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 운기 (運氣) [운:기]
한자: 運(옮길 운:), 氣(기운 기)
「1」어떤 지역에 널리 퍼져 여러 사람이 잇따라 돌아가며 옮아 앓는 병. 또는 같은 원인으로 보통 병보다 많이 발생하는 병.
「2」이미 정하여져 있어 인간의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천운(天運)과
기수(氣數).
용례:
- 「2」나라의 운기가 상승하다.
- 「2」그는 운동선수로서 운기를 타고났다.
140. 울음기 (울음氣) [우름끼]
한자: 氣(기운 기)
울다가 아직 가시지 않은 울음의 흔적 또는 울음의 기색.
용례:
- 울음기가 섞인 목소리.
- 배 구장의 목소리에 울음기가 섞여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 울음기가 가신 또렷한 목소리로 최의 아내가 말했다.≪선우휘, 사도행전≫
141. 웃음기 (웃음氣) [우슴끼]
한자: 氣(기운 기)
웃다가 아직 가시지 아니한 웃음의 흔적. 또는 웃으려는 기색.
용례:
- 웃음기를 담은 얼굴.
- 웃음기가 어리다.
- 웃음기를 감추지 못하다.
- 아들의 합격 소식에 초조해하시던 어머니 얼굴에 웃음기가 돌았다.
- 그녀는 웃음기를 띠며 상냥하게 말했다.
- 울던 아이는 엄마를 보자 입가에 웃음기가 번졌다.
- 그는 조심조심 그 상자를 들어 손에 들더니 웃음기를 거둔 얼굴로 진지하게 말을 덧붙였다.≪최인호, 잠자는 신화≫
142. 원기 (元氣) [원기]
한자: 元(으뜸 원), 氣(기운 기)
「1」마음과 몸의 활동력.
「2」본디 타고난 기운.
「3」만물이 자라는 데 근본이 되는 정기.
용례:
- 「1」원기가 나다.
- 「1」원기를 돋우다.
- 「1」그들은 모두 씩씩하고 원기가 왕성한 젊은이이다.
- 「2」원기를 차리다.
- 「2」열이 내린 환자가 있더니 저녁나절부터는 차츰 원기를 회복하기 시작하였다.≪황석영, 장길산≫
143. 원망기 (怨望氣) [원:망끼]
한자: 怨(원망할 원(:)), 望(바랄 망:), 氣(기운 기)
못마땅하게 여기어 탓하거나 불평을 품고 미워하는 기색.
용례:
원망기가 섞인 말.
144. 위기 (胃氣) [위기]
한자: 胃(밥통 위), 氣(기운 기)
「1」위(胃)의 작용.
「2」‘원기’(元氣)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용례:
「2」약 몇 첩 쓰다가 나중에는 맥의 위기가 떨어져서 구할 수 없다고 약도 쓰려고 하지 아니하여….≪홍명희, 임꺽정≫
145. 위엄기 (威嚴氣) [위엄끼]
한자: 威(위엄 위), 嚴(엄할 엄), 氣(기운 기)
위엄을 느끼게 하는 기운.
용례:
박원종은 구군복에 달린 환도를 빼어 들고 위엄기 있게 여러 사람을 둘러보았다.≪박종화, 금삼의 피≫
146. 위협기 (威脅氣) [위협끼]
한자: 威(위엄 위), 脅(위협할 협), 氣(기운 기)
위협하는 기운이나 기색.
용례:
그의 시선 속엔 차갑고 무거운 위협기가 숨어 있었다.≪이청준, 잔인한 도시≫
147. 유행성감기 (流行性感氣) [유행썽감:기]
한자: 流(흐를 류(유)), 行(다닐 행(:)), 性(성품 성:), 感(느낄 감:), 氣(기운 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하여 일어나는 감기. 고열이 나며 폐렴, 가운데귀염, 뇌염 따위의 합병증을 일으킨다.
148. 육기 (肉氣) [육끼]
한자: 肉(고기 육), 氣(기운 기)
「1」몸에 살이 붙은 정도.
「2」고기로 만든 음식.
용례:
- 「1」배돌석이의 여색을 밝히는 품이 육기 없어도 싫지 않겠지만 육기 좋은 데 더욱 탐이 났다.≪홍명희, 임꺽정≫
- 「2」육기라곤 몇 달 전에 곰국 한 그릇 마셨을 뿐인 마준의 배 속이라….≪서기원, 마록 열전≫
149. 윤기 (潤氣) [윤:끼]
한자: 潤(불을 윤:), 氣(기운 기)
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용례:
- 윤기가 흐르는 머리.
