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금 (苛禁) [가:금]
한자: 苛(가혹할 가:), 禁(금할 금:)
엄하게 금지함.
2. 감금 (監禁) [감금]
한자: 監(볼 감), 禁(금할 금:)
드나들지 못하도록 일정한 곳에 가둠.
용례:
나는 거의 한 달째 이 골방에서 사실상 독실 감금 생활을 계속하는 중이다.≪안정효, 하얀 전쟁≫
3. 계금 (戒禁) [계:금]
한자: 戒(경계할 계:), 禁(금할 금:)
「1」타일러서 못하게 함.
「2」모든 악을 금지하여 못하게 막음.
4. 교금 (敎禁) [교:금]
한자: 敎(가르칠 교:), 禁(금할 금:)
가르쳐서 깨닫게 하는 것과 어떤 행위를 금하는 것을 이르는 말.
5. 구금 (拘禁) [구금]
한자: 拘(잡을 구), 禁(금할 금:)
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구치소나 교도소 따위에 가두어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강제 처분. 형이 확정되지 않은 사람에 대하여 집행하며, 형이 확정되면 구금 일수를 계산하여 형을 집행한 것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용례:
- 그는 지금 그리 명예스럽지도 못한 일로 구금이 되어 있다.≪이태준, 화관≫
- 아버지가 달포 가까이나 예비 검속 되어 읍내 경찰서 유치장에서 구금 생활을 한 적이 있다.≪이문구, 관촌 수필≫
6. 국금 (國禁) [국끔]
한자: 國(나라 국), 禁(금할 금:)
나라의 법으로 금함. 또는 그렇게 금한 일.
용례:
- 국금을 어기다.
- 국금을 범하다.
- 그때까지 서울 성안에는 승려를 들이지 않는 국금이 있었다.≪김구, 백범일지≫
7. 궁금 (宮禁) [궁금]
한자: 宮(집 궁), 禁(금할 금:)
「1」임금이 거처하는 집.
「2」왕궁의 금령(禁令).
용례:
「1」내시는 궁금을 출입하므로 임금은 기미를 살피고 장래를 염려하여….≪번역 연산군일기≫
8. 권금 (勸禁) [권:금]
한자: 勸(권할 권:), 禁(금할 금:)
권하는 것과 금하는 것.
9. 난금 (難禁) [난금]
한자: 難(어려울 난(:)), 禁(금할 금:)
금하기 어려움.
10. 목금 (目禁) [목끔]
한자: 目(눈 목), 禁(금할 금:)
눈짓으로 금함.
11. 미결구금 (未決拘禁) [미:결구금]
한자: 未(아닐 미(:)), 決(결단할 결), 拘(잡을 구), 禁(금할 금:)
범죄의 혐의를 받는 사람을 재판이 확정될 때까지 가두는 일.
12. 방금 (邦禁) [방금]
한자: 邦(나라 방), 禁(금할 금:)
나라에서 금하는 일.
용례:
사구(司寇)는 방금을 관장하여 간특한 것을 힐문하고 난폭한 것을 형벌한다.≪번역 태종실록≫
13. 방금 (防禁) [방금]
한자: 防(막을 방), 禁(금할 금:)
못 하게 막아서 금함.
용례:
마땅히 구종수를 베어 후래를 경계하고, 더욱 방금을 더하여 난의 근원을 근절하소서.≪번역 태종실록≫
14. 범금 (犯禁) [범:금]
한자: 犯(범할 범:), 禁(금할 금:)
법적으로 금지되어 있는 것을 범함.
15. 법금 (法禁) [법끔]
한자: 法(법 법), 禁(금할 금:)
법으로 금지하는 일.
16. 복금 (復禁) [복끔]
한자: 復(회복할 복), 禁(금할 금:)
옥에 가두었다가 풀어 놓은 사람을 다시 체포하여 가둠.
17. 봉금 (封禁) [봉금]
한자: 封(봉할 봉), 禁(금할 금:)
「1」밀봉(密封)한 자리에 도장을 찍음. 또는 그렇게 찍힌 도장.
「2」일정한 지역에 들어가지 못하게 막음.
용례:
- 「2」봉금을 해제하다.
- 「2」봉금 시기에 불법으로 월경하면 무조건 사형이라.≪최명희, 혼불≫
18. 불금 (不禁) [불금]
한자: 不(아닐 불), 禁(금할 금:)
「1」금하거나 말리지 아니함.
「2」어찌할 수 없음.
용례:
「2」이 편지는 세 번째 보내는 것인데 번번이 돌아오지도 않고 답장도 없어, 안타까운 심정 불금이로다.
19. 불법감금 (不法監禁) [불뻡깜금]
한자: 不(아닐 불), 法(법 법), 監(볼 감), 禁(금할 금:)
법률에 의하지 아니하고 남을 감금하여 그 자유를 구속함.
20. 소변불금 (小便不禁) [소:변불금]
한자: 小(작을 소:), 便(똥오줌 변), 不(아닐 불), 禁(금할 금:)
오줌이 나오는 것을 알면서도 참지 못하는 증상.
21. 송금 (松禁) [송금]
한자: 松(소나무 송), 禁(금할 금:)
소나무를 베지 못하게 법적으로 막던 일.
