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교기 (校旗) [교:기]
한자: 校(학교 교:), 旗(기 기)
학교를 상징하는 깃발.
용례:
각 학교별로 대표자가 교기를 들고 입장하였다.
2. 국기 (國旗) [국끼]
한자: 國(나라 국), 旗(기 기)
일정한 형식을 통하여 한 나라의 역사, 국민성, 이상 따위를 상징하도록 정한 기(旗). 우리나라의 태극기, 미국의 성조기, 일본의 일장기 따위이다.
용례:
- 국기에 대한 경례.
- 국기가 펄럭이다.
- 국기를 게양하다.
3. 군기 (軍旗) [군기]
한자: 軍(군사 군), 旗(기 기)
각 단위 부대를 상징하는 기.
용례:
지휘를 맡았던 대좌는 타오르는 군기 앞에서 자결하고 나머지 장병들은 허탈에 빠져 소련군의 무장 해제를 기다리고 있는 중이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4. 농기 (農旗) [농기]
한자: 農(농사 농), 旗(기 기)
농촌에서 한 마을을 대표하고 상징하는 기. 흰 천에 먹으로 ‘신농유업(神農遺業)’,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 따위의 글자를 쓰고, 두렛일을 할 때 풍물을 치며 이 기를 앞세우고 나온다.
용례:
- 두레꾼들이 농기를 앞세우고 풍물을 요란스럽게 치면서 들로 간다.
- 시골 양반 따위는 말할 것도 없고, 고을 수령뿐만 아니라, 설사 그것이 재상의 행차라 하더라도 이 농기 앞에서는 말이나 가마를 내리는 것이 관행으로 되어 있다.≪송기숙, 녹두 장군≫
5. 단기 (團旗) [단기]
한자: 團(둥글 단), 旗(기 기)
‘단’(團)의 이름이 붙은 단체나 모임의 상징이 되는 기.
용례:
- 소년단 단기.
- 흥사단 단기.
6. 독전기 (督戰旗) [독쩐기]
한자: 督(감독할 독), 戰(싸움 전:), 旗(기 기)
예전에, 전투할 때 싸움을 감독하고 사기를 북돋워 주기 위하여 달던 기.
용례:
이순신 장군은 돌연히 장대에 올라서서 북소리, 나팔 소리와 함께 남빛 독전기를 휘두르기 시작한다.≪박종화, 임진왜란≫
7. 두레기 (두레旗) [두레기]
한자: 旗(기 기)
두렛일을 할 때 풍악을 울리면서 세우고 가는 농기.
용례:
두레가 일을 할 때는…두레기를 일하는 근처의 큰길가에 꽂아 둔다.≪송기숙, 녹두 장군≫
8. 만국기 (萬國旗) [만:국끼]
한자: 萬(일만 만:), 國(나라 국), 旗(기 기)
세계 여러 나라의 국기.
용례:
- 행사장에는 만국기가 펄럭이고 있었다.
- 사방으로 실이 걸리고 색종이와 만국기를 한 줄 건너씩 걸어 온통 천장은 요란한 색깔로 뒤덮여 있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 운동장에는 새끼줄을 돌려 치고 만국기를 오색이 찬란하게 날려 띄우고….≪김남천, 대하≫
9. 만선기 (滿船旗) [만:선기]
한자: 滿(찰 만(:)), 船(배 선), 旗(기 기)
물고기를 가득 실었다는 표시로 배에 높이 다는 깃발.
용례:
고기잡이배가 만선기를 휘날리며 항구로 돌아왔다.
10. 반기 (反旗) [반:기]
한자: 反(돌이킬/돌아올 반:), 旗(기 기)
「1」반란을 일으킨 무리가 그 표시로 드는 기.
「2」반대의 뜻을 나타내는 행동이나 표시.
용례:
- 「2」당국의 견해에 반기를 들다.
- 「2」교수의 이론에 반기를 드는 학생이 있었다.
11. 반기 (半旗) [반:기]
한자: 半(반(半) 반:), 旗(기 기)
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깃봉에서 기의 한 폭만큼 내려서 다는 국기.
용례:
- 애도의 뜻으로 반기를 게양하다.
- 국상을 당하자 국민들은 반기를 걸어 추도의 뜻을 표했다.
12. 반기 (叛旗) [반:기]
한자: 叛(배반할 반:), 旗(기 기)
반란을 일으킨 무리가 그 표시로 드는 기.
용례:
성문에는 반란군의 반기가 나부꼈다.
13. 백기 (白旗) [백끼]
한자: 白(흰 백), 旗(기 기)
「1」흰 빛깔의 기.
「2」항복의 표시로 쓰는 흰 기.
「3」일기 예보에서 맑음을 나타내는 흰 기.