- 묵은쌀은 끈기와 윤기가 떨어진다.
- 피부에 윤기가 있다.
- 잠에서 깨어나자 명주실처럼 윤기가 자르르한 가을날 아침 햇살이 그의 얼굴에 담뿍 꽂혀 내리고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150. 음기 (淫氣) [음기]
한자: 淫(음란할 음), 氣(기운 기)
음란한 기운.
용례:
사십을 바라보는 나이의 주모는 분도 바르고 뫼 산 자로 눈썹도 다듬고 얹은머리 끝에는 다홍 댕기도 물려 음기가 남아 지저분한 느낌을 주었다.≪한무숙, 만남≫
151. 음기 (陰氣) [음기]
한자: 陰(그늘 음), 氣(기운 기)
「1」어둡고 침침하거나 쌀쌀한 기운.
「2」몸 안에 있는 음의 기운.
용례:
「1」하늘이 갑자기 우중충해지고 한랭한 바람과 음기가 엄습하여 금시라도 눈보라가 칠 것 같았다.
152. 의기 (意氣) [의:기]
한자: 意(뜻 의:), 氣(기운 기)
「1」기세가 좋은 적극적인 마음.
「2」장한 마음.
「3」사람이 타고난 기개나 마음씨. 또는 그것이 겉으로 드러난 모양.
용례:
- 「1」의기가 드높다.
- 「1」의기가 왕성하다.
- 「2」의기가 만만하다.
153. 의기 (義氣) [의:기]
한자: 義(옳을 의:), 氣(기운 기)
정의감에서 우러나오는 기개(氣槪).
용례:
독립투사들의 의기가 충천하고 민족의 기상이 싱싱하게 살아 숨 쉬는 곳….≪박완서, 미망≫
154. 이슬기 (이슬氣) [이슬끼]
한자: 氣(기운 기)
이슬 기운.
용례:
- 이슬기가 있는 풀잎.
- 그의 눈 끝에 희미한 이슬기 같은 것이 맺히고 있었다.≪이청준, 춤추는 사제≫
155. 이십사절기 (二十四節氣) [이:십싸:절기]
한자: 二(두 이:), 十(열 십), 四(넉 사:), 節(마디 절), 氣(기운 기)
태양의 황도(黃道)상의 위치에 따라서 정한 절기. 평기(平氣)로는 오 일을 일후(一候), 삼후(三候)를 일기(一氣), 일 년을 이십사기(二十四氣)로 하며, 정기(定氣)로는 황도를 이십사 등분하여 각 등분점에 태양의 중심이 오는 시기를 가지고 이십사기라고 한다. 입춘, 우수, 경칩, 춘분, 청명, 곡우, 입하, 소만, 망종, 하지, 소서, 대서, 입추, 처서, 백로, 추분, 한로, 상강, 입동, 소설, 대설, 동지, 소한, 대한이다.
156. 인기 (人氣) [인끼]
한자: 人(사람 인), 氣(기운 기)
「1」어떤 대상에 쏠리는 대중의 높은 관심이나 좋아하는 기운.
「2」사람의 기개.
용례:
- 「1」인기 가요.
- 「1」인기 관리.
- 「1」인기 상품.
- 「1」인기가 떨어지다.
- 「1」인기를 끌다.
- 「1」요즘은 짧은 머리가 인기이다.
- 「1」그는 유머 감각이 뛰어나 친구들 사이에서 인기가 대단했다.
- 「1」서울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군의관으로 근무하고 있는 젊은 장교는 환자들 간에서도 인기가 높았다.≪최인호, 지구인≫
157. 인적기 (人跡氣) [인적끼]
한자: 人(사람 인), 跡(발자취 적), 氣(기운 기)
사람이 있음을 알 수 있게 하는 소리나 기색.
용례:
- 인적기가 나다.
- 인적기를 느끼다.
- 밤이 깊어지고 모두들 잠들었을 성싶었는데 안채 쪽에서 희미한 인적기가 들려왔다.≪박경리, 토지≫
- 정문 근처에 얼만가의 사람이 서성거리고 있을 뿐 인적기가 뜸하게 되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58. 일기 (一氣) [일기]
한자: 一(한 일), 氣(기운 기)
「1」한 호흡. 또는 그만큼의 짧은 시간이나 동작.
