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속기 (減速機) [감:속끼]
한자: 減(덜 감:), 速(빠를 속), 機(틀 기)
한 축에서 다른 축으로 동력을 전달할 때, 회전 속도를 줄이는 장치. 톱니바퀴식, 유체식, 마찰식 따위가 있다.
2. 감용기 (減容機) [가:묭기]
한자: 減(덜 감:), 容(얼굴 용), 機(틀 기)
쓰레기 따위의 부피를 압축하여 줄이는 기계.
용례:
버려지는 스티로폼의 부피를 줄여 주는 감용기 생산이 늘고 있다.
3. 개찰기 (改札機) [개:찰기]
한자: 改(고칠 개(:)), 札(편지 찰), 機(틀 기)
개찰원을 대신하여 승차권이나 입장권 따위를 개찰하는 장치.
4. 거수기 (擧手機) [거:수기]
한자: 擧(들 거:), 手(손 수(:)), 機(틀 기)
회의에서 손을 들어 가부(可否)를 결정할 때, 주견(主見) 없이 남이 시키는 대로 손을 드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용례:
- 국익에 상관없이 거수기 노릇만 하는 국회 의원은 국민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 현 이사회는 김 회장의 독주에 거수기 역할만 한다는 냉소 섞인 비판이 자주 들리곤 했다.
5. 거짓말탐지기 (거짓말探知機) [거:진말탐지기]
한자: 探(찾을 탐), 知(알 지), 機(틀 기)
거짓말인지 아닌지를 알아내는 기계. 사람이 거짓말을 할 때 일어나는 호흡의 빠르기, 혈압의 높낮이, 피부 전기 반사의 강약에 차이가 나는 것을 이용한다. 주로 범죄 수사 따위에 쓴다.
용례:
검찰은 마지막 수단으로 피의자 심문에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하기로 하였다.
6. 검색기 (檢索機) [검:색끼]
한자: 檢(검사할 검:), 索(찾을 색), 機(틀 기)
「1」위험하거나 반입이 금지된 물건 따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기계.
「2」컴퓨터 따위에 들어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프로그램.
용례:
- 「1」경찰은 행사장 입구에서 입장객들의 몸을 검색기로 조사했다.
- 「2」검색기를 실행하다.
7. 경기 (輕機) [경기]
한자: 輕(가벼울 경), 機(틀 기)
한 사람이 들고 다닐 수 있을 정도로 비교적 가벼운 기관총.
용례:
누군가가 곧 전 사면을 향해 경기를 휘둘러 총탄을 요란히 퍼부었다.≪홍성원, 육이오≫
8. 경비행기 (輕飛行機) [경비행기]
한자: 輕(가벼울 경), 飛(날 비), 行(다닐 행(:)), 機(틀 기)
단발 또는 쌍발을 가진 프로펠러 비행기. 2~8명이 앉을 수 있으며, 선전ㆍ광고ㆍ보도 취재ㆍ사무 연락용 따위에 쓰인다.
용례:
주민들은 오랫동안 제트기만 보아 오다가 이런 부드러운 경비행기의 소음을 듣고는 무언가 서울 상공에 이변이 일어난 듯한 기분에 사로잡혔다.≪홍성원, 육이오≫
9. 경운기 (耕耘機) [경운기]
한자: 耕(밭갈[犁田] 경), 耘(김맬 운), 機(틀 기)
「1」땅을 갈아엎는 데 쓰는 쟁기, 가래 따위의 농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2」동력을 이용하여, 논밭을 갈아 일구어 흙덩이를 부수는 기계.
용례:
「2」경운기로 밭을 갈다.
10. 경음기 (警音機) [경:음기]
한자: 警(깨우칠 경:), 音(소리 음), 機(틀 기)
자동차 따위에서, 주의 신호로서 소리를 낼 수 있게 만든 장치.
용례:
- 경음기를 울리다.
- 갑자기 차선을 변경하는 차 때문에 도로 여기저기서 경음기 소리가 울렸다.
11. 계기 (契機) [계:기]
한자: 契(맺을 계:), 機(틀 기)
「1」어떤 일이 일어나거나 변화하도록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이나 기회.
「2」사물의 운동ㆍ변화ㆍ발전의 과정을 결정하는 본질적인 요소.
용례:
- 「1」사건의 계기.
- 「1」올림픽을 계기로 하여 사회 체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 「1」이번 일을 계기로 삼아 더욱 열심히 노력하자.
- 「1」때로 인간은 실패를 도약의 계기로 만들어 성장하기도 한다.
