 쓴다.

용례:

아마 날개 밑에 설치한 기관포가 목표물을 향해 마구 불을 뿜는 모양이었다.≪홍성원, 육이오≫

44. 기교하다 (機巧하다) [기교하다]

한자: 機(틀 기), 巧(공교할 교)

잔꾀와 솜씨가 매우 교묘하다.

용례:

기교한 인물.

45. 기구 (機構) [기구]

한자: 機(틀 기), 構(얽을 구)

「1」많은 사람이 모여 어떤 목적을 위하여 구성한 조직이나 기관의 구성 체계.
「2」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이나 공식 따위의 내부 구성.
「3」역학적인 운동이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기계나 도구 따위의 내부 구성.

용례:

  • 「1」관료 기구.
  • 「1」정부 기구.
  • 「1」기구 축소.
  • 「1」행정 기구의 개혁.
  • 「1」기구를 개편하다.
  • 「2」인체의 기구.
  • 「2」화학 반응의 기구를 밝히다.
  • 「3」동력 전달 기구.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