「2」만물의 원기.
「3」천지가 나누어지기 전의 우주에 가득찬 혼돈한 기운.
「4」같은 분위기.
「5」기맥(氣脈)을 서로 통하고
있는 무리.
용례:
- 「1」그는 일기에 상대편을 쓰러뜨렸다.
- 「2」봄은 일기가 가득한 계절이다.
- 「4」오늘의 집안 분위기는 어제와 일기이다.
159. 일기 (日氣) [일기]
한자: 日(날 일), 氣(기운 기)
그날그날의 비, 구름, 바람, 기온 따위가 나타나는 기상 상태.
용례:
- 일기가 따뜻하다.
- 이 바람이 자기 시작하면 잔풍한 좋은 일기가 계속된다.≪한설야, 탑≫
160. 일기 (逸氣) [일기]
한자: 逸(편안할 일), 氣(기운 기)
「1」뛰어난 기상.
「2」세속에서 벗어난 기상.
용례:
- 「1」그는 일기를 가진 장군이다.
- 「2」그의 몸가짐으로 보아 그는 필시 남다른 일기를 가진 사람이다.
161. 자기 (紫氣) [자:기]
한자: 紫(자줏빛 자), 氣(기운 기)
「1」자줏빛의 기운.
「2」상서로운 기운.
용례:
「1」동래성 남문 문루 위에는 삼년을 두고 밤마다 붉은 자기가 서리어 떠돌았다.≪박종화, 임진왜란≫
162. 잠기 (잠氣) [잠끼]
한자: 氣(기운 기)
잠이 오거나 아직 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기운이나 기색.
용례:
- 그는 잠기가 가시지 않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 아이가 눈에 잠기가 가득한 것을 보니 곧 잠들겠다.
163. 장난기 (장난氣) [장난끼]
한자: 氣(기운 기)
장난이 섞인 기운.
용례:
- 장난기가 서린 눈.
- 장난기가 섞이다.
- 장난기를 담은 어조로 대꾸하다.
- 준의 얼굴에는 어딘지 장난기가 배어 있는 것 같았다.≪이청준, 퇴원≫
164. 재기 (才氣) [재기]
한자: 才(재주 재), 氣(기운 기)
재주가 있는 기질.
용례:
- 재기 발랄한 젊은이.
- 재기가 넘치다.
- 재기가 있다.
- 사람들은 그의 넘치는 재기에 혀를 내둘렀다.
- 가만히 물상을 살펴보니 한 가닥 칼 빛 같은 재기가 맑은 이마에 서려 있고 익은 복숭앗빛 두 볼에는 은은히 선골(仙骨)이 비쳤습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165. 저녁연기 (저녁煙氣) [저녕년기]
한자: 煙(연기 연), 氣(기운 기)
저녁밥을 지을 때 굴뚝에서 피어오르는 연기.
용례:
해는 용마루 위 서산마루로 드러눕는 중이었고, 굴뚝마다 쏟아져 나와 황혼을 드리웠던 저녁연기들은 젖어드는 땅거미와 어울려 추녀 끝으로만 맴돌고 있었다.≪이문구, 관촌 수필≫
166. 전기 (電氣) [전:기]
한자: 電(번개 전:), 氣(기운 기)
「1」물질 안에 있는 전자 또는 공간에 있는 자유 전자나 이온들의 움직임 때문에 생기는 에너지의 한 형태. 음전기와 양전기 두 가지가 있는데, 같은 종류의 전기는 밀어 내고 다른 종류의 전기는 끌어당기는
힘이 있다.
「2」저리거나 무엇에 부딪혔을 때 몸에 짜릿하게 오는 느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전기가 들어오다.
- 「1」전기가 끊기다.
- 「1」전기가 통하다.
- 「1」전기가 흐르다.
- 「1」전기 사정이 좋아지다.
- 「1」사고가 나자 그 지역의 전기 공급을 중단하였다.
- 「1」난 그때 전기가 나가면 너무 캄캄해질 텐데 어떻게 하나 무서워서 혼났어요.≪안정효, 하얀 전쟁≫
- 「2」다리에 전기가 오다.
167. 절기 (節氣) [절기]
한자: 節(마디 절), 氣(기운 기)
「1」한 해를 스물넷으로 나눈, 계절의 표준이 되는 것.