용례:
- 「1」백기를 꽂고 백마를 탄 왜장이 말에서 떨어져 죽었으니 이것은 확실히 적이 패할 징조다.≪박종화, 임진왜란≫
- 「2」마스트에 백기를 달고 항복을 가장하면서 전속력으로 도망쳐라!≪유주현, 대한 제국≫
14. 부대기 (部隊旗) [부대기]
한자: 部(떼 부), 隊(무리 대), 旗(기 기)
군부대를 표시하는 기.
용례:
- 부대기를 앞세우고 군인들이 행진한다.
- 그들은 이제 한곳에 정착하여 도로를 닦고 철조망을 둘러치고 부대 복판에 부대기를 게양할 게양대를 설치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15. 사명기 (司命旗) [사명기]
한자: 司(맡을 사), 命(목숨 명:), 旗(기 기)
「1」제주 무당들이 신이 내리기를 빌 때에 쓰는 기.
「2」조선 시대에, 각 군영(軍營)의 대장(大將), 유수(留守), 순찰사, 통제사가 휘하의 군대를 지휘하는 데에 쓰던 군기(軍旗). 기의 바탕
색깔은 각 대장의 방위에 따라 다르며, 가운데에는 진영의 이름에 따라 ‘○軍司命’이라고 썼고, 오색 비단의 드림과 영두(纓頭), 주락(珠絡), 장목 따위를 달았다.
용례:
「2」장군은 사명기 달린 사령탑에 올라 징을 쳐서 급히 전령을 내린다.≪박종화, 임진왜란≫
16. 삼색기 (三色旗) [삼색끼]
한자: 三(석 삼), 色(빛 색), 旗(기 기)
「1」세 가지 빛깔로 된 기.
「2」프랑스의 국기. 파랑, 하양, 빨강으로 자유, 평등, 박애를 상징한다.
용례:
- 「1」학교 운동장에는 삼색기가 펄럭이고 있었다.
- 「2」법국 군함이 삼색기를 펄럭이며 산지포에 들자마자….≪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7. 수기 (手旗) [수기]
한자: 手(손 수(:)), 旗(기 기)
「1」손에 쥐는 작은 기.
「2」군대, 철도, 선박에서 신호로 쓰는 작은 기.
「3」행진할 때에 장수가 손에 들어 그 직책을 표시하던 군기(軍旗). 글자를 새겼고, 직책에 따라 기의 넓이와
색깔이 달랐다.
용례:
- 「1」그들이 둘러앉은 앞쪽에는, 은컵 속에 수기가 꽂혀 있다.≪최인훈, 구운몽≫
- 「2」수기로 신호를 보내다.
18. 신기 (神旗) [신기]
한자: 神(귀신 신), 旗(기 기)
「1」무녀가 기도를 하기 위한 단(壇)을 설치할 때 쓰는 기. 오방기와 28장군기(將軍旗)가 있다.
「2」조선 시대에, 기면(旗面)에 말을 탄 신장(神將)의 화상을 그린 군기(軍旗). 방위를 따라
오색으로 하였으며, 삼중으로 진을 칠 때 진의 가운데에 세웠다.
19. 신호기 (信號旗) [신:호기]
한자: 信(믿을 신:), 號(이름 호(:)), 旗(기 기)
신호하는 데 쓰는 기.
용례:
- 신호기를 내걸다.
- 신호기를 높이 올리다.
20. 오륜기 (五輪旗) [오:륜기]
한자: 五(다섯 오:), 輪(바퀴 륜), 旗(기 기)
올림픽을 상징하는 기(旗). 흰 바탕에 청색, 황색, 흑색, 녹색, 적색의 고리 다섯 개를 겹쳐 놓아 오대주의 평화와 협력을 상징한다. 1914년에 쿠베르탱의 고안으로 제정하였다.
21. 오색기 (五色旗) [오:색끼]
한자: 五(다섯 오:), 色(빛 색), 旗(기 기)
「1」함께 쓰이는 오색으로 된 다섯 폭의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대한 제국 때에 사용하던, 다섯 가지 색의 삼각 의장기. 파란색, 누런색, 붉은색, 흰색, 검은색의 천으로
만들었다.
「3」중화민국 성립 이후부터 국민 정부 수립 때까지 사용하던 중화민국의 국기.
용례:
「1」단에는 층층이 청, 황, 흑, 백, 적의 화려한 오색기가 바람에 펄럭거리고….≪박종화, 임진왜란≫
22. 용대기 (龍大旗) [용때기]
한자: 龍(용 룡), 大(큰 대(:)), 旗(기 기)
임금이 거둥할 때에 행렬의 앞에 세우던 기. 누런 바탕의 기면(旗面)에 용틀임과 운기(雲氣)가 채색되어 있고, 가장자리에 붉은 화염이 그려져 있는 아기(牙旗)이다. 임금이 친열(親閱)할 때는 각 영(營)을 지휘하는 데 썼다.
