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1

1. 가기 (嫁期) [가기]

한자: 嫁(시집갈 가), 期(기약할 기)

시집갈 만한 나이.

용례:

  • 가기를 놓친 자식을 둔 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 배필을 자꾸 고르기만 하다가는 가기를 놓치기 십상이다.

2. 갈수기 (渴水期) [갈쑤기]

한자: 渴(목마를 갈), 水(물 수), 期(기약할 기)

한 해 동안에 강물이 가장 적은 시기. 우리나라에서는 겨울철과 봄철이 이에 해당한다.

용례:

겨울 갈수기를 거치는 동안에 저수지의 수위가 눈에 띄게 낮아진 건 사실이었다.≪윤흥길, 완장≫

3. 강우기 (降雨期) [강:우기]

한자: 降(내릴 강:), 雨(비 우:), 期(기약할 기)

비가 많이 내리는 시기.

용례:

우리나라는 7월부터 강우기에 접어든다.

4. 강점기 (強占期) [강:점기]

한자: 強(강할 강(:)), 占(점령할 점:/점칠 점), 期(기약할 기)

남의 물건, 영토, 권리 따위를 강제로 차지한 시기.

용례:

강점기 동안 행해진 수많은 자원 수탈.

5. 개척기 (開拓期) [개척끼]

한자: 開(열 개), 拓(넓힐 척), 期(기약할 기)

「1」거친 땅을 일구어 논이나 밭과 같이 쓸모 있는 땅으로 만들기까지의 기간.
「2」새로운 영역, 운명, 진로 따위를 처음으로 열어 나가는 시기.

용례:

  • 「1」미국의 서부 개척기.
  • 「2」정보 혁명의 개척기.

6. 개화기 (開化期) [개화기]

한자: 開(열 개), 化(될 화(:)), 期(기약할 기)

1876년의 강화도 조약 이후부터, 우리나라가 서양 문물의 영향을 받아 종래의 봉건적인 사회 질서를 타파하고 근대적 사회로 개혁되어 가던 시기.

용례:

신여성이란 말은 개화기 때부터 생긴 말이지만 엄마에겐 그때까지도 해득되지 못한, 그러나 매혹적인 그 무엇이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7. 개화기 (開花期) [개화기]

한자: 開(열 개), 花(꽃 화), 期(기약할 기)

「1」풀이나 나무의 꽃이 피는 때.
「2」문화나 예술 따위가 한창 번영하는 시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개화기가 되다.
  • 「1」개화기에 비가 내리면 수확이 줄어든다.
  • 「1」그 약초는 개화기를 중심으로 한 달 사이에 캐어야 약효가 있다.
  • 「2」민족 문화의 찬란한 개화기를 맞이하다.

8. 갱년기 (更年期) [갱:년기]

한자: 更(다시 갱:), 年(해 년), 期(기약할 기)

인체가 성숙기에서 노년기로 접어드는 시기. 대개 마흔 살에서 쉰 살 사이에 신체 기능이 저하되는데, 여성의 경우 생식 기능이 없어지고 월경이 정지되며, 남성의 경우 성기능이 감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용례:

  • 갱년기 여성.
  • 요즘 어머니께서 갱년기 증상이 부쩍 심하시다.

9. 건기 (乾期) [건기]

한자: 乾(하늘/마를 건), 期(기약할 기)

기후가 건조한 시기.

용례:

  • 다섯 달 동안이나 건기가 계속되자, 온 나라가 가뭄에 허덕이고 있었다.
  • 하늘 속으로 겨우 윤곽을 알아볼 수 있게 해가 보였다. 건기에 어떻게 그런 강렬한 빛을 쏟아 내릴 수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어둡고 칙칙해 보이는 해였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10. 건조기 (乾燥期) [건조기]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期(기약할 기)

기후가 건조한 시기.

용례:

겨울철 건조기에는 특히 화재 사고를 조심해야 한다.

11. 격변기 (激變期) [격뼌기]

한자: 激(격할 격), 變(변할 변:), 期(기약할 기)

상황 따위가 갑자기 심하게 변하는 시기.

용례:

사회적 격변기나 혼란기에는 가치관의 혼란이 생기기도 한다.

