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3

89. 성인기 (成人期) [성인기]

한자: 成(이룰 성), 人(사람 인), 期(기약할 기)

다 자라 성년이 된 시기.

용례:

소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성인기까지 이어져 우울증이나 공황 장애로 발현되는 경우가 있다.

90. 성장기 (成長期) [성장기]

한자: 成(이룰 성), 長(긴 장(:)), 期(기약할 기)

「1」성장하는 동안.
「2」성장하는 시기.

용례:

  • 「1」성장기가 짧은 식물.
  • 「2」성장기의 어린이.
  • 「2」가난한 집안의 장남으로 태어난 그는 고된 노동으로 성장기를 보냈다.

91. 소기 (所期) [소:기]

한자: 所(바 소:), 期(기약할 기)

기대한 바.

용례:

  • 소기의 성과를 거두다.
  •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다.
  • 하여간 나는 도미 후 매사가 소기에 어그러져 울울불락하던 차….≪변영로, 명정 40년≫

92. 소년기 (少年期) [소:년기]

한자: 少(적을 소:), 年(해 년), 期(기약할 기)

소년ㆍ소녀로 있는 동안. 일반적으로 아동기의 후반을 가리킨다. 우리나라에서는 만 열두 살에서 스무 살까지로 잡는다.

용례:

아버지가 즉위하여 정국도 안정하였으니 세종의 소년기는 평온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것이라고 하겠다.≪이숭녕, 대학가의 파수병≫

93. 쇠망기 (衰亡期) [쇠망기]

한자: 衰(쇠할 쇠), 亡(망할 망), 期(기약할 기)

쇠퇴하여 망해 가는 시기.

용례:

거듭된 전쟁으로 그 나라는 쇠망기에 접어들고 있었다.

94. 쇠퇴기 (衰退期) [쇠퇴기]

한자: 衰(쇠할 쇠), 退(물러날 퇴:), 期(기약할 기)

「1」쇠하여 전보다 못한 시기.
「2」열을 비롯한 병의 기본 증상들이 없어져 가는 시기. 열은 갑자기 또는 2~3일에 걸쳐 점차 내린다.

용례:

「1」쇠퇴기에 접어들다.

95. 수난기 (受難期) [수난기]

한자: 受(받을 수(:)), 難(어려울 난(:)), 期(기약할 기)

수난을 겪는 시기.

용례:

  • 민족 수난기.
  • 고통스러운 수난기가 지나갔다.
  • 변경 지역에는 무당의 세력이 그 어느 지방보다도 번성하고 있었는데 지난달부터 이들에게 무서운 수난기가 닥쳐왔습니다.≪호영송, 파하의 안개≫

96. 수련기 (修鍊期) [수련기]

한자: 修(닦을 수), 鍊(쇠불릴/단련할 련:), 期(기약할 기)

「1」인격, 기술, 학문 따위를 닦아서 단련하는 기간.
「2」수도회에 들어가 수도 서원을 할 때까지의 시기.

용례:

  • 「1」수련기를 거치다.
  • 「1」김 선생님의 20대는 작가가 되기 위한 혹독한 수련기로 볼 수 있다.

97. 수학기 (修學期) [수학끼]

한자: 修(닦을 수), 學(배울 학), 期(기약할 기)

학업을 닦는 시기.

용례:

전설에서는 위대한 인물이 비범하게 된 계기를 출생담 또는 수학기에 결부시키기도 한다.

98. 수확기 (收穫期) [수확끼]

한자: 收(거둘 수), 穫(거둘 확), 期(기약할 기)

농작물을 거두어들이는 시기.

용례:

  • 벼의 수확기.
  • 농사는 수확기에 들어 웬만한 집에서는 손이 달렸다.≪한무숙, 만남≫

99. 습작기 (習作期) [습짝끼]

한자: 習(익힐 습), 作(지을 작), 期(기약할 기)

본격적인 작가나 화가가 되기 이전에 시, 소설, 그림 따위를 연습 삼아 짓거나 그리면서 실력을 쌓아 가는 시기나 기간.

용례:

그 작가는 오랜 습작기를 거쳐 탄탄한 실력을 쌓았다.

100. 시기 (時期) [시기]

한자: 時(때 시), 期(기약할 기)

어떤 일이나 현상이 진행되는 시점.

용례:

  • 가을은 오곡백과가 무르익는 시기이다.
  • 밤을 새워 가며 길고 긴 사연의 편지를 어느 벗에게 쓸 수 있는 시기란 젊음이라는 축복받은 한때뿐이다.≪박목월, 구름의 서정≫

101. 시련기 (試鍊期) [시:련기]

한자: 試(시험 시(:)), 鍊(쇠불릴/단련할 련:), 期(기약할 기)

시련을 겪는 시기.

용례:

  • 시련기에 놓이다.
  • 젊은 시절의 시련기를 잘 이겨 내어야 위대한 인물이 될 수 있다.