22. 식금 (食禁) [식끔]
한자: 食(밥/먹을 식), 禁(금할 금:)
먹는 것을 금기함. 또는 금기된 음식물.
23. 실금 (失禁) [실금]
한자: 失(잃을 실), 禁(금할 금:)
대소변을 참지 못하고 쌈.
24. 엄금 (嚴禁) [엄금]
한자: 嚴(엄할 엄), 禁(금할 금:)
엄하게 금지함.
용례:
- 출입 엄금.
- 화기 엄금.
- 같은 달 열하루에 대왕대비는 사학 엄금의 교서를 내렸다.≪한무숙, 만남≫
25. 연금 (軟禁) [연:금]
한자: 軟(연할 연:), 禁(금할 금:)
외부와의 접촉을 제한ㆍ감시하고 외출을 허락하지 아니하나 일정한 장소 내에서는 신체의 자유를 허락하는, 정도가 비교적 가벼운 감금.
용례:
- 연금 상태.
- 연금 해제.
- 태영은 숙자에게 말했듯 당으로부터 견책 처분을 받고 있었다. 삼 개월의 근신, 바꿔 말하면 연금을 당하고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26. 예방구금 (豫防拘禁) [예:방구금]
한자: 豫(미리 예:), 防(막을 방), 拘(잡을 구), 禁(금할 금:)
형기가 만료된 후에도 개전(改悛)하지 아니할 것으로 여겨지는 사람을 범죄 예방 차원에서 계속 구금하는 처분. 1908년에 영국의 범죄 방지법에서 창설된 제도로 1948년에 형사 재판법에 의하여 개정되었다.
27. 오금 (五禁) [오:금]
한자: 五(다섯 오:), 禁(금할 금:)
병이 있을 때 다섯 가지 맛의 음식을 금하는 일. 병이 힘줄에 있으면 신맛, 기에 있으면 매운맛, 뼈에 있으면 짠맛, 혈에 있으면 쓴맛, 살에 있으면 단맛의 음식을 금한다.
28. 요실금 (尿失禁) [요실금]
한자: 尿(오줌 뇨), 失(잃을 실), 禁(금할 금:)
오줌이 뜻하지 아니하게 저절로 나오는 증상.
29. 우금 (牛禁) [우금]
한자: 牛(소 우), 禁(금할 금:)
소를 잡는 것을 금함.
30. 일금 (一禁) [일금]
한자: 一(한 일), 禁(금할 금:)
모조리 금지함.
용례:
술도 일금이에요.≪심훈, 상록수≫
31. 자금 (自禁) [자금]
한자: 自(스스로 자), 禁(금할 금:)
어떤 행동을 스스로 금함.
32. 절금 (切禁) [절금]
한자: 切(끊을 절), 禁(금할 금:)
엄하게 금지함.
33. 제금 (制禁) [제:금]
한자: 制(절제할 제:), 禁(금할 금:)
어떤 행위를 하지 못하게 말림. 또는 그런 법규.
34. 주금 (酒禁) [주금]
한자: 酒(술 주(:)), 禁(금할 금:)
술을 빚거나 팔지 못하게 법으로 금지함.
35. 중금 (重禁) [중:금]
한자: 重(무거울 중:), 禁(금할 금:)
엄하게 금함. 또는 그런 법규나 법도.
36. 출금 (出禁) [출금]
한자: 出(날[生] 출), 禁(금할 금:)
금령(禁令)을 내리던 일.
37. 통금 (通禁) [통금]
한자: 通(통할 통), 禁(금할 금:)
「1」일정한 장소를 지나다니지 못하게 함.
「2」일정한 시간 동안 일반인이 거리를 지나다니거나 집 밖으로 활동하는 것을 못하게 하던 일.
용례:
- 「1」물은 이미 위험 수위를 훨씬 돌파해서, 다리는 통금이 돼 있었다.≪김정한, 모래톱 이야기≫
- 「2」통금에 걸리다.
- 「2」통금이 해제되다.
- 「2」네 시 통금 시간이 풀리자 어디서 쏟아져 나오는지 와글와글 시끌덤벙 요란하였다.≪이정환, 샛강≫
- 「2」돈암동 종점에 내렸을 때는 통금이 가까운 시간이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38. 판금 (販禁) [판금]
한자: 販(팔[賣] 판), 禁(금할 금:)
어떤 상품의 판매를 법으로 금지하는 일.
용례:
- 판금 도서.
- 판금 식품.
- 판금 해제.
39. 해금 (海禁) [해:금]
한자: 海(바다 해:), 禁(금할 금:)
「1」다른 나라 선박이 자기 나라 해안에 들어오거나 고기잡이하는 것을 금함.
「2」예전에, 중국에서 해상 교통이나 무역ㆍ어업 따위에 두던 제한. 명나라ㆍ청나라 때에 강화되었으나 1842년에 난징
조약으로 중국이 개항하면서 본래의 뜻을 잃게 되었다.
40. 해금 (解禁) [해:금]
한자: 解(풀 해:), 禁(금할 금:)
금지하던 것을 풂.
용례:
해금 가요.
41. 형금 (刑禁) [형금]
한자: 刑(형벌 형), 禁(금할 금:)
‘법’(法)을 달리 이르는 말.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