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2

49. 무선전신기 (無線電信機) [무선전:신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電(번개 전:), 信(믿을 신:), 機(틀 기)

무선 전신을 행하는 장치. 전파를 내보내는 부분인 발신(發信) 장치와 전파를 받는 부분인 수신(受信) 장치로 되어 있다.

50. 무선전화기 (無線電話機) [무선전:화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電(번개 전:), 話(말씀 화), 機(틀 기)

전화기 본체와 수화기 사이에 연결된 선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전화기.

용례:

이제는 무선 전화기로 집 안 어디에서나 통화할 수 있다.

51. 무선탐지기 (無線探知機) [무선탐지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探(찾을 탐), 知(알 지), 機(틀 기)

무선 전신 또는 무선 전화에서 수신된 전파의 방향을 측정하여 그 발신지를 알아내는 장치. 보통 지향성이 센 수신 안테나와 고감도의 무선 수신기로 되어 있으며 비행기나 배에 설치하여 자기 자신이나 목표물의 위치를 아는 데에 쓴다.

52. 무선호출기 (無線呼出機) [무선호출기]

한자: 無(없을 무), 線(줄 선), 呼(부를 호), 出(날[生] 출), 機(틀 기)

호출 전용의 소형 휴대용 수신기. 수신기에 가입자 번호를 부여하여 그 번호를 누르거나 돌리면 부호화되어 신호 전파가 기지국을 통하여 발사되어 수신음을 내거나 숫자를 표시한다.

53. 무인기 (無人機) [무인기]

한자: 無(없을 무), 人(사람 인), 機(틀 기)

레이다 따위의 전자 공학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종이 되거나 원격 조종이 되는 항공기. 주로 정찰, 관측, 경비 업무를 수행하는 데 쓴다.

54. 무인비행기 (無人飛行機) [무인비행기]

한자: 無(없을 무), 人(사람 인), 飛(날 비), 行(다닐 행(:)), 機(틀 기)

레이다 따위의 전자 공학적 장치에 의하여 자동 조종이 되거나 원격 조종이 되는 항공기. 주로 정찰, 관측, 경비 업무를 수행하는 데 쓴다.

55. 무인정찰기 (無人偵察機) [무인정찰기]

한자: 無(없을 무), 人(사람 인), 偵(염탐할 정), 察(살필 찰), 機(틀 기)

조종사가 타지 않고 주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원격 조종으로 유도되는 정찰기.

56. 무전기 (無電機) [무전기]

한자: 無(없을 무), 電(번개 전:), 機(틀 기)

무선 전신이나 무선 전화를 하는 데 쓰는 기계.

용례:

  • 무전기 주파수를 맞추다.
  • 무전기를 두들기다.
  • 무전기는 열어 놓게. 사태가 어떻게 변할지 모르니까 자네는 줄곧 무전기 옆에 붙어 있도록.≪홍성원, 육이오≫
  • 강 대위는 비장한 표정으로 땅바닥에 지도를 펴 놓고 무전기로 작전 지시를 내렸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57. 문서편집기 (文書編輯機) [문서편집끼]

한자: 文(글월 문), 書(글 서), 編(엮을 편), 輯(모을 집), 機(틀 기)

각종 프로그래밍 언어의 원시 프로그램이나 보고서 따위의 문안을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컴퓨터 프로그램. 입력된 문장을 추가ㆍ수정ㆍ삭제ㆍ저장하거나 특정 단어를 검색 및 치환할 수 있다.

58. 물실호기 (勿失好機) [물씰호기]

한자: 勿(말[禁] 물), 失(잃을 실), 好(좋을 호:), 機(틀 기)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아니함.

용례:

목첩에 박두한 민정 복귀의 선거 붐을 타고 물실호기라 하여 뛰어든 영락한 구일(舊日)의 정상(政商)들과 패기만만한 신인들까지 뒤섞여 일으키는 이 선풍은….≪조지훈, 돌의 미학≫

59. 민간기 (民間機) [민간기]

한자: 民(백성 민), 間(사이 간(:)), 機(틀 기)

정부나 군이 아닌 일반인이 소유한 항공기.

60. 밀봉기 (密封機) [밀봉기]

한자: 密(빽빽할 밀), 封(봉할 봉), 機(틀 기)

통이나 병 따위를 밀봉하는 기계.

61. 박피기 (剝皮機) [박피기]

한자: 剝(벗길 박), 皮(가죽 피), 機(틀 기)

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기계.

