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1

1. 귀가 (歸家) [귀:가]

한자: 歸(돌아갈 귀:), 家(집 가)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용례:

  • 귀가 시간이 늦다.
  • 퇴근 시간이 되자 모두 귀가를 서둘렀다.
  • 아낙네들이 일제히 일손을 거두고 귀가를 서두르고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윤흥길, 묵시의 바다≫

2. 귀가 (歸嫁) [귀:가]

한자: 歸(돌아갈 귀:), 嫁(시집갈 가)

시집을 감.

3. 귀가하다 (歸家하다) [귀:가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家(집 가)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다.

용례:

  • 수업을 마치고 귀가하는 학생들.
  • 지하철이 고장 나서 일을 마치고 귀가하던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 그 사나흘 뒤에 그는 아버지의 편지를 받았다. 당신의 사연인즉, 남산 구경도 시들하여 그길로 곧장 귀가했노라는 것이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 집으로 귀가한 시간은 밤 열한 시가 넘었을 때였다.≪김원일, 노을≫

4. 귀감 (歸勘) [귀:감]

한자: 歸(돌아갈 귀:), 勘(헤아릴 감)

어떤 지방에서 범인을 잡았을 때에, 그 거주지의 당해 담당관에게 보내어 심문하게 함.

5. 귀갓길 (歸家길) [귀:가낄]

한자: 歸(돌아갈 귀:), 家(집 가)

집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길.

용례:

  • 귀갓길의 교통 체증.
  • 귀갓길을 재촉하다.
  • 집안 식구들의 눈치를 피해 가며 조심조심 화장실을 드나들고 무섭게 추운 골목 담벼락에 붙어 서서 몸을 웅숭그린 채 그 독한 담배를 피우다가 귀갓길의 내 눈에 띄어야 했다.≪전상국, 외딴길≫

6. 귀거 (歸據) [귀:거]

한자: 歸(돌아갈 귀:), 據(근거 거:)

돌아가 웅거함.

7. 귀거래 (歸去來) [귀:거래]

한자: 歸(돌아갈 귀:), 去(갈 거:), 來(올 래(:))

관직을 그만두고 고향으로 돌아감. 중국 진(晉)나라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에 나오는 말이다.

8. 귀거하다 (歸據하다) [귀:거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據(근거 거:)

돌아가 웅거하다.

용례:

지리산에 귀거하다.

9. 귀결 (歸結) [귀:결]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1」어떤 결말이나 결과에 이름. 또는 그 결말이나 결과.
「2」어떤 사태를 원인으로 하여 그 결과로 생기는 상태. 또는 일정한 논리적 전제로부터 이끌어 내게 되는 결론.

용례:

  • 「1」당연한 귀결.
  • 「1」자연스러운 귀결.
  • 「1」귀결이 나다.
  • 「1」귀결을 짓다.
  • 「1」할아버지의 죽음은 이네들이 그토록 바라고 있었던 당위성 있는 하나의 귀결이 아닌가.≪전상국, 하늘 아래 그 자리≫

10. 귀결되다 (歸結되다) [귀:결되다]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어떤 결말이나 결과에 이르게 되다.

용례:

  • 그에게 있어서 인간의 가치란 조국을 위해 투쟁하는 용맹성 여하에 귀결되는 것이었다.≪손창섭, 낙서족≫
  • 그의 모든 주장은 결국에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활동으로 귀결된다.

11. 귀결부 (歸結符) [귀:결부]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符(부호 부(:))

수의 계산이나 문제를 풀 때에, 귀결된 식의 앞에 쓰는 부호 ‘∴’의 이름.

12. 귀결점 (歸結點) [귀:결쩜]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點(점 점(:))

여러 의견 가운데 어떠한 결말로 낙착되는 점.

용례:

  • 근대정신의 한 귀결점.
  • 귀결점을 찾다.

13. 귀결하다 (歸結하다) [귀:결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結(맺을 결)

어떤 결말이나 결과에 이르다.

용례:

  • 그 문제는 결국 인간의 의지에 귀결한다.
  • 결국 선은 선으로 악은 악으로 귀결한다.

14. 귀경 (歸經) [귀:경]

한자: 歸(돌아갈 귀:), 經(지날/글 경)

한방에서 쓰는 약재가 온몸에 고루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장부(臟腑)와 경맥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치료 효능을 나타낸다는 이론.

15. 귀경 (歸耕) [귀:경]

한자: 歸(돌아갈 귀:), 耕(밭갈[犁田] 경)

벼슬을 그만두고 시골로 돌아가서 농사를 지음.