용례:
성안 드높은 곳에 용대기를 높이 세우고 크게 군막을 치게 하고, 군사들은 함빡 성으로 나와서 성첩을 지키라.≪박종화, 임진왜란≫
23. 우승기 (優勝旗) [우승기]
한자: 優(넉넉할 우), 勝(이길 승), 旗(기 기)
우승한 사람이나 단체에게 주어 표창하는 기.
용례:
- 3년 연속으로 우승을 한 팀이 우승기를 영구히 보존하기로 하였다.
- 우승한 팀에게는 우승기와 우승 상금을 주었다.
24. 응원기 (應援旗) [응:원기]
한자: 應(응할 응:), 援(도울 원:), 旗(기 기)
운동 경기 따위에서, 응원할 때 쓰는 깃발.
용례:
K 중학교 쪽은 응원기가 온통 울긋불긋했고, 응원단장의 분장도 색달랐다.≪하근찬, 일본도≫
25. 적기 (敵旗) [적끼]
한자: 敵(대적할 적), 旗(기 기)
적의 깃발.
26. 전기 (戰旗) [전:기]
한자: 戰(싸움 전:), 旗(기 기)
전투 때에 쓰는 기.
용례:
전기를 펄럭이며 행군하다.
27. 정기 (旌旗) [정기]
한자: 旌(기 정), 旗(기 기)
정(旌)과 기(旗)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정기가 휘날리다.
- 정월 스무여드렛날 자시에 출병하시매 정기 하늘을 덮고, 산천초목도 그 위엄에 떨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8. 조기 (弔旗) [조:기]
한자: 弔(조상할 조:), 旗(기 기)
「1」조의를 표하기 위하여 깃봉에서 기의 한 폭만큼 내려서 다는 국기.
「2」남의 죽음을 슬퍼하는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검은 헝겊을 달거나 검은 선을 두른 기.
용례:
- 「1」조기를 게양하다.
- 「1」조기를 달다.
29. 채기 (彩旗) [채:기]
한자: 彩(채색 채:), 旗(기 기)
아름다운 빛깔을 물들인 기.
용례:
- 채기들이 왕을 옹위하였다.
- 전통 의상을 차려입은 이들이 갖가지 채기를 들고 행진을 한다.
30. 초요기 (招搖旗) [초요기]
한자: 招(부를 초), 搖(흔들 요), 旗(기 기)
조선 시대에, 전진(戰陣)에서나 행군할 때 대장이 장수들을 부르고 지휘하는 데에 쓰던 신호용 군기(軍旗). 깃발에 북두칠성이 그려져 있으며, 대장의 직품에 따라 크기나 색깔이 달랐다.
용례:
대장의 배에서는 별안간 초요기가 흔들리면서 모든 배를 정지시킨다.≪박종화, 임진왜란≫
31. 축기 (祝旗) [축끼]
한자: 祝(빌 축), 旗(기 기)
축하의 뜻을 나타내기 위하여 게양하는 기.
용례:
축기를 달다.
32. 태극기 (太極旗) [태극끼]
한자: 太(클 태), 極(다할/극진할 극), 旗(기 기)
대한민국의 국기. 흰 바탕의 한가운데 진홍빛 양(陽)과 푸른빛 음(陰)의 태극을 두고, 사방 대각선 상에 검은빛 사괘(四卦)를 둔다. 사괘의 위치는 건(乾)을 왼편 위, 곤(坤)을 오른편 아래, 감(坎)을 오른편 위, 이(離)를 왼편 아래로 한다. 조선 고종 19년(1882)에 일본에 수신사로 간 박영효가 처음 사용하고, 고종 20년(1883)에 정식으로 국기로 채택ㆍ공포되었다. 1949년에 문교부 고시로 현재의 형태로 확정되었다.
용례:
- 관람석을 가득 메운 태극기의 물결.
- 태극기를 달다.
- 태극기가 바람에 나부끼고 있다.
- 사람들이 손에 손에 태극기를 들고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몰려나왔다.
33. 풍어기 (豐漁旗) [풍어기]
한자: 豐(풍년 풍), 漁(고기잡을 어), 旗(기 기)
물고기가 많이 잡혔음을 알리는 기.
용례:
풍어기를 펄럭이며 귀항하다.
34. 호기 (號旗) [호:기]
한자: 號(이름 호(:)), 旗(기 기)
신호로 쓰는 기.
용례:
선단은 여기서 서로 호기를 올려서 안면도에 배를 정박하고 하룻밤을 묵기로 하였다.≪김주영, 객주≫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旗 기 기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