62. 발동기 (發動機) [발똥기]

한자: 發(필 발), 動(움직일 동:), 機(틀 기)

동력을 일으키는 기계.

용례:

  • 요란한 소리를 내며 돌아가던 발동기가 멈추자 갑자기 조용해졌다.
  • 요 아래 산 중턱에서 발동기는 채신이 없이 풍, 풍, 풍, 연이어 소리를 낸다.≪김유정, 금≫

63. 발매기 (發賣機) [발매기]

한자: 發(필 발), 賣(팔 매(:)), 機(틀 기)

지정된 돈을 넣으면 승차권, 입장권, 관람권 따위를 자동으로 발행하는 기계.

64. 발신기 (發信機) [발씬기]

한자: 發(필 발), 信(믿을 신:), 機(틀 기)

「1」신호를 보내는 기계 장치.
「2」무선 방송에서, 신호를 고주파의 전류로 바꾸어 송신 안테나에서 보내는 장치.

용례:

  • 「1」병원에서는 초음파 발신기를 이용하여 병을 검사하기도 한다.
  • 「1」전보 기사가 부리나케 발신기를 두들기며 긴급 상황을 알렸다.
  • 「2」현대에는 발신기의 성능이 좋아서 아주 멀리까지도 방송 전파를 보낼 수가 있다.

65. 발전기 (發電機) [발쩐기]

한자: 發(필 발), 電(번개 전:), 機(틀 기)

도체(導體)가 자기장에서 운동할 때 전기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역학적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수력 터빈ㆍ증기 터빈ㆍ디젤 기관 따위의 원동기의 회전 에너지를 받아 전력을 만드는 기계로, 직류 발전기와 교류 발전기가 있다.

66. 방송수신기 (放送受信機) [방:송수신기]

한자: 放(놓을 방(:)), 送(보낼 송:), 受(받을 수(:)), 信(믿을 신:), 機(틀 기)

라디오나 텔레비전 따위의 수신기.

67. 방향탐지기 (方向探知機) [방향탐지기]

한자: 方(모[棱] 방), 向(향할 향:), 探(찾을 탐), 知(알 지), 機(틀 기)

무선 전신 또는 무선 전화에서 수신된 전파의 방향을 측정하여 그 발신지를 알아내는 장치. 보통 지향성이 센 수신 안테나와 고감도의 무선 수신기로 되어 있으며 비행기나 배에 설치하여 자기 자신이나 목표물의 위치를 아는 데에 쓴다.

68. 번역기 (飜譯機) [버녁끼]

한자: 飜(번역할 번), 譯(번역할 역), 機(틀 기)

컴퓨터가 주체가 되어 번역을 하는 기계.

69. 변속기 (變速機) [변:속끼]

한자: 變(변할 변:), 速(빠를 속), 機(틀 기)

자동차 따위의 원동기에서 회전 속도나 회전력을 바꾸는 장치.

70. 복합기 (複合機) [보캅끼]

한자: 複(겹칠 복), 合(합할 합), 機(틀 기)

인쇄, 복사, 전송 따위의 기능을 두루 갖춘 기계.

용례:

인쇄기와 복사기를 없애고 복합기를 들여놓았더니 사무실 공간이 훨씬 넓어졌다.

71. 분리기 (分離機) [불리기]

한자: 分(나눌 분(:)), 離(떠날 리:), 機(틀 기)

광물의 성질에 따라 방사능이나 자기력 또는 비중 따위로 광석을 분류하는 기계.

72. 분말기 (粉末機) [분말기]

한자: 粉(가루 분(:)), 末(끝 말), 機(틀 기)

알곡 따위를 빻아 가루로 만드는 기계.

용례:

볶은 씨앗을 분말기에 넣고 곱게 갈았다.

73. 분사기 (噴射機) [분:사기]

한자: 噴(뿜을 분), 射(쏠 사(:)), 機(틀 기)

압축 공기에 모래와 강철의 가루를 섞어 세게 내뿜는 기계. 주물(鑄物)의 표면을 청소하거나, 철강 따위의 녹과 페인트를 떼어 없애거나, 금속이나 유리 제품 또는 도자기 따위의 광택을 없애는 데 쓴다.

74. 분쇄기 (粉碎機) [분쇄기]

한자: 粉(가루 분(:)), 碎(부술 쇄:), 機(틀 기)

고체를 부스러뜨리는 기계.

