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3

91. 기분 (機分) [기분]

한자: 機(틀 기), 分(나눌 분(:))

「1」사람의 됨됨이.
「2」어떤 일이 벌어지려고 하는 분위기.

92. 기사 (機事) [기사]

한자: 機(틀 기), 事(일 사:)

밖으로 드러나서는 안 될 비밀스러운 일.

93. 기사 (機詐) [기사]

한자: 機(틀 기), 詐(속일 사)

일을 꾸며 속이는 일.

94. 기상 (機上) [기상]

한자: 機(틀 기), 上(윗 상:)

비행기 위. 또는 비행기 안.

용례:

항공 안내양의 말에 의하면 기상에서 보는 서울 시가는 아무리 청명한 날이라도 흙먼지 속에 싸인 것 같다고 했다.≪오영수, 오지에서 온 편지≫

95. 기서 (機杼) [기서]

한자: 機(틀 기), 杼(북(織具) 저:)

「1」삼베, 무명, 명주 따위의 피륙을 짜는 틀.
「2」문장을 짓는 연구.

96. 기선 (機船) [기선]

한자: 機(틀 기), 船(배 선)

내연 기관의 모터를 추진기로 사용하는 보트.

97. 기선 (機先) [기선]

한자: 機(틀 기), 先(먼저 선)

운동 경기나 싸움 따위에서 상대편의 세력이나 기세를 억누르기 위하여 먼저 행동하는 것.

용례:

  • 기선을 빼앗기다.
  • 기선을 제압하다.
  • 경기 초반에 우리 팀은 선취점을 따내 기선을 잡았다.
  • 그는 경호의 지난번 하소연이 또 나올까 무서워서 기선을 제하려고 장차 이야기할 요점을 생각하며 있었다.≪이기영, 고향≫
  • 뜻밖에도 오영기가 와 버렸으니, 집 문제로 어떤 보복을 당하기 전에 먼저 기선을 꺾자는 수작임에 틀림없다.≪김춘복, 쌈짓골≫

98. 기소 (機素) [기소]

한자: 機(틀 기), 素(본디/흴[白] 소(:))

기계의 요소.

99. 기수 (機首) [기수]

한자: 機(틀 기), 首(머리 수)

비행기의 앞부분.

용례:

  • 기수를 남으로 향하다.
  • 남쪽에서 올라오던 비행기가 갑자기 기수를 동쪽으로 돌렸다.

100. 기수 (機數) [기수]

한자: 機(틀 기), 數(셈 수:)

비행기의 수.

101. 기숙 (機熟) [기숙]

한자: 機(틀 기), 熟(익을 숙)

일의 형세가 충분히 정비됨.

102. 기심 (機心) [기심]

한자: 機(틀 기), 心(마음 심)

「1」기회를 보고 움직이는 마음.
「2」간교하게 속이거나 책략을 꾸미는 마음.

103. 기업 (機業) [기업]

한자: 機(틀 기), 業(업 업)

틀을 사용하여 천을 짜는 사업.

104. 기연 (機緣) [기연]

한자: 機(틀 기), 緣(인연 연)

「1」어떤 기회를 통하여 맺어진 인연.
「2」부처의 교화를 받을 만한 인연.

용례:

「1」의논 끝에 갈라진 후에도 가끔 현이 이렇게 찾아올 뿐, 그녀가 제 쪽에서 만날 기연을 만드는 기맥은 보이지 않았다.≪최인훈, 가면고≫

105. 기영 (機影) [기영]

한자: 機(틀 기), 影(그림자 영:)

비행기의 모습. 또는 비행기의 그림자.

106. 기요 (機要) [기요]

한자: 機(틀 기), 要(요긴할 요(:))

중요한 기밀.

용례:

기요 문서.

107. 기용 (機勇) [기용]

한자: 機(틀 기), 勇(날랠 용:)

기략(機略)과 용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108. 기운 (機運) [기운]

한자: 機(틀 기), 運(옮길 운:)

기회와 운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109. 기의 (機宜) [기이]

한자: 機(틀 기), 宜(마땅 의)

「1」시기나 형편에 알맞음.
「2」중생에게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선근(善根)이 있어 교화하기가 쉬움.