- 「1」전쟁은 인간에게 문명 발전의 계기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 「1」달수가 구마모토의 눈에 든 건 극히 우연한 계기 때문이었다.≪최일남, 거룩한 응달≫
12. 계산기 (計算機) [계:산기]
한자: 計(셀 계:), 算(셈 산:), 機(틀 기)
여러 가지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機器). 수판, 계산자, 면적계, 전자계산기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 상업 실무 계산에서는 수판 외에도 여러 가지 계산기가 이용된다.
- 카운터의 아가씨는 익숙한 솜씨로 계산기를 딱딱 치곤 종이 조각을 끄집어내더니 “만 3천 원이에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13. 공군기 (空軍機) [공군기]
한자: 空(빌 공), 軍(군사 군), 機(틀 기)
공군에 소속되어 있는 항공기.
용례:
- 공군기 석 대가 임무를 마치고 무사히 귀환했다.
- 때때로 우리는 아군 공군기와 해군기가 전선에서 네이팜탄과 폭탄으로 적의 진지를 강타하는 장면을 목격할 수 있었다.≪홍성원, 육이오≫
14. 공중전화기 (公衆電話機) [공중전:화기]
한자: 公(공평할 공), 衆(무리 중:), 電(번개 전:), 話(말씀 화), 機(틀 기)
여러 사람들이 돈을 내고 통화를 할 수 있도록 길거리나 일정한 장소에 설치한 전화 기계.
15. 교통신호기 (交通信號機) [교통신:호기]
한자: 交(사귈 교), 通(통할 통), 信(믿을 신:), 號(이름 호(:)), 機(틀 기)
도로 교통에 관하여 문자ㆍ기호ㆍ등화(燈火) 따위로 진행ㆍ정지ㆍ방향 전환ㆍ주의 따위의 신호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한 장치.
용례:
교통 신호기 고장으로 차들이 뒤엉켜 있다.
16. 구매동기 (購買動機) [구매동:기]
한자: 購(살 구), 買(살 매:), 動(움직일 동:), 機(틀 기)
소비자가 어떤 상품을 사게 되는 원인.
용례:
표절은 한국 대중음악에 대한 불신을 조장함으로써 장기적으로는 구매 동기를 저하시킨다.
17. 구조기 (救助機) [구:조기]
한자: 救(구원할 구:), 助(도울 조:), 機(틀 기)
재난 또는 조난을 당한 사람들을 구조하기 위한 비행기.
용례:
구조기를 보내다.
18. 국적기 (國籍機) [국쩍끼]
한자: 國(나라 국), 籍(문서 적), 機(틀 기)
한 나라에 소속되어 있는 비행기.
용례:
우리나라 국적기가 남미에 취항하다.
19. 군기 (軍機) [군기]
한자: 軍(군사 군), 機(틀 기)
군사상의 기밀.
용례:
- 군기를 누설하다.
- 그것은 성호가 군사 정보나 군기에 속하는 지식을 적에게 넘기지 않겠다는 군인으로서 가상할 만한 신념의 소치였다기보다….≪서기원, 전야제≫
- 이순신 장군은 군기를 비밀에 부치려 하여….≪박종화, 임진왜란≫
20. 군용기 (軍用機) [구뇽기]
한자: 軍(군사 군), 用(쓸 용:), 機(틀 기)
군사적 목적에 쓰는 비행기. 전투기, 폭격기, 정찰기, 수송기 따위가 있다.
21. 굴삭기 (掘削機) [굴싹끼]
한자: 掘(팔 굴), 削(깎을 삭), 機(틀 기)
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2. 굴착기 (掘鑿機) [굴착끼]
한자: 掘(팔 굴), 鑿(뚫을 착), 機(틀 기)
「1」땅이나 암석 따위를 파거나, 파낸 것을 처리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토사, 암석 따위를 채굴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1」굴착기로 바위들을 걷어내고 땅을 고르게 정리했다.
23. 권취기 (捲取機) [권:취기]
한자: 捲(거둘/말 권), 取(가질 취:), 機(틀 기)
필름을 감는 기계.
용례:
자동 권취기.
24. 근기 (根機) [근기]
한자: 根(뿌리 근), 機(틀 기)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
용례:
중생들의 기본 자질인 근기에 따라서 성불할 수 있고 없고가 결정된다.
25. 금정기 (金井機) [금정기]
한자: 金(쇠 금), 井(우물 정(:)), 機(틀 기)
무덤을 만들 때에, 구덩이의 길이와 너비를 재기 위하여 쓰는 틀. 나무로 만들며, 모양은 ‘井’ 자이다. 땅바닥에 놓고 그 안으로 땅을 파서 굿을 만든다.
용례:
고고학자들은 고려 시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을 금정기에 맞춰 조심스럽게 파내기 시작하였다.
26. 급수기 (給水機) [급쑤기]
한자: 給(줄 급), 水(물 수), 機(틀 기)
물을 공급하는 기계.
