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근 (強近) [강근]
한자: 強(강할 강(:)), 近(가까울 근:)
‘강근하다’
(친척과의 촌수가 가깝다.)의 어근.
2. 격근 (隔近) [격끈]
한자: 隔(사이뜰 격), 近(가까울 근:)
「1」사이가 가까움.
「2」정해진 날이 가까워 옴.
3. 근근 (近近) [근:근]
한자: 近(가까울 근:), 近(가까울 근:)
머지않아. 또는 가까운 장래에.
용례:
근근 무슨 소식이 오겠지.
4. 기근 (畿近) [기근]
한자: 畿(경기(京畿) 기), 近(가까울 근:)
「1」경기도 부근.
「2」서울에서 가까운 곳.
5. 내근 (內近) [내:근]
한자: 內(안 내:), 近(가까울 근:)
‘내근하다’
(부녀자가 거처하는 곳과 가깝다.)의 어근.
6. 달장근 (달將近) [달짱근]
한자: 將(장수 장(:)), 近(가까울 근:)
지나간 날짜가 거의 한 달이 가까이 됨. 또는 그런 기간.
용례:
숙이가 여자 양말 하나 사다 달라고 부탁하고 내가 “그래.”라고 승낙한 지가 달장근이 되련만 그것도 못하는 걸 생각하니 내 자신이 불쌍도 하였다.≪김유정, 옥토끼≫
7. 대접근 (大接近) [대:접끈]
한자: 大(큰 대(:)), 接(이을 접), 近(가까울 근:)
화성이 지구에 가장 가까이 접근하는 일. 15~17년을 주기로 되풀이된다.
8. 만근 (輓近) [만근]
한자: 輓(끌/애도할 만:), 近(가까울 근:)
몇 해 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
9. 박근 (迫近) [박끈]
한자: 迫(핍박할 박), 近(가까울 근:)
「1」어떤 때가 바싹 다가와 가까움.
「2」무엇이 가까이 닥침.
10. 부근 (附近) [부:근]
한자: 附(붙을 부(:)), 近(가까울 근:)
어떤 곳을 중심으로 하여 가까운 곳.
용례:
- 동창과 학교 부근에 있는 찻집에서 만났다.
- 경부 고속 도로 천안 부근에서 큰 사고가 났다.
- 그 무렵 황제는 부근의 장터거리를 돌며 술판을 벌이고 있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 왜병들이 흘린 피가 시내를 흐르고 바다를 이루어서 부근 일대의 바위가 모두 피로 물이 들어 버렸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미스 전이 손끝으로 양쪽 눈초리 부근을 살살 문지르고 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11. 불가근 (不可近) [불가근]
한자: 不(아닐 불), 可(옳을 가:), 近(가까울 근:)
가까이하기 어려움.
용례:
그런 사람은 아예 불가근이야.
12. 불근 (不近) [불근]
한자: 不(아닐 불), 近(가까울 근:)
‘불근하다’
(가깝지 아니하다.)의 어근.
13. 비근 (卑近) [비:근]
한자: 卑(낮을 비:), 近(가까울 근:)
‘비근하다’
(흔히 주위에서 보고 들을 수 있을 만큼 알기 쉽고 실생활에 가깝다.)의 어근.
14. 사근 (四近) [사:근]
한자: 四(넉 사:), 近(가까울 근:)
「1」사방의 가까운 곳.
「2」임금을 가까이 모시는 네 신하나 시신(侍臣).
15. 압근 (狎近) [압끈]
한자: 狎(친압할 압), 近(가까울 근:)
버릇없이 어른에게 바싹 다가붙음.
16. 원근 (遠近) [원:근]
한자: 遠(멀 원:), 近(가까울 근:)
「1」멀고 가까움.
「2」먼 곳과 가까운 곳. 또는 그곳의 사람.
용례:
- 「1」원근의 구도.
- 「1」한강이 흐르고 동양화적인 원근으로 산들이 솟아 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1」그네의 시야에서 사물이 원근을 잃고 범벅이 되었다.≪황순원, 움직이는 성≫
- 「2」원근 산악.
- 「2」원근 각처.
- 「2」많은 사람이 그를 만나기 위해서 원근에서 달려왔다.
- 「2」두어 장단에 한 번씩 삼천리 방방곡곡을 돌다 돌다 갈 데가 없어진 필름이 들어오면 원근의 사람들이 이리로 모여들 것이다.≪서정인, 강≫
17. 인근 (鄰近) [인근]
한자: 鄰(이웃 린), 近(가까울 근:)
이웃한 가까운 곳.
용례:
- 인근 도로.
- 인근에 소문이 자자하다.