102. 시원기 (始原期) [시:원기]

한자: 始(비로소 시:), 原(언덕 원), 期(기약할 기)

사물, 현상 따위가 시작되는 시기.

용례:

우주의 시원기.

103. 시험기 (試驗期) [시험기]

한자: 試(시험 시(:)), 驗(시험 험:), 期(기약할 기)

시험을 치는 시기.

용례:

시험기에 들어가다.

104. 신생아기 (新生兒期) [신생아기]

한자: 新(새 신), 生(날 생), 兒(아이 아), 期(기약할 기)

유아기(乳兒期)의 한 과정. 사람의 생후 28일 동안을 이르며 모체 안에서의 이상적인 생활 조건으로부터 기온, 습도 따위가 급변한 환경으로 돌입하여 스스로의 힘으로 호흡하고 젖을 빨고 생명을 유지하기 시작하는 중요한 시기이다.

105. 신학기 (新學期) [신학끼]

한자: 新(새 신), 學(배울 학), 期(기약할 기)

새로 맞이하는 학기.

용례:

  • 신학기가 시작되다.
  • 신학기를 맞다.
  • 신학기가 되면 이곳저곳에 끼리끼리 모여 앉아 방학 동안의 얘기를 하느라 왁자지껄한다.
  • 나의 곁에 앉은 새 승객은 C 여자 대학교의 춘추용 교복에 배지를 달고 있었다. 나처럼 봄 방학을 고향에서 보내고 신학기가 닥쳐 상경하는 모양이었다.≪김원일, 어둠의 축제≫

106. 실기 (失期) [실기]

한자: 失(잃을 실), 期(기약할 기)

시기를 놓침.

용례:

과거 실패한 경제 정책은 대체로 실기에서 비롯되었다.

107. 아동기 (兒童期) [아동기]

한자: 兒(아이 아), 童(아이 동(:)), 期(기약할 기)

유년기와 청년기의 중간에 해당되는 6~13세의 시기. 후기에는 추상적인 사고가 가능해지는 따위의 지적 발달이 현저하며, 집단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사회성도 증가된다.

108. 안정기 (安定期) [안정기]

한자: 安(편안 안), 定(정할 정:), 期(기약할 기)

바뀌어 달라지지 아니하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는 기간.

용례:

  • 사회 안정기.
  • 혼란기를 지나 안정기에 접어들다.

109. 암흑기 (暗黑期) [암:흑끼]

한자: 暗(어두울 암:), 黑(검을 흑), 期(기약할 기)

도덕이나 이성, 문명이 쇠퇴하고 세상이 어지러운 시기.

용례:

  • 민주주의의 암흑기.
  • 정치적 암흑기를 거치다.

110. 앙양기 (昂揚期) [앙:양기]

한자: 昂(높을 앙), 揚(날릴 양), 期(기약할 기)

현상이나 운동이 국가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드높아지는 시기.

용례:

  • 앙양기에 접어들다.
  • 그 시절은 반공 사상의 앙양기였다.

111. 어기 (漁期) [어기]

한자: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고기를 잡는 시기. 또는 어떤 특정한 구역에서 어떤 종류의 고기가 많이 잡히는 시기.

용례:

부근에는 한국과 일본의 독항선들이 어기를 노려 산재해서 와글대고 있었고….≪천금성, 허무의 바다≫

112. 어한기 (漁閑期) [어한기]

한자: 漁(고기잡을 어), 閑(한가할 한), 期(기약할 기)

물고기가 잘 잡히지 않는 시기.

용례:

  • 어한기에는 그물을 잘 손질해 놓아야 한다.
  • 어한기가 되면 어촌은 한산하다.

113. 여명기 (黎明期) [여명기]

한자: 黎(검을 려), 明(밝을 명), 期(기약할 기)

「1」새로운 시대나 새로운 문화 운동 따위가 시작되는 시기.
「2」동이 틀 무렵.

용례:

  • 「1」신문학의 여명기.
  • 「1」시대의 여명기를 이끈 선각자.

114. 연기 (延期) [연기]

한자: 延(늘일 연), 期(기약할 기)

정해진 기한을 뒤로 물려서 늘림.

용례:

  • 무기한 연기.
  • 지급 연기 신청.

115. 연령기 (年齡期) [열령기]

한자: 年(해 년), 齡(나이 령), 期(기약할 기)

어떤 일정한 나이에 해당하는 시기.

용례:

결혼 연령기에 접어들다.

116. 영농기 (營農期) [영농기]

한자: 營(경영할 영), 農(농사 농), 期(기약할 기)

농사짓는 시기.

용례:

우리는 봄철 영농기 농촌 일손 돕기에 참가했다.

117. 영아기 (嬰兒期) [영아기]

한자: 嬰(어린아이 영), 兒(아이 아), 期(기약할 기)

젖을 먹는 어린아이 시기. 생후 약 1년간의 시기를 이른다.