27. 급유기 (給油機) [그뷰기]
한자: 給(줄 급), 油(기름 유), 機(틀 기)
「1」기계나 장치 따위에 기름을 대어 주는 기계.
「2」비행 중인 다른 항공기에 연료를 보급하는 특수한 장치를 한 비행기.
28. 기기 (器機) [기기]
한자: 器(그릇 기), 機(틀 기)
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음향 기기.
- 컴퓨터 기기.
- 여러 종류의 사무 자동화 기기의 등장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훨씬 손쉬워졌다.
29. 기중기 (起重機) [기중기]
한자: 起(일어날 기), 重(무거울 중:), 機(틀 기)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려 아래위나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계.
용례:
- 기중기로 무거운 짐을 들어 옮기다.
- 배 안에서는 거대한 기중기로 밤을 낮 삼아 무수한 물자들이 부두로 인양되고 있다.≪홍성원, 육이오≫
30. 난방기 (暖房機) [난:방기]
한자: 暖(따뜻할 난:), 房(방 방), 機(틀 기)
실내의 온도를 높여 따뜻하게 하는 장치.
용례:
- 난방기 사용법.
- 난방기를 가동하다.
- 난방기를 설치하다.
31. 냉방기 (冷房機) [냉:방기]
한자: 冷(찰 랭:), 房(방 방), 機(틀 기)
실내의 온도를 낮춰 차게 하는 장치.
용례:
- 여름철에는 냉방기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정전 사고가 잦다.
- 아버지가 설치하게 한 냉방기가 잡음 하나 안 내고 찬 공기를 내뿜었다.≪조세희, 기계 도시≫
32. 녹즙기 (綠汁機) [녹쯥끼]
한자: 綠(푸를 록), 汁(즙 즙), 機(틀 기)
모터 따위로 야채를 갈아 즙을 내어 먹을 수 있도록 만든 기구.
33. 누수탐지기 (漏水探知機) [누:수탐지기]
한자: 漏(샐 루(누):), 水(물 수), 探(찾을 탐), 知(알 지), 機(틀 기)
물이 새는 곳을 알아내는 기계. 물이 새어서 생기는 작은 진동을 전기 조작으로 포착하여 소리를 듣는다.
34. 단기 (單機) [단기]
한자: 單(홑 단), 機(틀 기)
「1」‘단일 기계’(가장 간단한 구조의 기계. 나사, 도르래, 지레, 톱니바퀴 따위이다.)를 줄여 이르는 말.
「2」한 대의 비행기.
「3」짐을 두 사람이 메고 다니도록 만든 틀.
용례:
「2」단기 출격(出擊).
35. 단말기 (端末機) [단말기]
한자: 端(끝 단), 末(끝 말), 機(틀 기)
중앙에 있는 컴퓨터와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처리 결과를 출력하는 장치. 금융 기관 업무, 좌석 예약 따위의 특정한 업무에 맞도록 만들어진 전용(專用) 단말기와 일반적인 입출력 업무에 사용하는 범용(汎用) 단말기가 있다.
용례:
- 결제가 완료되었으니 단말기에서 카드를 뽑아 주세요.
- 통신사와 약정을 맺지 않고 직접 휴대 전화 단말기를 구매했다.
36. 대기 (待機) [대:기]
한자: 待(기다릴 대:), 機(틀 기)
「1」때나 기회를 기다림.
「2」공무원의 대명(待命) 처분.
「3」부대가 전투 준비를 마치고 출동 명령을 기다림.
용례:
- 「1」대기 태세.
- 「1」그때에는 위생병이 실내에 자기 약낭을 가지고 대기 중이었으므로 중위의 명령에 따라서 또 한 번 주사를 놓았습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2」대기 발령.
- 「3」대기 병력.
37. 도급기 (稻扱機) [도급끼]
한자: 稻(벼 도), 扱(거둘 급), 機(틀 기)
벼 따위의 곡식 껍질을 제거하는 기계나 기구.
용례:
- 도급기 다섯 대.
- 한 발로 도급기 발판을 짚어 가며, 난장보살이 집어 주는 벼 모개를 훑는다.≪강경애, 인간 문제≫
38. 도정기 (搗精機) [도정기]
한자: 搗(찧을 도), 精(정할 정), 機(틀 기)
벼를 찧어 희고 깨끗하게 만드는 기계.
용례:
양계장에서 병아리가 한 마리만 졸아도 미실이 탓이라고 했다. 방앗간 도정기가 고장이 나도 미실을 트집했다.≪이문구, 장한몽≫
39. 도청기 (盜聽機) [도청기]
한자: 盜(도둑 도(:)), 聽(들을 청), 機(틀 기)
남의 이야기, 회의의 내용, 전화 통화 따위를 몰래 엿듣거나 녹음하는 기계.