75. 비상대기 (非常待機) [비:상대:기]

한자: 非(아닐 비(:)), 常(떳떳할 상), 待(기다릴 대:), 機(틀 기)

비상사태에 즉각 출동할 수 있도록 준비를 갖추고 대기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용례:

비상 대기 차량.

76. 비행기 (飛行機) [비행기]

한자: 飛(날 비), 行(다닐 행(:)), 機(틀 기)

동력으로 프로펠러를 돌리거나 연소 가스를 내뿜는 힘에 의하여 생기는 양력(揚力)을 이용하여 공중으로 떠서 날아다니는 항공기. 1903년에 미국의 라이트 형제가 육상 비행을 한 것이 동력 비행의 맨 처음이며, 추진의 종류에 따라 프로펠러식과 분사식으로 나눈다.

용례:

  • 하늘을 날아오르는 비행기.
  • 비행기를 타다.
  • 비행기가 이륙하다.
  • 대낮이었는데 비행기 소리가 요란해 하늘을 쳐다보니 까마득한 구름 점 위에 비행기 두 대가 샛별처럼 반짝거리고 있었다.≪이문구, 장한몽≫

77. 사고기 (事故機) [사:고기]

한자: 事(일 사:), 故(연고 고(:)), 機(틀 기)

사고가 난 비행기.

용례:

사고기는 강풍 속에서 무리한 착륙을 시도하다가 큰 사고가 난 것이라고 한다.

78. 사진기 (寫眞機) [사진기]

한자: 寫(베낄 사), 眞(참 진), 機(틀 기)

사진을 찍는 기계. 광선이 새어 들어오지 못하도록 만든 상자의 앞쪽에 장치한 렌즈로부터 순간적으로 광선이 들어오게 하여 그 뒤에 있는 감광판(感光板)에 영상(映像)이 비치게 한다. 광선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일정한 시간을 노출하기 위한 셔터, 색채감을 조정하는 필터(filter), 찍는 물체의 위치를 정하는 파인더(finder) 따위의 장치가 있다.

79. 사출기 (射出機) [사출기]

한자: 射(쏠 사(:)), 出(날[生] 출), 機(틀 기)

「1」실린더 속에서 가열하여 녹인 플라스틱 재료를 노즐을 통하여 폐쇄된 거푸집 속에 밀어 넣고, 냉각하여 고체의 물건을 만드는 기계.
「2」항공 모함 따위의 좁은 공간에서 항공기를 이륙하도록 하는 장치. 압축 공기나 증기의 힘으로 고속 이동하는 실린더 내의 피스톤 장치를 항공기에 연결하여서 발진한다.

80. 살분기 (撒粉機) [살분기]

한자: 撒(뿌릴 살), 粉(가루 분(:)), 機(틀 기)

가루를 흩뿌리는 기구.

용례:

동네 초상에 문상 다녀올 새도 없이 누가 지나갈 적마다 밀가루를 담은 살분기를 지고 나가서 멀쩡한 논배미를 짓밟고 다니는 눈비음 울력이 성가시긴 하나….≪이문구, 산 너머 남촌≫

81. 살포기 (撒布機) [살포기]

한자: 撒(뿌릴 살), 布(베/펼 포(:)), 機(틀 기)

가루나 액체 따위를 흩어 뿌리는 데 쓰는 기구.

용례:

마을 사람들은 살포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치고 있다.

82. 선기 (鏇機) [선기]

한자: 機(틀 기)

「1」재료를 위에 얹어 돌리면서 칼을 대어, 여러 가지 물건을 갈아 만드는 틀.
「2」진흙을 돌려 도자기를 만드는 틀.

83. 선풍기 (扇風機) [선풍기]

한자: 扇(부채 선), 風(바람 풍), 機(틀 기)

회전축에 붙은 날개를 전동기로 돌려 바람을 일으키는 장치.

84. 성취동기 (成就動機) [성취동:기]

한자: 成(이룰 성), 就(나아갈 취:), 動(움직일 동:), 機(틀 기)

어떤 일을 이루겠다는 내적 의욕.

용례:

  • 성취동기가 높다.
  • 내가 보기에 자네에겐 남다른 성취동기랄까 그런 강렬한 힘이 작용하는 거 같았어.≪이원규, 훈장과 굴레≫

85. 세탁기 (洗濯機) [세:탁끼]

한자: 洗(씻을 세:), 濯(씻을 탁), 機(틀 기)

빨래하는 기계.