12. 결실기 (結實期) [결씰기]

한자: 結(맺을 결), 實(열매 실), 期(기약할 기)

「1」식물이 열매를 맺는 시기.
「2」비교적 길게 지속된 계획이나 일의 결과가 드러나는 시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이번 태풍으로 결실기의 과수들이 큰 피해를 보았다.
  • 「2」지금은 그동안 계속된 개혁의 결실기이다.

13. 계몽기 (啓蒙期) [계:몽기]

한자: 啓(열 계:), 蒙(어두울 몽), 期(기약할 기)

계몽 운동이 전개되는 역사적 시기.

용례:

프랑스 계몽기의 철학자.

14. 계절학기 (季節學期) [계:절학끼]

한자: 季(계절 계:), 節(마디 절), 學(배울 학), 期(기약할 기)

대학교에서, 방학 중에 강좌를 개설하여 수업을 하는 기간. 또는 그 기간에 하는 수업.

용례:

  • 계절 학기를 신청하다.
  • 조기 졸업을 목적으로 계절 학기를 이수하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15. 고조기 (高潮期) [고조기]

한자: 高(높을 고), 潮(밀물/조수 조), 期(기약할 기)

「1」어떤 일이나 현상. 또는 기세가 고조되는 시기.
「2」밀물이 일어나는 시기.

용례:

  • 「1」고조기에 이르다.
  • 「1」신문화 운동이 고조기를 맞다.
  • 「1」1963년 미소 핵 실험 금지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의 시기는 미소 대결이 정점을 이루었던 냉전의 고조기였다.

16. 공기 (工期) [공기]

한자: 工(장인 공), 期(기약할 기)

공사하는 기간.

용례:

  • 공기를 단축하다.
  • 공기를 연장하다.
  • 여러분의 요망대로 교실 열 개와 사무실 하나의 규모로 결정했습니다. 공기는 두 달입니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17. 공백기 (空白期) [공백끼]

한자: 空(빌 공), 白(흰 백), 期(기약할 기)

특정한 활동이나 업적 따위가 없이 그냥 지내는 기간.

용례:

  • 공백기를 가지다.
  • 며칠간의 행정의 공백기를 장악했던 자위대는 인민 위원회로 변신을 하고 각 기관을 접수하기 시작했다.≪박완서, 미망≫

18. 공전주기 (公轉週期) [공전주기]

한자: 公(공평할 공), 轉(구를 전:), 週(주일 주), 期(기약할 기)

한 천체(天體)가 다른 천체의 둘레를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

19. 공황기 (恐慌期) [공:황기]

한자: 恐(두려울 공(:)), 慌(어리둥절할 황), 期(기약할 기)

경제 공황 상태에 있는 시기.

용례:

전후 세대 청소년들은 공황기에 성장한 부모 세대와 이질적 문화권을 형성했다.

20. 과도기 (過渡期) [과:도기]

한자: 過(지날 과:), 渡(건널 도), 期(기약할 기)

한 상태에서 다른 새로운 상태로 옮아가거나 바뀌어 가는 도중의 시기. 흔히 사회적인 질서, 제도, 사상 따위가 아직 확립되지 않은 불안정한 시기를 이른다.

용례:

  • 전후의 과도기.
  • 과도기를 거치다.

21. 교체기 (交替期) [교체기]

한자: 交(사귈 교), 替(바꿀 체), 期(기약할 기)

교체되는 시기.

용례:

정권 교체기.

22. 국회회기 (國會會期) [구쾨회:기]

한자: 國(나라 국), 會(모일 회:), 會(모일 회:), 期(기약할 기)

국회를 개회하여 폐회할 때까지의 기간. 정기 국회에서는 100일을, 임시 국회에서는 30일을 초과할 수 없다.

23. 권태기 (倦怠期) [권:태기]

한자: 倦(게으를 권:), 怠(게으를 태), 期(기약할 기)

부부가 결혼한 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 권태를 느끼는 시기.

용례:

결혼한 지 삼 년째나 돼서 그 소위 권태기에 들어간 지도 오랜데….≪염상섭, 법 없어도 사는 사람≫

24. 극성기 (極盛期) [극썽기]

한자: 極(다할/극진할 극),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몹시 왕성한 시기.