용례:
회의 내용을 엿듣기 위해 회의실에 도청기를 장치했다.
40. 동기 (動機) [동:기]
한자: 動(움직일 동:), 機(틀 기)
「1」어떤 일이나 행동을 일으키게 하는 계기.
「2」음악 형식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둘 이상의 음이 모여서 된 것인데, 선율의 기본이 되며 또 일정한 의미를 가진 소절(小節)을 이룬다.
용례:
- 「1」범행의 동기.
- 「1」탈출 동기.
- 「1」작품을 쓰게 된 동기.
- 「1」동기를 유발하다.
- 「1」그 사건은 처음에는 아주 단순한 동기에서 시작되었다.
41. 등사기 (謄寫機) [등사기]
한자: 謄(베낄 등), 寫(베낄 사), 機(틀 기)
간단한 인쇄기의 하나. 같은 글이나 그림을 많이 찍어 낼 때에 등사 원지를 줄판 위에 놓고 필요한 글이나 그림을 철필로 긁거나 그린 다음 이것을 틀에 끼워 그 위를 등사 잉크를 바른 롤러로 밀어서 찍어 낸다.
용례:
- 등사기로 밀다.
- 유인물을 등사기로 긁어서 뿌렸다.
- 형은 하숙집에 등사기를 빌려다 놓은 모양이었다. 그리고 정부가 금기로 지목하는 문구가 삽입된 선언문을 찍어 냈다.≪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42. 만기 (萬機) [만:기]
한자: 萬(일만 만:), 機(틀 기)
「1」정치상의 온갖 중요한 기틀.
「2」임금이 보는 여러 가지 정무.
「3」많은 기밀.
용례:
- 「1」혼란스러운 정국에 백성들은 왕이 만기를 바로 세우기를 원했다.
- 「2」청국 서 태후는 음력으로 명년부터 수렴청정하심을 걷으시고 황제께서 만기를 총찰하신다는 말이 두 번째나 있으므로 정부에서 지금 준비 중이라더라.≪대한매일신보≫
43. 만보기 (萬步機) [만:보기]
한자: 萬(일만 만:), 步(걸음 보:), 機(틀 기)
걸음 수를 측정하는 기계. 걸음을 뗄 때마다 그 횟수를 세어 자동적으로 계기에 나타내 준다.
용례:
건강을 위해 허리에 만보기를 차고 틈만 나면 걷는다.
44. 면직기 (綿織機) [면직끼]
한자: 綿(솜 면), 織(짤 직), 機(틀 기)
무명실 따위로 천을 짜는 기계.
용례:
나라가 근대화되려면 산업이 근대화돼야 한다는 설립자의 뜻에 따라 실습장엔 일본으로부터 들여온 최신의 면직기를 갖추고 있었다.≪박완서, 미망≫
45. 무기 (無機) [무기]
한자: 無(없을 무), 機(틀 기)
「1」생명이나 활력을 지니고 있지 않음. 또는 그런 것.
「2」생명을 지니지 않은 물질을 통틀어 이르는 말. 물, 흙, 공기, 돌, 광물 따위가 있다.
「3」탄소 화합물 이외의 모든 원소 및
무기 화합물을 대상으로 하여 그 구조, 화학적 성질, 화학 반응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 화학의 한 분야이다.
「4」탄소 이외의 원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이온 결합ㆍ금속
결합ㆍ배위 결합의 화합물이 많으며, 탄산이나 이산화 탄소와 같은 간단한 탄소
용례:
「1」이 공들처럼 깔끔하고 무기하게. 무기라는 것과 담백이라는 건 어떻게 다른가.≪최인훈, 회색인≫
46. 무단변속기 (無段變速機) [무단변:속끼]
한자: 無(없을 무), 段(층계 단), 變(변할 변:), 速(빠를 속), 機(틀 기)
단계가 없이 연속적으로 회전 속도를 바꿀 수 있는 변속 장치.
47. 무선송신기 (無線送信機) [무선송:신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送(보낼 송:), 信(믿을 신:), 機(틀 기)
무선으로 전신이나 전화 따위를 보내는 기계. 무선 주파 발진기, 증폭기, 전건(電鍵) 또는 소리에 따른 변조 장치, 안테나 따위로 되어 있다.
48. 무선수신기 (無線受信機) [무선수신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受(받을 수(:)), 信(믿을 신:), 機(틀 기)
무선으로 전신이나 전화 따위를 받는 기계. 전자기파를 잡아 변조된 통신 부호나 음성, 화상(畫像) 따위를 변조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장치이다. 동조, 검출, 증폭의 각 회로 및 전기 음성이나 전기 화상 변환 장치들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