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2

45. 매기 (每期) [매:기]

한자: 每(매양 매(:)), 期(기약할 기)

[Ⅰ]일정하게 구분하여 정해진 하나하나의 시기.
[Ⅱ]일정하게 구분하여 정해진 기간마다.

용례:

  • [Ⅰ]우리 학교에서는 매기에 한 번씩 체육 행사를 벌인다.
  • [Ⅱ]배당금은 매기 지급한다.

46. 매우기 (梅雨期) [매우기]

한자: 梅(매화 매), 雨(비 우:), 期(기약할 기)

해마다 초여름인 유월 상순부터 칠월 상순에 걸쳐 계속되는 장마철.

용례:

농부들은 매우기가 다가오자 농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동분서주하였다.

47. 맹아기 (萌芽期) [맹아기]

한자: 萌(움[芽] 맹), 芽(싹 아), 期(기약할 기)

「1」식물이 싹 틀 무렵.
「2」사물이 처음 생겨나는 시기.

용례:

  • 「1」나무를 옮겨 심는 시기는 맹아기가 좋다.
  • 「2」신문학의 맹아기를 맞이하다.
  • 「2」그들은 근대화의 맹아기에 제국주의의 침략으로, 왜곡된 근대화의 길을 강요받아야 했다.

48. 모색기 (摸索期) [모색끼]

한자: 摸(더듬을 모), 索(찾을 색), 期(기약할 기)

일이나 사건 따위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나 실마리를 찾는 시기.

용례:

  • 모색기를 거치다.
  • 지난 2년은 새 책을 쓰기 위해 준비하던 모색기였다.

49. 무기 (無期) [무기]

한자: 無(없을 무), 期(기약할 기)

언제까지라고 정한 기한이 없음.

용례:

  • 무기 휴업.
  • 무기 농성.
  • 무기 연기.

50. 미개기 (未開期) [미:개기]

한자: 未(아닐 미(:)), 開(열 개), 期(기약할 기)

사회 발전이 미개한 시기.

용례:

인류 사회의 야만기와 미개기.

51. 반기 (半期) [반:기]

한자: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1」어떤 기간의 절반.
「2」한 해의 반.

용례:

「2」지난해 하반기 국내 유료 방송 시장의 가입자가 직전 반기보다 증가했다.

52. 발생기 (發生期) [발쌩기]

한자: 發(필 발), 生(날 생), 期(기약할 기)

「1」어떤 일이나 사물이 생겨나는 때.
「2」홀전자 오비탈을 가진 화학종의 하나. 대개는 불안정하여 오래 존재할 수 없고, 화학 반응 중에 일시적으로 생성된다.

용례:

「1」황사 현상의 발생기에는 특히 호흡기 질환에 주의해야 한다.

53. 발아기 (發芽期) [바라기]

한자: 發(필 발), 芽(싹 아), 期(기약할 기)

「1」초목의 눈이 트는 때.
「2」씨앗에서 싹이 트는 때.
「3」어떤 사물이나 사태가 비롯하는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버드나무가 발아기에 접어든 것을 보니 봄이 왔나 보다.
  • 「2」올해는 발아기의 가뭄으로 김장 채소 작황이 별로 안 좋다.
  • 「3」삼국 시대는 우리 민족 문화의 발아기였다.

54. 발안기 (發眼期) [바란기]

한자: 發(필 발), 眼(눈 안:), 期(기약할 기)

발생 과정에서 눈이 생기는 때.

용례:

물고기의 알은 수정 뒤 물리적 자극에 예민하나 눈이 확인되는 발안기 이후에는 얼마쯤 내성을 지니게 된다.

55. 발육기 (發育期) [바륙끼]

한자: 發(필 발), 育(기를 육), 期(기약할 기)

「1」성장하는 동안.
「2」성장하는 시기.

용례:

「2」어떤 생물이든 발육기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면 완전한 성장이 불가능하다.

56. 발전기 (發展期) [발쩐기]

한자: 發(필 발), 展(펼 전:), 期(기약할 기)

더 나은 단계로 나아가는 때.

용례:

  • 우리 고장도 긴 침체기를 벗어나 발전기에 접어들었다.
  • 경제 발전기라고 해서 정치나 문화도 발전하는 것은 아니다.

57. 발정기 (發情期) [발쩡기]

한자: 發(필 발), 情(뜻 정), 期(기약할 기)

암컷이 발정하는 시기. 임신이 가능한 시기로 흥분하며 불안해하고 수컷을 찾으며 식욕을 잃는데, 이때에 수컷과 교미를 한다.

58. 발흥기 (勃興期) [발흥기]

한자: 勃(노할 발), 興(일[盛] 흥(:)), 期(기약할 기)

갑자기 일어나 한창 잘되어 나가는 때.

용례:

나라든 기업이든 발흥기에는 의욕과 활력이 넘치기 마련이다.

59. 배란기 (排卵期) [배란기]

한자: 排(밀칠 배), 卵(알 란:), 期(기약할 기)

성숙한 난자가 난소에서 배출되는 시기.

