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4

133. 이앙기 (移秧期) [이앙기]

한자: 移(옮길 이), 秧(모 앙), 期(기약할 기)

모를 내는 시기.

용례:

가랑비가 뿌린 일이 있었을 뿐, 춘경기에 들어서부터 오늘 이앙기가 지나기까지 쭉 비 구경을 못했다.≪안수길, 북간도≫

134. 이유기 (離乳期) [이:유기]

한자: 離(떠날 리:), 乳(젖 유), 期(기약할 기)

유아기(乳兒期)와 유아기(幼兒期) 사이의 젖을 떼는 시기. 대개 생후 6~7개월에 시작하는데 젖만으로는 영양이 부족하여 그 밖의 음식을 찾게 된다.

135. 일기 (一期) [일기]

한자: 一(한 일), 期(기약할 기)

「1」어떤 시기를 몇으로 나눈 것의 하나.
「2」한평생 살아 있는 동안.

용례:

「2」그는 아깝게도 40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136. 일사분기 (一四分期) [일싸분기]

한자: 一(한 일), 四(넉 사:), 分(나눌 분(:)), 期(기약할 기)

일 년을 넷으로 나눈 첫째 기간. 1, 2, 3월의 석 달 동안을 이른다.

137. 일제강점기 (日帝強占期) [일쩨강:점기]

한자: 日(날 일), 帝(임금 제:), 強(강할 강(:)), 占(점령할 점:/점칠 점), 期(기약할 기)

1910년에 일본에 의해 우리나라가 국권을 빼앗긴 이후 1945년 광복되기까지 35년간의 시대.

138. 임기 (任期) [임:기]

한자: 任(맡길 임(:)), 期(기약할 기)

임무를 맡아보는 일정한 기간.

용례:

  • 임기가 끝나다.
  • 임기가 차다.
  • 임기를 연장하다.
  • 임기를 마치다.
  • 지금 우리나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다.
  • 전임 신재우는 임기 이 년을 절반밖에 못 채우고 물러난 것인데….≪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39. 입학기 (入學期) [이팍끼]

한자: 入(들 입), 學(배울 학), 期(기약할 기)

신입생들이 입학하는 시기.

용례:

매장은 입학기를 맞아 교복을 구입하려는 학부모들로 붐볐다.

140. 자전주기 (自轉週期) [자전주기]

한자: 自(스스로 자), 轉(구를 전:), 週(주일 주), 期(기약할 기)

천체(天體)가 한 바퀴 자전할 때 걸리는 시간. 지구의 자전 주기는 약 23시간 56분이다.

141. 잔기 (殘期) [잔기]

한자: 殘(남을 잔), 期(기약할 기)

앞으로 남은 기간.

용례:

그런 뒤 수삭을 지나서 또 명치의 처가 죽었다 하여 다시 잔기의 삼분지 일을 감하니 내 형은 오 년 남짓한 경형이 되고 말았다.≪김구, 백범일지≫

142. 잠복기 (潛伏期) [잠복끼]

한자: 潛(잠길 잠), 伏(엎드릴 복), 期(기약할 기)

「1」어떤 자극, 원인이 작용하여 반응이 나타나기까지의 시간.
「2」병원체가 몸 안에 들어가서 증상을 나타내기까지의 기간. 질병에 따라 일정하지 않다.

용례:

「2」이 병은 잠복기가 길어 초기에는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143. 장기 (長期) [장기]

한자: 長(긴 장(:)), 期(기약할 기)

긴 기간.

144. 장년기 (壯年期) [장:년기]

한자: 壯(장할 장:), 年(해 년), 期(기약할 기)

「1」나이가 서른에서 마흔 안팎으로 한창 혈기 왕성한 시기.
「2」침식 윤회에서의 중기(中期).

용례:

「1」청년기, 장년기를 방랑으로 보낸 그는 한때 가마를 찾아다니며 그릇을 구워 본 적이 있었고….≪박경리, 토지≫

145. 재배기 (栽培期) [재:배기]

한자: 栽(심을 재:), 培(북돋울 배:), 期(기약할 기)

식물이나 작물을 심고 가꿀 수 있는 기간.

용례:

  • 재배기가 길다.
  • 벼의 재배기는 지방에 따라 다르다.
  • 화초의 재배기는 각각 다르므로 때에 맞게 심어야 꽃을 볼 수 있다.

146. 적기 (適期) [적끼]

한자: 適(맞을 적), 期(기약할 기)

알맞은 시기.

용례:

  • 적기에 파종하다.
  • 지금이 그 말을 할 적기이다.
  • 몽리민의 대표들이 수리 조합 사람을 만나 모내기의 적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는 쪽으로 쉽게 합의를 보았다.≪윤흥길, 완장≫

147. 적령기 (適齡期) [정녕기]

한자: 適(맞을 적), 齡(나이 령), 期(기약할 기)

어떤 일을 하기에 알맞은 나이가 된 때.