- 그의 집안은 그 당시 인근을 통틀어서 제일가는 부자였고, 준환이네 아버지는 그 집에서 머슴살이를 하고 있었다.≪윤흥길, 완장≫
- 남부군은 구룡 폭포 인근의 가파른 지대에 몇 개의 호를 파고 잠복했다.≪이병주, 지리산≫
18. 장근 (將近) [장근]
한자: 將(장수 장(:)), 近(가까울 근:)
‘거의’(어느 한도에 매우 가까운 정도로.)의 뜻을 나타내는 말.
용례:
- 현보가 술 먹어 본 지가 한 달……아니 허 좌상네 제사 때 먹은 것이 마지막이었으니, 장근 두 달이나 되었다.≪정비석, 성황당≫
- 우길이가 장근 두세 시간을 가도 정신을 차리지 못하는 것을 보자….≪한설야, 탑≫
19. 절근 (切近) [절근]
한자: 切(끊을 절), 近(가까울 근:)
‘절근하다’
(매우 가깝다.)의 어근.
20. 점근 (漸近) [점:근]
한자: 漸(점점 점:), 近(가까울 근:)
점점 가까워짐.
21. 접근 (接近) [접끈]
한자: 接(이을 접), 近(가까울 근:)
「1」가까이 다가감.
「2」친밀하고 밀접한 관계를 가짐.
「3」기억 장치에 데이터를 쓰거나 기억 장치에 들어 있는 데이터를 탐색하고 읽는 과정.
용례:
- 「1」접근 금지.
- 「1」농촌 문제에 대한 이론적 접근.
- 「1」접근을 막다.
- 「1」자유의 다리는 임진강 철교에 이어져 있었다. 그쪽으로는 일반인의 접근을 금하고 있어서 자세히 볼 수가 없어 안타까웠으나….≪하근찬, 임진강 오리 떼≫
- 「2」나는 그에게 접근을 시도했다.
- 「2」위엄이라는 것보다 정님의 접근을 피하기 위해서의 사무적인 냉정한 목소리로 불렀다.≪한설야, 황혼≫
22. 정근 (情近) [정근]
한자: 情(뜻 정), 近(가까울 근:)
‘정근하다’
(정분이 매우 가깝다.)의 어근.
23. 지근 (至近) [지근]
한자: 至(이를 지), 近(가까울 근:)
‘지근하다’
(거리나 정의(情誼) 따위가 더할 수 없이 가깝다.)의 어근.
24. 착근 (着近) [착끈]
한자: 着(붙을 착), 近(가까울 근:)
친근하게 착 달라붙음.
25. 천근 (淺近) [천:근]
한자: 淺(얕을 천:), 近(가까울 근:)
‘천근하다’
(지식이나 생각 따위가 깊지 아니하고 얕다.)의 어근.
26. 최근 (最近) [최:근]
한자: 最(가장 최:), 近(가까울 근:)
「1」얼마 되지 않은 지나간 날부터 현재 또는 바로 직전까지의 기간.
「2」거리 따위가 가장 가까움.
용례:
- 「1」최근 경제 동향.
- 「1」최근 유행곡.
- 「1」최근에 우리 사회에는 범죄가 부쩍 늘고 있다.
- 「1」최근 들어 환경 운동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어나고 있다.
- 「1」이곳은 최근에 새로 시(市)로 편입되었지만 농촌이나 다름이 없다.
- 「1」지훈은 최근까지만 해도 내가 가장 관심을 가지고 글을 읽어 온 신인 비평가였다.≪이청준, 조율사≫
- 「1」대웅전 건물은…최근에 단청을 새로 한 듯 어스름 속에서도 산뜻한 인상이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 「1」그녀가 현이 의과 대학생이라는 걸 안 건 최근의 일이다. ≪박완서, 오만과 몽상≫
- 「2」최근 거리.
- 「2」신 중위는 가래를 닦아 주고 곧 다섯 번째의 최근 환자에게 다가갔다. ≪홍성원, 육이오≫
27. 측근 (側近) [측끈]
한자: 側(곁 측), 近(가까울 근:)
「1」곁의 가까운 곳.
「2」곁에서 가까이 모시는 사람.
용례:
- 「1」측근에 있는 사람.
- 「1」측근에다 두고 있으면서 오늘날까지 상궁 장 씨의 그런 일면을 깨닫지 못했던 자신이 아둔했다고 생각했다.≪유주현, 대한 제국≫
- 「2」왕의 측근.
28. 친근 (親近) [친근]
한자: 親(친할 친), 近(가까울 근:)
‘친근하다’
(「1」사귀어 지내는 사이가 아주 가깝다.
「2」친하여 익숙하고 허물없다.)의 어근.
29. 편근 (便近) [편근]
한자: 便(편할 편(:)), 近(가까울 근:)
‘편근하다’
(가깝고 편리하다.)의 어근.
30. 핍근 (逼近) [핍끈]
한자: 逼(핍박할 핍), 近(가까울 근:)
매우 가까이 닥침.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