「2」이십사절기 가운데 양력 매월 상순에 드는 것. 입춘, 경칩, 청명 따위이다.
「3」한 해 가운데서 어떤 일을 하기에 좋은 시기나
때.
용례:
- 「1」풍증 있는 사람이 비 오는 날을 미리 알 듯이 그들은 일자무식이라도 생리로 절기를 안다.≪이무영, 농민≫
- 「3」농사 준비로 바쁜 절기를 맞다.
- 「3」절기가 일러서 예년보다 일찍 꽃이 피었다.
168. 정기 (正氣) [정:기]
한자: 正(바를 정(:)), 氣(기운 기)
「1」지극히 크고 바르고 공명한 천지의 원기(元氣).
「2」바른 기풍.
「3」정상적인 기후.
「4」생명의 원기(元氣). 병에 대한 생체의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용례:
- 「2」정기를 구현하다.
- 「2」국가의 공권력으로 민족의 수치를 제거하고 백성들의 정기를 살리기 위해서는 불가피한 최선의 방법이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69. 정기 (精氣) [정기]
한자: 精(정할 정), 氣(기운 기)
「1」천지 만물을 생성하는 원천이 되는 기운.
「2」민족 따위의 정신과 기운.
「3」생기 있고 빛이 나는 기운.
「4」사물의 순수한 기운.
용례:
- 「1」백두산의 정기를 받다.
- 「1」산천의 정기는 또 계룡으로 흘러든다.≪유주현, 대한 제국≫
- 「2」고려청자에는 우리 겨레의 정기가 서려 있다.
- 「3」그의 두 눈에는 정기가 있다.
- 「4」나무의 정기.
- 「4」조상에게 물려받은 보검의 정기.
- 「4」산속의 다정하면서도 무서운 정기를 느끼며 서희는 자신의 마음이 맑아지기를 기다린다.≪박경리, 토지≫
170. 정신기 (精神氣) [정신끼]
한자: 精(정할 정), 神(귀신 신), 氣(기운 기)
사물을 느끼고 생각하며 판단할 수 있는 기운이나 기색.
용례:
죽기 전 며칠은 제법 정신기가 돌아왔다.≪현진건, 무영탑≫
171. 정전기 (正電氣) [정:전기]
한자: 正(바를 정(:)), 電(번개 전:), 氣(기운 기)
비단 헝겊으로 유리 막대를 문질렀을 때 유리 막대 쪽에 생기는 전기. 또는 그와 같은 성질의 전기. 원자핵이 가지고 있는 전기이며 부호는 ‘+’로 표시한다.
172. 정전기 (靜電氣) [정전기]
한자: 靜(고요할 정), 電(번개 전:), 氣(기운 기)
분포가 시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전하 및 그 전하에 의한 전기 현상. 마찰 전기 따위에서 볼 수 있다.
용례:
겨울에는 옷에서 정전기가 자주 일어난다.
173. 조롱기 (嘲弄氣) [조롱끼]
한자: 嘲(비웃을 조), 弄(희롱할 롱:), 氣(기운 기)
비웃거나 깔보면서 놀리는 기색.
용례:
- 그는 입가에 차디찬 미소를 잃지 않은 채 조롱기 섞인 어조로 내뱉고 있었다.≪이청준, 당신들의 천국≫
- 조준구는 눈을 가늘게 뜨며 입가에 조롱기를 담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174. 졸음기 (졸음氣) [조:름끼]
한자: 氣(기운 기)
졸음이 나타나는 기색.
용례:
- 졸음기가 말끔 달아나 버린 사내는 모른 척하고 다시 잠을 청할 수도 없었다.≪이청준, 잔인한 도시≫
- 그날따라 늦은 점심을 들고 돌아온 그가 버릇처럼 식곤증과 졸음기에 짓눌려 있던 시각이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175. 종기 (腫氣) [종:기]
한자: 腫(종기 종:), 氣(기운 기)
피부의 털구멍 따위로 화농성 균이 들어가서 생기는 염증.
용례:
- 종기가 나다.
- 그녀의 허벅지 사타구니 가까이 희부옇고 부드러운 살결 위에 콩알만큼씩 한 종기가 불그스레 돋아나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76. 주기 (酒氣) [주기]
한자: 酒(술 주(:)), 氣(기운 기)
술에 취한 기운이나 느낌.