110. 기익 (機翼) [기익]

한자: 機(틀 기), 翼(날개 익)

비행기의 날개.

111. 기자재 (機資材) [기자재]

한자: 機(틀 기), 資(재물 자), 材(재목 재)

기계, 기구, 자재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실험 기자재.
  • 의료 기자재.
  • 건축 기자재의 공급이 원활치 못해서 공사가 늦어지고 있다.

112. 기장 (機長) [기장]

한자: 機(틀 기), 長(긴 장(:))

민간 항공기에서 승무원 가운데 최고 책임자. 흔히 정조종사가 기장이 된다.

용례:

엔진에 이상이 발견되자 기장은 불시착할 결심을 하였다.

113. 기재 (機才) [기재]

한자: 機(틀 기), 才(재주 재)

기민한 재주나 임기응변의 재치.

용례:

기재가 뛰어나다.

114. 기재 (機材) [기재]

한자: 機(틀 기), 材(재목 재)

기계의 재료.

115. 기저 (機杼) [기저]

한자: 機(틀 기), 杼(북(織具) 저:)

「1」베틀의 북.
「2」문사(文辭)의 결구(結構)를 이르는 말.

116. 기제 (機制) [기제]

한자: 機(틀 기), 制(절제할 제:)

「1」기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이나 공식 따위의 내부 구성.
「2」인간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의 작용이나 원리.

용례:

  • 「2」사람은 자기를 어느 집단과 동일시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확인하며 만족을 얻는 심리적 기제를 가진다고 한다.
  • 「2」군인이 갖는 특수한 상황을 극복하는 기제가 있으면 되는 거지. 윤 소위는 장교로서 이 전쟁에 어떻게 종군해야 한다고 생각하오?≪이원규, 훈장과 굴레≫

117. 기종 (機種) [기종]

한자: 機(틀 기), 種(씨 종(:))

「1」비행기의 종류.
「2」기계의 종류.

용례:

  • 「1」새로운 기종의 전투기들을 수입했다.
  • 「1」이 항공기는 여객기로 주로 사용되는 기종이다.
  • 「2」구식 기종을 폐기 처분 하다.
  • 「2」새로운 기종을 개발하다.
  • 「2」그 회사에서는 세탁기 3개 기종을 새로 시장에 선보였다.
  • 「2」컴퓨터 기종마다 성능이 많이 다르다.

118. 기지 (機智) [기지]

한자: 機(틀 기), 智(슬기/지혜 지)

경우에 따라 재치 있게 대응하는 지혜.

용례:

  • 순간적으로 기지를 발휘하다.
  • 사람이 위급한 상황에 처하게 되면 평소에는 생각하기 어려운 기지와 용기가 생기게 마련이야.
  • 김상태의 기지 있는 사회로 술좌석은 시종 화기애애했다.≪이병주, 지리산≫

119. 기직 (機織) [기직]

한자: 機(틀 기), 織(짤 직)

「1」기계나 베틀로 베를 짬.
「2」기계로 짠 직물.

120. 기창 (機窓) [기창]

한자: 機(틀 기), 窓(창 창)

비행기의 창.

121. 기첩하다 (機捷) [기처파다]

한자: 機(틀 기), 捷(빠를 첩)

날쌔고 재빠르다.

122. 기체 (機體) [기체]

한자: 機(틀 기), 體(몸 체)

「1」기계의 바탕.
「2」비행기의 몸체.

용례:

  • 「2」비행기가 이륙하려고 하자 기체가 심하게 떨렸다.
  • 「2」비행 고도까지 다다른 듯 기체도 어느 틈에 수평을 유지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123. 기총 (機銃) [기총]

한자: 機(틀 기), 銃(총 총)

탄알이 자동적으로 재어져서 연속적으로 쏠 수 있게 만든 총.

124. 기총소사 (機銃掃射) [기총소:사]

한자: 機(틀 기), 銃(총 총), 掃(쓸[掃除] 소(:)), 射(쏠 사(:))

비행기에서 목표물을 비로 쓸어 내듯이 기관총으로 쏘는 일.