용례:

영아기에는 신체적 발달 속도가 매우 빠르다.

118. 예기 (豫期) [예:기]

한자: 豫(미리 예:), 期(기약할 기)

앞으로 닥쳐올 일에 대하여 미리 생각하고 기다림.

용례:

뒤지면서도 웬걸 여기 있으랴 하는 생각을 품었던 그들의 예기는 맞았다.≪김동인, 젊은 그들≫

119. 온난기 (溫暖期) [온난기]

한자: 溫(따뜻할 온), 暖(따뜻할 난:), 期(기약할 기)

지구의 기온 변화 과정에서 유난히 더운 시기.

용례:

  • 온난기에는 해면이 상승한다.
  • 노르만족의 아메리카 대륙 진출은 중세 온난기에 이루어졌다.

120. 완숙기 (完熟期) [완숙끼]

한자: 完(완전할 완), 熟(익을 숙), 期(기약할 기)

완전히 익는 시기.

용례:

  • 농작물의 완숙기.
  • 궁중 문학의 완숙기.
  • 배우의 연기가 완숙기에 접어들다.

121. 완충기 (緩衝期) [완:충기]

한자: 緩(느릴 완:), 衝(찌를 충), 期(기약할 기)

긴장된 한 시기가 끝나고 새로운 긴장된 시기로 들어가기 전에, 앞 시기의 일들을 정비하고 새 시기의 일들을 준비하는 일정한 시기.

용례:

1910년대는 우리 문학이 이전의 전통적인 흐름에서 일시 중단하고, 1920년대의 본격적인 서구 문예 사조의 유입을 준비하는 완충기와도 같았다.

122. 왕성기 (旺盛期) [왕:성기]

한자: 旺(왕성할 왕:),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한창 성한 시기.

용례:

바로크 음악의 왕성기.

123. 우기 (雨期) [우:기]

한자: 雨(비 우:), 期(기약할 기)

일 년 중 비가 많이 오는 시기.

용례:

상류 지역에 우기가 와서 그 빗물로 불어난 물이 이곳에 이르러 범람을 가져온 것뿐입니다.≪이문열, 사람의 아들≫

124. 원숙기 (圓熟期) [원숙끼]

한자: 圓(둥글 원), 熟(익을 숙), 期(기약할 기)

「1」충분히 숙달된 때.
「2」인격이나 지식 따위가 깊고 원만해지는 때.

용례:

「1」작가에게 있어 40대는 그 문학의 원숙기에 해당되는 만큼….≪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25. 월경주기 (月經週期) [월경주기]

한자: 月(달 월), 經(지날/글 경), 週(주일 주), 期(기약할 기)

이번 월경에서 다음 월경 때까지 걸리는 시기.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28~30일이다.

126. 유기 (有期) [유:기]

한자: 有(있을 유:), 期(기약할 기)

언제까지라고 정한 기한이 있음.

용례:

그것도 그때 유기로 처리되었었다면 문제가 없었을 텐데, 그게 무기(無期)로 처리되어 있단 말이에요.≪이인성, 그 세월의 무덤≫

127. 유년기 (幼年期) [유년기]

한자: 幼(어릴 유), 年(해 년), 期(기약할 기)

「1」어린이가 성장ㆍ발달하는 단계의 하나. 유아기와 소년기의 중간으로 유치원 교육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이 이루어지는 시기이다.
「2」침식 윤회의 초기. 침식된 지 오래지 않아 지형의 본디 모습이 아직 남아 있는 시기이다.

128. 유아기 (幼兒期) [유아기]

한자: 幼(어릴 유), 兒(아이 아), 期(기약할 기)

만 1세부터 6세까지의 어린 시기. 자기중심성, 정서성, 구체성이 나타나며 만 3세까지의 전기에는 일상어의 습득, 생활 습관의 확립 따위가 이루어지고 후기에는 개성이 뚜렷하여진다.

129. 유아기 (乳兒期) [유아기]

한자: 乳(젖 유), 兒(아이 아), 期(기약할 기)

젖을 먹는 어린아이 시기. 생후 약 1년간의 시기를 이른다.

130. 융성기 (隆盛期) [융성기]

한자: 隆(높을 륭),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기운차게 일어나는 시기. 또는 대단히 번성하는 시기.

용례:

문화의 융성기를 맞다.

131. 이기 (二期) [이:기]

한자: 二(두 이:), 期(기약할 기)

「1」두 기간.
「2」일 년을 두 기간으로 나누는 일. 또는 그 기간.
「3」봄과 가을 일 년에 두 번.

용례:

  • 「1」이기 동안 중책을 맡다.
  • 「2」이기에 한 번씩 내는 세금.

132. 이사분기 (二四分期) [이:사분기]

한자: 二(두 이:), 四(넉 사:),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1년을 넷으로 나눈 둘째 기간. 4, 5, 6월의 석 달 동안을 이른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期 기약할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