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忌 꺼릴 기

1. 가기 (家忌) [가기]

한자: 家(집 가), 忌(꺼릴 기)

집안 조상의 기제사.

2. 개산기 (開山忌) [개산기]

한자: 開(열 개), 山(메 산), 忌(꺼릴 기)

절을 처음으로 세운 개산조사의 제삿날. 또는 그날의 법회.

3. 겸기 (鉗忌) [겸기]

한자: 鉗(집게 겸), 忌(꺼릴 기)

남을 시기하고 미워하여 해를 끼치려 함.

4. 고기 (顧忌) [고기]

한자: 顧(돌아볼 고), 忌(꺼릴 기)

뒷일을 염려하고 꺼림.

5. 구기 (拘忌) [구기]

한자: 拘(잡을 구), 忌(꺼릴 기)

좋지 않게 여기어 피하거나 꺼림.

용례:

김맹헌이 아뢰기를, “음양(陰陽)의 구기는 비록 자세히 알지는 못하오나, 양녕 대군이 종묘의 내맥(來脈)에 정자를 지었는데, 지극히 장려(壯麗)하여 창덕궁을 눌렀사오니, 청하옵건대 헐어 버리게 하소서.”≪번역 세종실록≫

6. 국기 (國忌) [국끼]

한자: 國(나라 국), 忌(꺼릴 기)

임금이나 왕후의 제삿날.

7. 극기 (極忌) [극끼]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忌(꺼릴 기)

「1」몹시 꺼림.
「2」몹시 미워함.

8. 금기 (禁忌) [금:기]

한자: 禁(금할 금:), 忌(꺼릴 기)

「1」마음에 꺼려서 하지 않거나 피함.
「2」어떤 약이나 치료법이 특정 환자에게 나쁜 영향이 있는 경우에 그 사용을 금지하는 일.

용례:

  • 「1」금기 사항.
  • 「1」방문한 지방의 고유한 금기를 깨지 않도록 주의해라.
  • 「1」운수업엔 많은 금기가 따랐다. 날짐승을 태우지 않는다든지, 첫 손님으로 여자를 받지 않는다든지 그런 종류였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9. 대기 (大忌) [대:기]

한자: 大(큰 대(:)), 忌(꺼릴 기)

몹시 꺼리거나 싫어함. 또는 그런 대상.

용례:

이렇게 생각하는 자체가 선에서 대기로 여기는 사량 분별인 것이며, 따지고 증명해서 이치를 캐는 논리의 함정인 것이며….≪김성동, 만다라≫

10. 보화기 (普化忌) [보:화기]

한자: 普(넓을 보:), 化(될 화(:)), 忌(꺼릴 기)

중국 당나라의 승려 보화(普化)의 기일(忌日). 음력 6월 13일이다.

11. 복기 (服忌) [복끼]

한자: 服(옷 복), 忌(꺼릴 기)

근친의 상(喪)을 당하여 상제로서 일을 봄.

12. 부기 (父忌) [부기]

한자: 父(아비 부), 忌(꺼릴 기)

아버지의 죽음.

용례:

서낭제에는 신병을 칭탁하고 여제에는 부기라 하여 체직해 주기를 계청하였습니다.≪번역 명종실록≫

13. 불기 (不忌) [불기]

한자: 不(아닐 불), 忌(꺼릴 기)

꺼리지 아니함.

14. 삼회기 (三回忌) [삼회기]

한자: 三(석 삼), 回(돌아올 회), 忌(꺼릴 기)

사람이 죽은 지 만 2년이 되는 날.

15. 상기 (相忌) [상기]

한자: 相(서로 상), 忌(꺼릴 기)

서로 꺼림.

16. 속기 (俗忌) [속끼]

한자: 俗(풍속 속), 忌(꺼릴 기)

민간에서 꺼리는 일.

용례:

살인으로 죽은 송장은 속기로 염하기를 꺼려 한다.

17. 시기 (猜忌) [시기]

한자: 猜(시기할 시), 忌(꺼릴 기)

남이 잘되는 것을 샘하여 미워함.

용례:

  • 말쑥하게 차리고 출근한 그는 선망과 시기를 섞은 동료의 축사에 대답하였다.≪김성한, 자유인≫
  • 그 뜬구름 속에는 시기와 질투와 이욕(利慾)으로 빚어진 중상모략이 숨어 있고….≪한무숙, 만남≫

18. 십이기 (十二忌) [시비기]

한자: 十(열 십), 二(두 이:), 忌(꺼릴 기)

동양화의 산수화법에서 피하여야 할 열두 가지의 규칙. 중국 남송의 요자연(饒自然)이 말한 것이다.