16. 귀경 (歸敬) [귀:경]

한자: 歸(돌아갈 귀:), 敬(공경 경:)

부처에게 귀의하여 공경함.

17. 귀경 (歸京) [귀:경]

한자: 歸(돌아갈 귀:), 京(서울 경)

서울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용례:

  • 귀경 인파.
  • 귀경을 서두르다.
  • 고향에서 설을 지내고 서울로 돌아오는 귀경 차량으로 각 고속 도로 상행선은 주차장을 방불케 했다.

18. 귀경길 (歸京길) [귀:경낄]

한자: 歸(돌아갈 귀:), 京(서울 경)

서울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는 길.

용례:

  • 귀경길에 오르다.
  • 긴 연휴 덕인지 걱정했던 만큼의 귀경길 정체는 없었다.

19. 귀경식 (歸敬式) [귀:경식]

한자: 歸(돌아갈 귀:), 敬(공경 경:), 式(법 식)

부처에게 귀의하여 공경하는 의식. 귀경한 사람의 머리를 깎는다.

20. 귀경하다 (歸京하다) [귀:경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京(서울 경)

서울로 돌아가거나 돌아오다.

용례:

  • 도로가 막히기 전에 서둘러 귀경했다.
  • 터미널은 명절을 지내고 귀경하는 사람으로 북적거렸다.

21. 귀계 (歸戒) [귀:계]

한자: 歸(돌아갈 귀:), 戒(경계할 계:)

삼보(三寶)에 귀의하는 계법.

22. 귀계 (歸計) [귀:계]

한자: 歸(돌아갈 귀:), 計(셀 계:)

고향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올 계획.

23. 귀관 (歸館) [귀:관]

한자: 歸(돌아갈 귀:), 館(집 관)

관(館)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24. 귀교 (歸校) [귀:교]

한자: 歸(돌아갈 귀:), 校(학교 교:)

학교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용례:

  • 귀교 시간.
  • 선생님은 모내기 봉사 활동을 나간 학생들의 귀교를 기다리고 있었다.

25. 귀교하다 (歸校하다) [귀:교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校(학교 교:)

학교로 돌아오거나 돌아가다.

용례:

수학여행단이 3박 4일간의 여행을 마치고 오늘 귀교한다고 합니다.

26. 귀구 (歸咎) [귀:구]

한자: 歸(돌아갈 귀:), 咎(허물 구)

허물을 남에게 돌려 씌움.

27. 귀국 (歸國) [귀:국]

한자: 歸(돌아갈 귀:), 國(나라 국)

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용례:

  • 귀국 독주회.
  • 해외 파견 기술자들의 귀국으로 국내 각 기업은 잉여 인력 관리 문제로 고심하고 있다.
  • 상하이 임시 정부 요인들은 귀국을 서두르느라고 안간힘을 내었다.≪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28. 귀국민 (歸國民) [귀:궁민]

한자: 歸(돌아갈 귀:), 國(나라 국), 民(백성 민)

다른 나라에 가서 살다가 자기 나라로 돌아온 국민.

용례:

그들이 신의주로 들어갈 때는 여느 귀국민의 행렬과는 달리 자못 당당한 데가 있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9. 귀국선 (歸國船) [귀:국썬]

한자: 歸(돌아갈 귀:), 國(나라 국), 船(배 선)

귀국하는 사람들을 태운 배.

용례:

  • 그는 배웅 나온 사람들을 뒤로한 채 귀국선에 올랐다.
  • 중대에 남은 병력은 벙커와 교통호에 파묻혀 밤낮으로 진지를 지키며 어서 전우들이 돌아오고 모두들 귀국선을 타게 되기만 기다렸다.≪안정효, 하얀 전쟁≫

30. 귀국하다 (歸國하다) [귀:구카다]

한자: 歸(돌아갈 귀:), 國(나라 국)

외국에 나가 있던 사람이 자기 나라로 돌아오거나 돌아가다.

용례:

  • 여행을 마치고 귀국하다.
  • 세계 대회에서 우승한 선수단이 귀국하면 큰 환영 행사가 있을 예정이다.
  • 그의 선친은 만주에서 독립군으로 활약하다 해방 후 귀국하셨다.

31. 귀금 (歸禽) [귀:금]

한자: 歸(돌아갈 귀:), 禽(새 금)

저녁이면 보금자리로 돌아오는 새.

32. 귀기 (歸期) [귀:기]

한자: 歸(돌아갈 귀:), 期(기약할 기)

돌아가거나 돌아오기로 약속한 때.