용례:

  • 빨랫감을 세탁기에 넣고 돌리다.
  • 세탁기가 있어서 빨래하기가 쉽다.

86. 송수신기 (送受信機) [송:수신기]

한자: 送(보낼 송:), 受(받을 수(:)), 信(믿을 신:), 機(틀 기)

「1」송신과 수신의 기능을 함께 가진 기기.
「2」송신기와 수신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중대장이 송수신기를 들더니 되풀이해서 말했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 「1」그가 가진 초단파 송수신기에서는 대사관의 통제부와 현장과의 무선 대화가 숨 가쁘게 흘러나왔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87. 송신기 (送信機) [송:신기]

한자: 送(보낼 송:), 信(믿을 신:), 機(틀 기)

무선 방송에서, 신호를 고주파의 전류로 바꾸어 송신 안테나에서 보내는 장치.

용례:

  • 송신기는 한 대.
  • 송신기를 설치하다.

88. 송풍기 (送風機) [송:풍기]

한자: 送(보낼 송:), 風(바람 풍), 機(틀 기)

바람을 일으켜 보내는 기계. 갱(坑)이나 실내의 환기, 용광로와 같은 화로의 통풍을 위하여 쓰며 압력식, 회전식, 원심식 따위가 있다.

89. 수상기 (水上機) [수상기]

한자: 水(물 수), 上(윗 상:), 機(틀 기)

물 위를 활주하여 뜨고 내리는 비행기.

90. 수상기 (受像機) [수상기]

한자: 受(받을 수(:)), 像(모양 상), 機(틀 기)

방송된 영상 전파를 받아서 화상으로 변화시키는 장치.

용례:

텔레비전 수상기.

91. 수송기 (輸送機) [수송기]

한자: 輸(보낼 수), 送(보낼 송:), 機(틀 기)

사람이나 화물 따위를 실어 나르는 데 쓰는 비행기. 크게 군용과 민간용으로 나누며, 여객기ㆍ화물 수송기ㆍ우편 수송기 따위가 있다.

용례:

각국 정부는 전쟁이 일어나자 자국민을 이송하기 위해서 수송기를 급파했다.

92. 수신기 (受信機) [수신기]

한자: 受(받을 수(:)), 信(믿을 신:), 機(틀 기)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 필요한 정보를 얻는 장치.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기를 이르며, 텔레비전 수상기ㆍ팩시밀리 따위가 있다.

용례:

  • 위성 방송 수신기.
  • 에프엠 수신기.

93. 수압기 (水壓機) [수압끼]

한자: 水(물 수), 壓(누를 압), 機(틀 기)

물의 압력을 이용하여 작은 힘을 큰 힘으로 바꾸어 프레스, 절단, 압착 따위의 공작을 하는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94. 승강기 (昇降機) [승강기]

한자: 昇(오를 승), 降(내릴 강:), 機(틀 기)

동력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화물을 아래위로 나르는 장치.

용례:

  • 승강기를 설치하다.
  • 승강기를 타다.
  • 아파트 승강기가 고장 나서 9층까지 걸어 올라갔다.
  • 그녀는 운동 삼아 승강기를 타지 않고 계단으로 오르내린다.

95. 승기 (勝機) [승기]

한자: 勝(이길 승), 機(틀 기)

이길 수 있는 기회.

용례:

  • 승기를 타다.
  • 승기를 놓치다.
  • 상대편 선수가 방심한 틈을 타서 결정적인 승기를 잡았다.

96. 시기 (時機) [시기]

한자: 時(때 시), 機(틀 기)

「1」적당한 때나 기회.
「2」정법(正法), 상법(像法), 말법(末法) 따위의 시(時)와 각 시에 따른 자질(資質)의 중생.

용례:

  • 「1」시기가 나쁘다.
  • 「1」시기가 좋다.
  • 「1」시기를 놓치다.
  • 「1」지금은 그런 말을 할 시기가 아니다.
  • 「1」씨 뿌릴 시기를 놓치면 한 해 농사를 다 망친다.
  • 「1」오늘 밤에 경주로 철병을 했다가 날이 풀리거든 다시 시기를 가려서 적을 소탕하는 것이 상책이라 생각하오.≪박종화, 임진왜란≫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機 틀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機 틀 기 - 3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