용례:

  • 문화의 극성기.
  • 문벌 귀족 체제의 극성기.
  • 극성기를 맞다.

25. 금납기 (金納期) [금납끼]

한자: 金(쇠 금), 納(들일 납), 期(기약할 기)

돈을 납부하는 기간.

용례:

금납기를 놓쳐 연체료를 냈다.

26. 금어기 (禁漁期) [그:머기]

한자: 禁(금할 금:),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어류 따위의 번식과 보호를 위하여 고기잡이를 하지 못하도록 하는 일정한 기간. 보통 산란기를 그 기간으로 정한다.

용례:

  • 주요 어종의 금어기가 해제되자 어촌 마을에 활기가 돈다.
  • 여름철 산란기를 맞는 대게가 6월부터 금어기에 들어갈 예정이다.

27. 급전기 (急轉期) [급쩐기]

한자: 急(급할 급), 轉(구를 전:), 期(기약할 기)

사정이나 형세가 갑자기 바뀌는 시기.

용례:

역사의 급전기.

28. 난숙기 (爛熟期) [난:숙끼]

한자: 爛(빛날 란:), 熟(익을 숙), 期(기약할 기)

「1」열매 따위가 무르익는 때.
「2」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더할 수 없이 충분히 발달하거나 성숙된 시기.

용례:

  • 「1」가을이 되면 많은 과일이 난숙기에 접어든다.
  • 「2」난숙기에 도달한 불교 문화.
  • 「2」지금은 바야흐로 문화의 난숙기를 맞이하고 있다.

29. 납기 (納期) [납끼]

한자: 納(들일 납), 期(기약할 기)

세금이나 공과금 따위를 내는 시기나 기한.

용례:

  • 납기를 놓치다.
  • 납기 안에 요금을 내지 않으면 가산금이 붙는다.

30. 내유기 (來遊期) [내:유기]

한자: 來(올 래(:)), 遊(놀 유), 期(기약할 기)

어군이 알을 슬거나 먹을 것을 찾아 연안으로 몰려오는 시기.

용례:

연어의 내유기.

31. 냉각기 (冷却期) [냉:각끼]

한자: 冷(찰 랭:), 却(물리칠 각), 期(기약할 기)

「1」감정의 대립을 멈추고 사태를 진정하기 위한 기간.
「2」노동 쟁의나 정치적 분쟁 따위를 평화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두는 유예 기간. 노동 쟁의의 경우 이 기간 동안에는 쟁의 행위를 유보하여야 한다.

32. 노년기 (老年期) [노:년기]

한자: 老(늙을 로:), 年(해 년), 期(기약할 기)

「1」늙은이가 되어 지내는 시기. 생리적인 모든 기능이 감쇠되고, 개성이 극히 주관화되어, 불만ㆍ불안ㆍ저항 따위의 경향이 현저해진다. 초로기와 노쇠기의 두 시기로 구분된다.
「2」침식 윤회의 말기. 경사가 완만하고 평평한 구릉과 평원이 이루어진다.

용례:

  • 「1」노년기에 들다.
  • 「1」치매나 중풍은 노년기에 나타나는 질병이다.

33. 노쇠기 (老衰期) [노:쇠기]

한자: 老(늙을 로:), 衰(쇠할 쇠), 期(기약할 기)

「1」늙어서 기운이 쇠잔해지는 시기. 보통 노년기 이후의 65세에서 75세의 시기를 이른다.
「2」너무 낡고 오래되어 사물이 쇠약해지는 시기.

34. 농궁기 (農窮期) [농궁기]

한자: 農(농사 농), 窮(다할/궁할 궁), 期(기약할 기)

보릿고개 따위와 같이 농촌이 경제적으로 가장 빈곤한 시기.

용례:

  • 농궁기에 접어들다.
  • 예전에 농민들은 농궁기가 되면 산으로 들로 먹을 만한 것을 찾아다녔다.

35. 농번기 (農繁期) [농번기]

한자: 農(농사 농), 繁(번성할 번), 期(기약할 기)

농사일이 매우 바쁜 시기. 모낼 때, 논맬 때, 추수할 때 따위가 이에 속한다.