125. 기추 (機樞) [기추]

한자: 機(틀 기), 樞(지도리 추)

중추가 되는 기관(機關).

126. 기축 (機軸) [기축]

한자: 機(틀 기), 軸(굴대 축)

「1」기관이나 바퀴 따위의 굴대.
「2」어떤 활동의 중심이 되는 중요한 부분.
「3」시문(詩文)의 체재.
「4」용마루 밑에 서까래가 걸리게 된 도리.

용례:

  • 「2」이 민족주의는 전통적 사대주의에 대한 비판과 일본의 침략주의에 대한 저항을 기축으로 해서 발전했다.
  • 「2」국가 자본주의는 많은 경우 국민 경제의 기축을 이루는 것으로서 외국 자본의 활동과는 대립한다.
  • 「2」우리 그룹은 ‘품질 우선’ 경영 전략을 기축으로 공격적 경영 전술을 추구한다.

127. 기화 (機化) [기화]

한자: 機(틀 기), 化(될 화(:))

사람이나 동물이 하는 노동을 기계가 대신함. 또는 그렇게 함.

128. 기회 (機會) [기회]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1」어떠한 일을 하는 데 적절한 시기나 경우.
「2」겨를이나 짬.

용례:

  • 「1」절호의 기회.
  • 「1」기회를 노리다.
  • 「1」기회를 놓치다.
  • 「1」기회를 만들다.
  • 「1」기회를 엿보다.
  • 「1」결정적인 기회를 잡다.
  • 「1」언제라도 기회가 닿으면 한번 찾아뵙겠습니다.
  • 「1」그는 복수할 기회가 돌아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 「1」기회가 되면 저도 유학을 가고 싶습니다.
  • 「1」기회를 봐서 한번 만나자.
  • 「1」박물관 관람은 우리 문화를 익히고 체험하는 데에 좋은 기회가 된다.
  • 「2」우연한 기회.
  • 「2」그녀는 내가 뭐라고 말할 기회도 주지 않고 쏘아붙였다.
  • 「2」아무리 규칙이 엄해도 아이들은 기회만 있으면 달아나려고 해요.
  • 「2」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기의 주장을 폈다.
  • 「2」삼촌은 너무나 바빠서 만날 기회가 거의 없었다.

129. 기회균등 (機會均等) [기회균등]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均(고를 균), 等(무리 등:)

「1」누구에게나 기회를 고루 주는 일.
「2」국제간의 통상이나 사업 경영 등에 관하여 어떤 특정한 국가에 준 것과 동일한 대우를 다른 국가에도 주는 일.

용례:

「1」교육의 기회균등.

130. 기회범 (機會犯) [기회범]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犯(범할 범:)

범죄 동기가 우발적이며 그 행위가 습관적이지 아니한 범죄.

131. 기회비용 (機會費用) [기회비:용]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費(쓸 비:), 用(쓸 용:)

한 품목의 생산이 다른 품목의 생산 기회를 놓치게 한다는 관점에서, 어떤 품목의 생산 비용을 그것 때문에 생산을 포기한 품목의 가격으로 계산한 것.

132. 기회시 (機會詩) [기회시]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詩(시 시)

「1」세례나 혼례와 같은 특별한 기회에, 또는 환영·송별·청원·감사와 같은 특별한 동기에서 지은 시.
「2」시인의 감정에 충격을 준 체험을 읊은 시.

133. 기회인 (機會因) [기회인]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因(인할 인)

대상에 운동을 일으킬 수 있는 능동적인 원인이 아니라, 대상과 어떠한 필연적인 인과 관계를 맺지 못하기 때문에, 능동적인 원인이 작용할 때 우연히 원인의 역할을 하는 정도의 부수적 원인.

134. 기회주의 (機會主義) [기회주이]

한자: 機(틀 기), 會(모일 회:), 主(임금/주인 주), 義(옳을 의:)

일관된 입장을 지니지 못하고 그때그때의 정세에 따라 이로운 쪽으로 행동하는 경향.

용례:

자기도 깊이 관련된 일에 정작 자기는 뛰어들 의사가 없으면서도 남들의 힘으로 그 일이 성취되는 순간이 오기를 기다리는 기회주의의 자세였다.≪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