용례:

  • 결혼 적령기.
  • 적령기에 들어서다.
  • 적령기를 놓치다.
  • 적령기에 입학한 내 나이 또래는 아주 드물고, 거개가 14세 이상으로 더러는 20세에 가까운….≪홍성원, 무사와 악사≫

148. 적시기 (適時期) [적씨기]

한자: 適(맞을 적), 時(때 시), 期(기약할 기)

알맞은 시기.

용례:

나무 심기의 적시기.

149. 전기 (前期) [전기]

한자: 前(앞 전), 期(기약할 기)

「1」일정 기간을 몇 개로 나눈 첫 시기.
「2」앞의 시기. 특히 앞의 결산기를 이른다.
「3」기한보다 앞섬.
「4」유사 분열에서, 세포가 분열을 시작하는 시기.

용례:

  • 「1」프로 야구 전기 리그.
  • 「1」전기 중세 국어.
  • 「1」조선 후기에는 전기에 비하여 상공업이 더욱 발달하였다.
  • 「2」전기 순이익.
  • 「2」전기 이월금.

150. 전반기 (前半期) [전반기]

한자: 前(앞 전),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한 시기를 반씩 둘로 나눈 것의 앞쪽 기간.

용례:

페넌트 레이스 전반기의 연승 행진을 후반기까지 이어 갔다.

151. 전변기 (轉變期) [전:변기]

한자: 轉(구를 전:), 變(변할 변:), 期(기약할 기)

형세나 국면 따위가 바뀌어 달라지는 시기.

용례:

전변기를 맞다.

152. 전성기 (全盛期) [전성기]

한자: 全(온전 전), 盛(성할 성:), 期(기약할 기)

형세나 세력 따위가 한창 왕성한 시기.

용례:

  • 전성기를 누리다.
  • 전성기를 맞이하다.
  • 이미 이 광산에서 금을 캐기 시작한 것은 오래전이었으며 전성기를 지난 것이 5, 6년 전이었다.≪최인호, 지구인≫

153. 전환기 (轉換期) [전:환기]

한자: 轉(구를 전:), 換(바꿀 환:), 期(기약할 기)

다른 방향이나 상태로 바뀌는 시기.

용례:

  • 인생의 전환기.
  • 세기의 전환기.
  • 역사적 전환기.
  • 일대 전환기를 맞다.
  • 중대한 전환기에 처하다.

154. 전후기 (戰後期) [전:후기]

한자: 戰(싸움 전:), 後(뒤 후:), 期(기약할 기)

전쟁이 끝난 뒤의 시기.

용례:

전후기에는 사회가 극도로 혼란하기 마련이다.

155. 절량기 (絕糧期) [절량기]

한자: 絕(끊을 절), 糧(양식 량), 期(기약할 기)

햇곡식이 나오기 전 양식이 떨어져 곤란을 겪는 시기.

용례:

쌀을 사들여 무턱대고 창고 속에 쟁여 두었다가 절량기가 되어 쌀값이 폭등할 무렵에 창고에 쟁여 놓은 채로 팔아 버리면….≪박태순, 어느 사학도의 젊은 시절≫

156. 절정기 (絕頂期) [절쩡기]

한자: 絕(끊을 절), 頂(정수리 정), 期(기약할 기)

사물의 진행이나 발전이 최고의 경지에 달한 시기.

용례:

  • 절정기를 이루다.
  • 절정기에 도달하다.
  • 절정기의 기량을 뽐내다.
  • 그는 선수 생활에서 절정기를 맞았다.
  • 단풍의 아름다움이 절정기에 다다르면서 요즘 설악산에는 주말마다 수천 명의 관광객이 몰려들고 있다.

157. 정기 (定期) [정:기]

한자: 定(정할 정:), 期(기약할 기)

기한이나 기간이 일정하게 정하여져 있는 것. 또는 그 기한이나 기간.

용례:

  • 정기 여객선.
  • 정기 직항 노선.
  • 정기 답사.
  • 정기 휴일.
  • 정기 순회공연을 하다.

158. 정체기 (停滯期) [정체기]

한자: 停(머무를 정), 滯(막힐 체), 期(기약할 기)

사물이 발전하거나 나아가지 못하고 한군데 머물러 그쳐 있는 시기.

159. 조기 (早期) [조:기]

한자: 早(이를 조:), 期(기약할 기)

이른 시기.

용례:

  • 목표 조기 달성.
  • 사건을 조기에 수습하다.
  • 질병은 조기에 발견해야 치료가 쉽다.

160. 졸업기 (卒業期) [조럽끼]

한자: 卒(마칠 졸), 業(업 업), 期(기약할 기)

졸업하는 시기나 학기.

용례:

재학 중인 여학생에게 그런 편지를 하기가 어려워서 졸업기가 당도한 시기를 기다린 것인지도 모를 것이다.≪염상섭, 모란꽃 필 때≫

161. 주기 (週期) [주기]

한자: 週(주일 주), 期(기약할 기)

「1」같은 현상이나 특징이 한 번 나타나고부터 다음번 되풀이되기까지의 기간.
「2」회전하는 물체가 한 번 돌아서 본래의 위치로 오기까지의 기간.
「3」진동하는 물체가 한 방향으로 움직였다가 다시 반대 방향으로 그만큼 움직여 본래의 자리로 돌아오는 데 걸리는 시간.
「4」주기율표에 원자 번호의 차례로 배열하였을 때, 비슷한 성질의 원소가 되풀이해서 나타나는 현상.