용례:

  • 농번기가 되어 쉴 새 없이 일하고 있는 농부들.
  • 농번기 일손 돕기에 나서다.
  • 농번기를 맞아 각종 농기구를 수리하고 새 연장을 구입했다.

36. 농한기 (農閑期) [농한기]

한자: 農(농사 농), 閑(한가할 한), 期(기약할 기)

농사일이 바쁘지 아니하여 겨를이 많은 때. 대개 벼농사 중심의 영농에서 추수 후부터 다음 모내기까지의 기간을 이른다.

용례:

  • 한가한 농한기를 틈타 부업을 시작하다.
  • 논에는…인제는 피사리만 하면 힘든 일은 거의 끝이 난다. 그동안의 한 달 반쯤은 농군들이 추수를 할 때까지 숨을 돌리는 농한기다.≪심훈, 상록수≫

37. 단기 (短期) [단:기]

한자: 短(짧을 단(:)), 期(기약할 기)

짧은 기간.

용례:

  • 단기 교육.
  • 이 강습은 단기에 마칠 수 있다.

38. 당기 (當期) [당기]

한자: 當(마땅 당), 期(기약할 기)

「1」일이 있는 바로 그 시기. 또는 이 시기.
「2」어떤 법률관계를 연, 월, 주 따위로 나눌 경우에 현재 지내고 있는 기간.

용례:

「1」당기에 즈음하여.

39. 동기 (冬期) [동:기]

한자: 冬(겨울 동(:)), 期(기약할 기)

겨울의 시기.

용례:

  • 동기 훈련.
  • 동기 휴가.
  • 동기 휴업.

40. 동기 (同期) [동기]

한자: 同(한가지 동), 期(기약할 기)

「1」같은 시기. 또는 같은 기간.
「2」학교나 훈련소 따위에서의 같은 기(期).
「3」같은 시기에 같은 곳에서 교육이나 강습을 함께 받은 사람.
「4」둘 이상의 주기 현상(週期現象)이 그들 사이의 상호 작용이나 외부로부터의 신호 작용에 의하여, 같은 위상(位相) 또는 일정한 위상차(位相差)가 되는 일. 주파수가 일치하거나 정수비(整數比)의 관계로 된다.

용례:

  • 「1」6월 중 수출 실적은 전년 동기 대비 32.5%가 증가했다.
  • 「1」올 상반기 영업 실적은 전년 동기보다 두 배 가까이 늘었다.
  • 「2」입사 동기.
  • 「3」대학 동기인 그와 나는 노년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절친한 사이이다.

41. 동절기 (冬節期) [동:절기]

한자: 冬(겨울 동(:)), 節(마디 절), 期(기약할 기)

겨울철 기간.

용례:

  • 동절기에는 분수를 가동하지 않는다.
  • 동절기 방학이 시작된 지 한참이나 지났는데 왜 이제야 집에 오느냐는 질문인 것이다.≪최명희, 혼불≫

42. 만기 (晩期) [만:기]

한자: 晩(늦을 만:), 期(기약할 기)

「1」만년(晩年)의 시기.
「2」정해진 기간이나 일의 끝이 되는 때나 시기.

용례:

「2」만기 파종.

43. 만기 (滿期) [만기]

한자: 滿(찰 만(:)), 期(기약할 기)

「1」미리 정한 기한이 다 참. 또는 그 기한.
「2」어음 금액의 지급일로서 어음에 적힌 날짜.

용례:

  • 「1」만기 날짜.
  • 「1」만기가 꽉 차다.
  • 「1」만기가 지나다.
  • 「1」이 보험은 십 년 만기이다.
  • 「1」만기가 얼마 남지 않은 적금을 해약했다.
  • 「2」어음의 만기가 도래하다.

44. 말기 (末期) [말기]

한자: 末(끝 말), 期(기약할 기)

「1」정해진 기간이나 일의 끝이 되는 때나 시기.
「2」유사 분열에서, 염색체가 두 극에서 휴지핵으로 돌아가는 시기.

용례:

  • 「1」정권 말기.
  • 「1」제일 차 세계 대전 말기.
  • 「1」대동아 전쟁의 말기 때 강제 학병이 실시되지 않았다면 나는 종전을 그곳에서 맞을 뻔했다.≪김원일, 도요새에 관한 명상≫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期 기약할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