33. 귀납 (歸納) [귀:납]

한자: 歸(돌아갈 귀:), 納(들일 납)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명제 및 법칙을 이끌어 내는 일. 추리 및 사고방식의 하나로, 개연적인 확실성만을 가진다.

34. 귀납법 (歸納法) [귀:납뻡]

한자: 歸(돌아갈 귀:), 納(들일 납), 法(법 법)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를 전제로 하여 일반적인 사실이나 원리를 결론으로 이끌어 내는 추론 방법. 특히 인과 관계를 확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베이컨을 거쳐 밀에 의하여 자연 과학 연구 방법으로 정식화되었다.

35. 귀납적 (歸納的) [귀:납쩍]

한자: 歸(돌아갈 귀:), 納(들일 납), 的(과녁 적)

[Ⅰ]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명제 및 법칙을 이끌어 내는 것.
[Ⅱ]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명제 및 법칙을 이끌어 내는.

용례:

  • [Ⅰ]귀납적으로 추론하다.
  • [Ⅱ]구체적 사실을 분석하여 얻은 귀납적 결론이 설득력이 있었다.

36. 귀납하다 (歸納하다) [귀:나파다]

한자: 歸(돌아갈 귀:), 納(들일 납)

개별적인 특수한 사실이나 원리로부터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명제 및 법칙을 이끌어 내다.

용례:

독자적인 현상처럼 보이는 다음 몇 가지 것을 면밀히 분석해서 귀납해 보면, 우리는 하나의 결론을 얻을 수 있다.

37. 귀녕 (歸寧) [귀:녕]

한자: 歸(돌아갈 귀:), 寧(편안 녕)

시집간 딸이 친정에 가서 부모를 뵘.

용례:

갑례가 첫 귀녕을 한 것은 이듬해 이른 봄이었다.≪하근찬, 야호≫

38. 귀농 (歸農) [귀:농]

한자: 歸(돌아갈 귀:), 農(농사 농)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그 일을 그만두고 농사를 지으려고 농촌으로 돌아감.

용례:

  • 귀농 운동을 추진하다.
  • 시골이 고향인 그는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부인과 귀농 생활을 하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왔다.
  • 고향 친구들은 나의 갑작스러운 귀농을 의아하게 여겼다.

39. 귀농선 (歸農線) [귀:농선]

한자: 歸(돌아갈 귀:), 農(농사 농), 線(줄 선)

155마일에 걸친 한국 휴전선 남쪽에 설정한, 거주가 허용된 선. 휴전선과 이 선 사이의 농토에는 출입하거나 입주하여 경작이 가능하다.

40. 귀농하다 (歸農하다) [귀:농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農(농사 농)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그 일을 그만두고 농사를 지으려고 농촌으로 돌아가다.

용례:

그는 도시 생활을 청산하고 귀농하여 농작물을 기르며 여생을 보내려 한다.

41. 귀단 (歸斷) [귀:단]

한자: 歸(돌아갈 귀:), 斷(끊을 단:)

벌어졌던 일이 끝남.

42. 귀대 (歸隊) [귀:대]

한자: 歸(돌아갈 귀:), 隊(무리 대)

자기가 근무하는 부대로 돌아오거나 돌아감.

용례:

  • 외출 나간 박 일병의 귀대 시간이 언제지?
  • 본부 상황실에서는 네 귀대가 끝날 때까지 통신을 주고받도록 되어 있어.≪황석영, 무기의 그늘≫

43. 귀대병 (歸隊兵) [귀:대병]

한자: 歸(돌아갈 귀:), 隊(무리 대), 兵(병사 병)

휴가나 외출을 나갔다가 자기가 근무하는 부대로 돌아오거나 돌아가는 군인.

용례:

휴가를 갔다 돌아오는 귀대병들의 손에는 정성껏 장만한 음식 꾸러미가 들려 있었다.

44. 귀대하다 (歸隊하다) [귀:대하다]

한자: 歸(돌아갈 귀:), 隊(무리 대)

자기가 근무하는 부대로 돌아오거나 돌아가다.

용례:

  • 훈련을 중단하고 귀대하다.
  • 비상사태가 벌어지면 휴가 일정을 앞당겨 귀대해야 한다.
  • 15일간의 휴가를 마치고 귀대하는 민 상병의 마음은 착잡하기만 했다.

45. 귀도 (歸途) [귀:도]

한자: 歸(돌아갈 귀:), 途(길[行中] 도:)

돌아오는 길.(귀정)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歸 돌아갈 귀: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