용례:

  • 「1」주기가 단축되다.
  • 「1」주기가 느리다.
  • 「1」일 년을 주기로 반복되다.
  • 「1」그는 삼 년 주기로 이사를 다녔다.

162. 준비기 (準備期) [준:비기]

한자: 準(준할 준:), 備(갖출 비:), 期(기약할 기)

준비하는 시기.

용례:

청소년기는 일생을 살아가기 위한 준비기로서 그 시기만의 특성이 있다.

163. 중기 (中期) [중기]

한자: 中(가운데 중), 期(기약할 기)

「1」처음과 끝의 가운데 시기.
「2」길지도 짧지도 아니한 중간쯤 되는 기간.
「3」유사 분열에서 염색체가 적도면(赤道面)에 나열하여 방추체를 완성하는 시기.

용례:

  • 「1」고려 중기.
  • 「1」구석기 중기.

164. 중년기 (中年期) [중년기]

한자: 中(가운데 중), 年(해 년), 期(기약할 기)

중년의 시기.

용례:

  • 중년기 여성.
  • 중년기에 접어들다.

165. 중반기 (中盤期) [중반기]

한자: 中(가운데 중), 盤(소반 반), 期(기약할 기)

일정한 기간 가운데 중간의 시기.

용례:

  • 1980년대 중반기.
  • 오십의 중반기에 들어서다.
  • 십이월도 벌써 중반기에 접어들었다.

166. 지급기 (支給期) [지급끼]

한자: 支(지탱할 지), 給(줄 급), 期(기약할 기)

돈이나 물품 따위를 내주어야 할 시기.

용례:

지급기를 훨씬 넘기고 나서야 수당이 지급되었다.

167. 지불기 (支拂期) [지불기]

한자: 支(지탱할 지), 拂(떨칠 불), 期(기약할 기)

돈을 내거나 치르는 시기.

용례:

  • 지불기를 넘기다.
  • 단칸방의 사글세 지불기가 가까워지면서 어머니의 이마에는 주름이 느는 것 같았다.

168. 진동주기 (振動週期) [진:동주기]

한자: 振(떨칠 진:), 動(움직일 동:), 週(주일 주), 期(기약할 기)

진동의 완전한 순환에 필요한 시간.

169. 진통기 (陣痛期) [진통기]

한자: 陣(진칠 진), 痛(아플 통:), 期(기약할 기)

해산할 때에, 자궁의 수축으로 심한 통증을 느끼는 시기.

170. 차기 (次期) [차기]

한자: 次(버금 차), 期(기약할 기)

다음 시기.

용례:

  • 차기 정권.
  • 회사는 차기 경영권 문제로 어수선하다.
  • 국회에서 신망과 지지를 잃은 그는 간접 선거로 선출되는 차기 대통령 선거에서 자신의 대통령 당선이 불가능함을 깨닫게 되었다.≪홍성원, 육이오≫

171. 청년기 (靑年期) [청년기]

한자: 靑(푸를 청), 年(해 년), 期(기약할 기)

대개 20대 전후의 시기. 이때부터 신체와 정신이 가장 왕성하게 발달한다.

172. 청소년기 (靑少年期) [청소년기]

한자: 靑(푸를 청), 少(적을 소:), 年(해 년), 期(기약할 기)

아동이 신체적ㆍ정신적ㆍ사회적으로 성인이 되어 가는 도중의 시기. 주변적 위치에 따른 갈등과 방황으로 정체성의 혼란을 겪기도 한다.

173. 청춘기 (靑春期) [청춘기]

한자: 靑(푸를 청), 春(봄 춘), 期(기약할 기)

한창 젊고 건강하여 활발하게 활동을 하는 시기.

용례:

그는 한창 활동할 인생의 청춘기를 병상에서 대부분 보냈다.

174. 초기 (初期) [초기]

한자: 初(처음 초), 期(기약할 기)

정해진 기간이나 일의 처음이 되는 때나 시기.

용례:

  • 초기 단계.
  • 초기 작품.
  • 정신 질환의 초기 증세.
  • 암 같은 병도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 초라한 나의 문학 생활의 초기를 회고해 보니, 누구나 다 그렇겠지만 역시 감개 없는 바 아니다.≪유치환, 나는 고독하지 않다≫

175. 초로기 (初老期) [초로기]

한자: 初(처음 초), 老(늙을 로:), 期(기약할 기)

노년기에 접어드는 초기.

용례:

최근 중년기에서 초로기에 이르는 사람들에게 우울증이 늘어나고 있다.

176. 초창기 (草創期) [초창기]

한자: 草(풀 초), 創(비롯할 창:), 期(기약할 기)

어떤 사업을 일으켜 처음으로 시작하는 시기.

용례:

  • 건국 초창기.
  • 초창기 작품.
  • 초창기의 신선함을 잃다.
  • 가톨릭이 이 땅에 발붙이기 시작한 초창기에 얼마나 심한 박해를 받았는지는 이미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5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期 기약할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