60. 배태기 (胚胎期) [배태기]

한자: 胚(아기밸 배), 胎(아이밸 태), 期(기약할 기)

「1」아이나 새끼를 밸 수 있는 시기.
「2」어떤 사회적 현상이나 사실이 내면적으로 생겨나고 자라나는 시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배태기를 놓치다.
  • 「1」배태기에 맞추어 인공 수정을 하다.
  • 「1」가축을 번식시키기 위해서는 짐승들의 배태기를 잘 알아야 한다.
  • 「2」실학사상의 배태기.

61. 번식기 (繁殖期) [번식끼]

한자: 繁(번성할 번), 殖(불릴 식), 期(기약할 기)

동물이 새끼를 치는 시기.

62. 번영기 (繁榮期) [버녕기]

한자: 繁(번성할 번), 榮(영화 영), 期(기약할 기)

번성하고 영화롭게 된 시기.

용례:

  • 번영기를 누리다.
  • 번영기를 구가하다.

63. 변성기 (變聲期) [변:성기]

한자: 變(변할 변:), 聲(소리 성), 期(기약할 기)

사춘기에 성대에 변화가 일어나 목소리가 변하는 시기. 12세~15세이다.

용례:

변성기에 들어선 그의 목소리는 목쉰 듯하면서도 굵었다.

64. 변혁기 (變革期) [변:혁끼]

한자: 變(변할 변:), 革(가죽 혁), 期(기약할 기)

급격히 바뀌어 달라지는 시기.

용례:

  • 정치적인 변혁기.
  • 현대 사회는 정보 산업 시대로 혁명적인 변혁기에 처해 있다.

65. 부정기 (不定期) [부정기]

한자: 不(아닐 불), 定(정할 정:), 期(기약할 기)

시기나 기한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지 아니함.

용례:

  • 부정기 간행물.
  • 부정기 노선.

66. 부활기 (復活期) [부:활기]

한자: 復(다시 부:), 活(살 활), 期(기약할 기)

쇠퇴하거나 몰락해 가던 것이 다시 활기를 띠는 시기.

용례:

남북 대화의 부활기를 맞이하다.

67. 부흥기 (復興期) [부:흥기]

한자: 復(다시 부:), 興(일[盛] 흥(:)), 期(기약할 기)

쇠퇴하였던 것이 다시 성하게 일어나는 시기.

용례:

  • 경제 부흥기.
  • 문예 부흥기.
  • 부흥기로 접어들다.
  • 부흥기를 누리다.
  • 부흥기를 맞다.
  • 고려 시대는 불교 부흥기로 볼 수 있다.

68. 분기 (分期) [분기]

한자: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일 년을 4등분 한 3개월씩의 기간.

용례:

  • 분기 매출.
  • 회비는 분기마다 2만 원씩 내기로 한다.

69. 분만기 (分娩期) [분만기]

한자: 分(나눌 분(:)), 娩(낳을 만:), 期(기약할 기)

아이를 낳을 시기.

용례:

분만기에 접어든 아내는 여러모로 마음의 안정을 찾고자 노력했다.

70. 불안기 (不安期) [부란기]

한자: 不(아닐 불), 安(편안 안), 期(기약할 기)

사회의 질서가 잡히지 못하여 뒤숭숭한 시기.

용례:

우리나라는 숱한 사회적 불안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71. 비수기 (非需期) [비:수기]

한자: 非(아닐 비(:)), 需(쓰일/쓸 수), 期(기약할 기)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가 많지 아니한 시기.

72. 빙하기 (氷河期) [빙하기]

한자: 氷(얼음 빙), 河(물 하), 期(기약할 기)

빙하 시대에, 중위도 지역까지 빙하가 존재하였던 시기. 항상 한랭한 기후가 계속되었던 것은 아니며, 온난한 시기가 두세 번 있었다.

용례:

  • 빙하기가 끝나다.
  • 매연의 급격한 증가가 태양의 일조량을 감소시켜 빙하기가 올는지도 모른다는 겁니다.≪황순원, 신들의 주사위≫

73. 사분기 (四分期) [사:분기]

한자: 四(넉 사:),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한 기간, 특히 한 회계 연도를 넷으로 나눈 하나의 기간. 차례에 따라 일사분기, 이사분기, 삼사분기, 사사분기로 부른다.

용례:

지난 일 년 동안의 성과를 사분기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겠다.

74. 사사분기 (四四分期) [사:사분기]

한자: 四(넉 사:), 四(넉 사:),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1년을 넷으로 나눈 넷째 기간. 10, 11, 12월의 석 달 동안을 이른다.

용례:

정부에서는 이번 사사분기에 작년보다 수출 목표를 더 높게 잡고 있다.

75. 사춘기 (思春期) [사춘기]

한자: 思(생각 사(:)), 春(봄 춘), 期(기약할 기)

육체적ㆍ정신적으로 성인이 되어 가는 시기. 성호르몬의 분비가 증가하여 이차 성징이 나타나며, 생식 기능이 완성되기 시작하는 시기로 이성(異性)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춘정(春情)을 느끼게 된다. 청년 초기로 보통 15~20세를 이른다.