용례:
- 얼굴의 주기가 사라지다.
- 주기가 올라 얼굴과 목덜미가 벌겋게 되었다.
- 술이 대여섯 잔이 지나가자 적장은 거나하게 주기가 돌았다.≪박종화, 임진왜란≫
177. 증기 (蒸氣) [증기]
한자: 蒸(찔 증), 氣(기운 기)
「1」기체 상태로 되어 있는 물.
「2」액체나 고체가 증발 또는 승화하여 생긴 기체.
용례:
- 「1」증기 소독.
- 「1」스팀에서 증기가 올라오다.
- 「1」물이 끓기 시작하자 주전자 주둥이로 증기가 뿜어져 나왔다.
178. 지기 (地氣) [지기]
한자: 地(따 지), 氣(기운 기)
「1」토양 속의 공기. 탄산의 양이 산소보다 더 많다.
「2」땅의 정기.
「3」축축하고 눅눅한 땅의 기운.
용례:
- 「2」지기가 있다.
- 「2」지기를 향수하다.
- 「2」그 지방은 지기가 성하여 유명한 인물이 많이 배출되었다.
179. 지기 (志氣) [지기]
한자: 志(뜻 지), 氣(기운 기)
의지와 기개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구 씨와 옥련의 지기가 비록 비범하나 그러나 청춘 연기의 연한 장차로 이 이별은 어려운 이별이라.≪이인직, 모란봉≫
180. 진기 (津氣) [진:끼]
한자: 津(나루 진(:)), 氣(기운 기)
「1」진액의 끈적끈적한 기운.
「2」먹은 것이 잘 삭지 아니하여 오랫동안 유지되는 든든한 기운.
용례:
- 「1」그는 진기는 없으나 씹을수록 고소한 조밥에다 시원한 열무김치를 얹어서 맛있게 먹다 말고 불쑥 물었다.≪박완서, 미망≫
- 「2」밥은 국수보다 진기가 많다.
- 「2」죽물에 몇 오라기 떠 있는 콩나물 건더기가 그래도 주린 창자를 진기 있게 해 주는 것이다.≪최명희, 혼불≫
181. 찬기 (찬氣) [찬기]
한자: 氣(기운 기)
「1」차가운 기운.
「2」냉랭하고 비정한 기세나 기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찬기가 돌다.
- 「1」그 물은 찬기가 가셔 미지근하다.
- 「1」시멘트 바닥에서는 찬기가 올라왔다.
- 「1」천연수의 찬기가 뼛속까지 스며들면서 턱이 떨려 왔다.≪조해일, 아메리카≫
- 「2」그의 옆에만 가면 언제나 찬기가 느껴진다.
- 「2」검을 쥐고 있는 그의 눈에 찬기가 서려 섬뜩했다.
182. 찰기 (찰氣) [찰기]
한자: 氣(기운 기)
곡식이나 그것으로 만든 음식 따위의 끈기 있는 성질이나 기운.
용례:
- 찰기가 돌다.
- 밥이 찰기가 있고 윤기가 난다.
183. 천기 (天氣) [천기]
한자: 天(하늘 천), 氣(기운 기)
「1」하늘에 나타난 조짐.
「2」그날그날의 비, 구름, 바람, 기온 따위가 나타나는 기상 상태.
용례:
- 「1」천기를 살피다.
- 「1」노인들은 이렇게 걱정을 하며 천기나 보듯 손으로 해를 가리고 하늘을 쳐다보는 것이다.≪이무영, 농민≫
- 「2」초여름에 눈이 오다니 천기마저 자못 심상치 않았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2」개성에서 헬리콥터로 돌아오기로 된 회담 대표단은 천기의 급작스러운 악화로 기지 착륙을 포기했다는 연락입니다.≪홍성원, 육이오≫
184. 철기 (철氣) [철기]
한자: 氣(기운 기)
규칙적으로 되풀이되는 자연 현상에 따라서 일 년을 구분한 것. 일반적으로 온대 지방은 기온의 차이를 기준으로 하여 봄, 여름, 가을, 겨울의 네 계절로 나누고, 열대 지방에서는 강우량을 기준으로 하여 건기와 우기로 나눈다. 천문학적으로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로 나눈다.
용례:
- 철기가 늦다.
-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는 것을 보니 철기가 가을인가 보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氣 기운 기 - 6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