19. 연기 (年忌) [연기]

한자: 年(해 년), 忌(꺼릴 기)

「1」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2」운수가 사나운 해.
「3」사람이 죽은 뒤 3년, 7년이 되는 기일에 그 사람의 명복을 비느라고 불사(佛事)를 하는 일.

20. 염기 (厭忌) [염:기]

한자: 厭(싫어할 염:), 忌(꺼릴 기)

싫어하고 꺼림.

21. 외기 (畏忌) [외:기]

한자: 畏(두려워할 외:), 忌(꺼릴 기)

두려워하고 꺼림.

22. 원기 (怨忌) [원:기]

한자: 怨(원망할 원(:)), 忌(꺼릴 기)

원망하고 미워함. 또는 그런 마음.

용례:

  • 원기를 맺다.
  • 춘호가 용 바위 수신의 비위를 건드려서…원기를 사 죽고 말았다.≪천승세, 낙월도≫
  • 지금 여러 도의 전지를 고쳐 측량하여 집터의 촌지까지도 모두 계산해서 세를 부과하니, 민생이 더욱 고통스럽고 원기가 더욱 쌓이니….≪번역 태종실록≫

23. 의기 (意忌) [의:기]

한자: 意(뜻 의:), 忌(꺼릴 기)

남을 의심하고 꺼림.

24. 의기 (疑忌) [의기]

한자: 疑(의심할 의), 忌(꺼릴 기)

의심하고 꺼림.

25. 일주기 (一周忌) [일쭈기]

한자: 一(한 일), 周(두루 주), 忌(꺼릴 기)

사람이 죽은 지 1년 만에 지내는 제사.

용례:

  • 일주기가 되다.
  • 일주기를 기념하다.

26. 일회기 (一回忌) [일회기]

한자: 一(한 일), 回(돌아올 회), 忌(꺼릴 기)

사람이 죽은 지 1년 만에 지내는 제사.

27. 절기 (絕忌) [절기]

한자: 絕(끊을 절), 忌(꺼릴 기)

매우 꺼림.

28. 조기 (祖忌) [조기]

한자: 祖(할아비 조), 忌(꺼릴 기)

조사(祖師)의 기일.

29. 주기 (周忌) [주기]

한자: 周(두루 주), 忌(꺼릴 기)

사람이 죽은 뒤 그 날짜가 해마다 돌아오는 횟수를 나타내는 말.

용례:

내일이 할아버지의 이십오 주기가 되는 날이다.

30. 증기 (憎忌) [증기]

한자: 憎(미울 증), 忌(꺼릴 기)

미워하고 꺼림.

31. 질기 (疾忌) [질기]

한자: 疾(병 질), 忌(꺼릴 기)

미워하고 꺼림.

32. 초기 (初忌) [초기]

한자: 初(처음 초), 忌(꺼릴 기)

「1」사람이 죽은 지 1년이 되는 날.
「2」삼년상을 마친 뒤에 처음으로 지내는 기제.

33. 친기 (親忌) [친기]

한자: 親(친할 친), 忌(꺼릴 기)

부모의 제사.

용례:

덕기에게는 조모 제사요 부친에게는 친기가 되지만….≪염상섭, 삼대≫

34. 투기 (妬忌) [투기]

한자: 妬(샘낼 투), 忌(꺼릴 기)

부부 사이나 사랑하는 이성(異性) 사이에서 상대되는 이성이 다른 이성을 좋아할 경우에 지나치게 시기함.

용례:

  • 투기를 부리다.
  • 투기가 많다.
  • 큰댁은 머리를 드는 투기를 억제하기에 애를 썼으나….≪염상섭, 무화과≫

35. 편기 (褊忌) [편기]

한자: 褊(옷좁을 편), 忌(꺼릴 기)

좁은 소견으로 남을 시기함.

36. 피기 (避忌) [피:기]

한자: 避(피할 피:), 忌(꺼릴 기)

싫어서 피함.

37. 혐기 (嫌忌) [혐기]

한자: 嫌(싫어할 혐), 忌(꺼릴 기)

싫어하고 꺼림.

38. 회기 (回忌) [회기]

한자: 回(돌아올 회), 忌(꺼릴 기)

사람이 죽은 뒤 해마다 돌아오는 제삿날.

39. 휘기 (諱忌) [휘기]

한자: 諱(숨길/꺼릴 휘), 忌(꺼릴 기)

숨기고 드러내기를 꺼림.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忌 꺼릴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