용례:

  • 사춘기를 맞다.
  • 사춘기에 들어서다.
  • 나는 내가 너무 냉정하게 대해서 사춘기 소녀인 그 애에게 어떤 상처를 준 게 아닌가 싶어 마음이 편치 않았다.≪김성동, 만다라≫
  • 그 사춘기의 외롭게 뜨거웠던 핏속에 소화의 이름을 남몰래 잠재웠던 것은 바로 자신이었다.≪조정래, 태백산맥≫

76. 산기 (産期) [산:기]

한자: 産(낳을 산:), 期(기약할 기)

아이를 낳을 시기.

용례:

산기가 다 되다.

77. 산란기 (産卵期) [살:란기]

한자: 産(낳을 산:), 卵(알 란:), 期(기약할 기)

알을 낳을 시기.

용례:

  • 물고기가 산란기에 접어들었다.
  • 대부분의 물고기는 일 년 중에서 특정의 계절에 산란기를 가지고 번식을 한다.

78. 산욕기 (産褥期) [사:뇩끼]

한자: 産(낳을 산:), 褥(요[藉] 욕), 期(기약할 기)

해산으로 인한 상처가 완전히 낫고, 자궁이 평상시 상태가 되며 신체의 각 기관이 임신 전의 상태로 회복되기까지의 기간. 대개 산후 6~8주간을 이른다.

79. 삼사분기 (三四分期) [삼사분기]

한자: 三(석 삼), 四(넉 사:),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일 년을 넷으로 나눈 셋째 기간. 7, 8, 9월의 석 달 동안을 이른다.

용례:

  • 삼사분기 결산 보고.
  • 삼사분기의 수출량은 이사분기보다 훨씬 증가하였다.

80. 상기 (喪期) [상기]

한자: 喪(잃을 상(:)), 期(기약할 기)

상복을 입는 기간.

용례:

초상이 나고 성복한 뒤 신주를 마련하여 위패로 모신 그날부터 상기가 끝나는 탈상 때까지, 아침저녁으로 상식을 올리면서….≪최명희, 혼불≫

81. 상반기 (上半期) [상:반기]

한자: 上(윗 상:),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한 해나 어떤 일정한 기간을 둘로 똑같이 나눌 때에 앞의 절반 기간.

용례:

  • 상반기 실적.
  • 상반기를 보내다.
  • 이번 공사는 내년도 상반기까지는 마쳐야 한다.

82. 상승기 (上昇期) [상:승기]

한자: 上(윗 상:), 昇(오를 승), 期(기약할 기)

어떤 현상이 계속하여서 증가하는 시기.

용례:

  • 상승기가 시작되다.
  • 상승기가 이어지다.
  • 경제적 상승기를 맞이하다.

83. 성기 (盛期) [성:기]

한자: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세력 따위가 한창인 때.

용례:

  • 그 철학자가 죽고 근 30년을 세기말 성기로 하여 여러 사상들이 출현하였다.
  • 고급 도자기와 금속 세공품은 그 성기에 해외 멀리까지 전파되었다.

84. 성년기 (成年期) [성년기]

한자: 成(이룰 성), 年(해 년), 期(기약할 기)

다 자라 성년이 된 시기.

용례:

고등학교를 졸업하면서 우리는 이제 성년기에 접어들었다.

85. 성년기 (盛年期) [성:년기]

한자: 盛(성할 성:), 年(해 년), 期(기약할 기)

한창 혈기가 왕성한 시기.

용례:

  • 성년기에 접어들다.
  • 그러던 중 나는 차츰 어서 바삐 어른이 되고 싶은 성년기에 대한 막연한 동경과 충동을 받기 시작했는데….≪이문구, 관촌 수필≫

86. 성수기 (盛需期) [성:수기]

한자: 盛(성할 성:), 需(쓰일/쓸 수), 期(기약할 기)

상품이나 서비스의 수요가 많은 시기.

용례:

  • 음료수와 빙과의 성수기는 여름이다.
  • 여름철 성수기를 맞아 해변으로 피서객들이 몰리고 있다.
  • 백화점에서 성수기가 끝난 제품을 대상으로 세일을 시작하였다.

87. 성숙기 (成熟期) [성숙끼]

한자: 成(이룰 성), 熟(익을 숙), 期(기약할 기)

「1」성숙해 가는 기간.
「2」성숙이 이루어진 시기.
「3」사람의 정신과 육체의 발육이 한창인 때.

용례:

  • 「1」새 품종의 개발로 벼의 성숙기가 줄어들었다.
  • 「2」신석기 시대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청동기 시대가 발생하였다.
  • 「3」성숙기의 청소년은 영양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한다.

88. 성어기 (盛漁期) [성:어기]

한자: 盛(성할 성:),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계절적으로 물고기가 가장 많이 잡히는 시기.

용례:

성어기에는 일꾼까지 고용해서 먼바다로 멸치잡이를 나가곤 했었다.≪황석영, 영등포 타령≫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期 기약할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