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5

177. 최장기 (最長期) [최:장기]

한자: 最(가장 최:), 長(긴 장(:)), 期(기약할 기)

가장 오랜 기간.

용례:

최장기 집권.

178. 최적기 (最適期) [최:적끼]

한자: 最(가장 최:), 適(맞을 적), 期(기약할 기)

가장 알맞은 시기.

용례:

나무를 심기에는 4월이 최적기이다.

179. 추기 (秋期) [추기]

한자: 秋(가을 추), 期(기약할 기)

가을의 시기.

용례:

자신의 역으로는 원래 염장의 염간(鹽干)들 모두가 수군의 역을 지고 있었으니…추기 훈련을 받아야 했지만, 군포를 대납하여 모면했던 것이다.≪황석영, 장길산≫

180. 추수기 (秋收期) [추수기]

한자: 秋(가을 추), 收(거둘 수), 期(기약할 기)

추수하는 시기.

용례:

  • 추수기가 끝나다.
  • 춘궁기에 제물포 근방의 농촌에 장리쌀을 놓았다가 추수기에 거두어들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81. 축적기 (蓄積期) [축쩍끼]

한자: 蓄(모을 축), 積(쌓을 적), 期(기약할 기)

모아서 쌓는 시기.

용례:

자본의 축적기.

182. 춘경기 (春耕期) [춘경기]

한자: 春(봄 춘), 耕(밭갈[犁田] 경), 期(기약할 기)

봄갈이할 시기.

용례:

춘경기에 들어서부터 오늘 이앙기가 지나기까지 쭉 비 구경을 못 했다.≪안수길, 북간도≫

183. 춘궁기 (春窮期) [춘궁기]

한자: 春(봄 춘), 窮(다할/궁할 궁), 期(기약할 기)

묵은 곡식은 다 떨어지고 햇곡식은 아직 익지 아니하여 식량이 궁핍한 봄철의 때.

용례:

  • 작년의 흉작으로 몇몇 집을 제외한 마을 대부분은 지독한 춘궁기를 겪게 되었다.
  • 어머니는 춘궁기가 되어서부터는 하루 한 끼만 먹고 사셨다.
  • 춘궁기면 소나무 속껍질을 벗긴 송기로 떡을 해서 끼니를 이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184. 춘기 (春期) [춘기]

한자: 春(봄 춘), 期(기약할 기)

봄의 시기.

용례:

  • 춘기 대청소 기간.
  • 춘기 방학.

185. 침략기 (侵略期) [침:냑끼]

한자: 侵(침노할 침), 略(간략할/약할 략), 期(기약할 기)

정당한 이유 없이 남의 나라에 쳐들어가서 땅을 빼앗은 동안.

용례:

일제 침략기.

186. 침체기 (沈滯期) [침체기]

한자: 沈(잠길 침(:)), 滯(막힐 체), 期(기약할 기)

어떤 현상이나 사물이 진전하지 못하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시기.

용례:

  • 침체기를 벗어나다.
  • 침체기를 지나 발전기로 접어들다.
  • 무병했던 사람이 앓으면 몹시 앓는다고 한다. 삶의 열정기가 길었던 만큼 침체기가 긴 것은 당연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187. 퇴조기 (退潮期) [퇴:조기]

한자: 退(물러날 퇴:), 潮(밀물/조수 조), 期(기약할 기)

「1」기세가 한때 꺾이는 시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썰물이 일어나는 시기.

용례:

「1」퇴조기에 접어들다.

188. 파과기 (破瓜期) [파:과기]

한자: 破(깨뜨릴 파:), 瓜(외 과), 期(기약할 기)

‘瓜’ 자를 파자(破字)하면 16이 되는 데서, 주로 여자가 월경을 처음 시작하는 시기를 이르는 말.

용례:

이제 겨우 파과기를 벗어났을까 말까 한 박도 덜 쇤 애사당은 이젠 살았다 싶었던지….≪김주영, 객주≫

189. 평화기 (平和期) [평화기]

한자: 平(평평할 평), 和(화할 화), 期(기약할 기)

평화가 유지되는 시기.

용례:

그들 두 나라는 오랫동안 싸워 오다가 최근에 화친하면서 평화기를 맞게 되었다.

190. 폐경기 (閉經期) [폐:경기]

한자: 閉(닫을 폐:), 經(지날/글 경), 期(기약할 기)

여성의 월경이 없어지는 시기.

191. 풍어기 (豐漁期) [풍어기]

한자: 豐(풍년 풍), 漁(고기잡을 어), 期(기약할 기)

한 해 가운데 물고기가 가장 많이 잡히는 시기.

용례:

풍어기에 맞추어 외지 낚시꾼까지 몰려들었다.

192. 하강기 (下降期) [하:강기]

한자: 下(아래 하:), 降(내릴 강:), 期(기약할 기)

어떤 현상이 계속하여서 하강하는 시기.

용례:

나이가 마흔다섯이면 체력적으로 보아 하강기에 들어선 것만은 확실해 보인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193. 하기 (夏期) [하:기]

한자: 夏(여름 하:), 期(기약할 기)

여름의 시기.

용례:

하기 훈련.

194. 하락기 (下落期) [하:락끼]

한자: 下(아래 하:), 落(떨어질 락), 期(기약할 기)

값이나 등급 따위가 떨어지는 시기.

용례:

  • 주가가 하락기로 접어들었다.
  • 부동산 경기는 오랫동안 하락기에 머물러 있다.

195. 하반기 (下半期) [하:반기]

한자: 下(아래 하:),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한 해나 어떤 일정한 기간을 둘로 나누었을 때 나중 되는 기간.

용례:

  • 하반기 결산 보고.
  • 하반기 들어 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 새로 짓는 건물은 올 하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196. 하절기 (夏節期) [하:절기]

한자: 夏(여름 하:), 節(마디 절), 期(기약할 기)

여름철 기간.

용례:

하절기에는 더운물 공급이 중단된다.

197. 하향기 (下向期) [하:향기]

한자: 下(아래 하:), 向(향할 향:), 期(기약할 기)

「1」아래로 향하는 시기.
「2」기력 따위가 쇠퇴하는 시기.

용례:

「2」그 선수는 이미 하향기에 접어들었다.

198. 학기 (學期) [학끼]

한자: 學(배울 학), 期(기약할 기)

한 학년 동안을 학업의 필요에 의하여 구분한 기간. 보통 3~8월과 9~2월의 두 학기로 나눈다.

용례:

  • 3학년 2학기.
  • 새 학기를 시작하다.
  • 우리 학교는 한 학기에 한 번씩 소풍을 간다.

199. 학령기 (學齡期) [항녕기]

한자: 學(배울 학), 齡(나이 령), 期(기약할 기)

초등학교에서 의무 교육을 받아야 할 나이의 시기. 만 6~12세이다.

200. 한랭기 (寒冷期) [할랭기]

한자: 寒(찰 한), 冷(찰 랭:), 期(기약할 기)

지구의 기온 변화 과정에서 유난히 추운 시기.

용례:

온난기에는 해수면이 상승하고 한랭기에는 해수면이 하강한다.

201. 항문기 (肛門期) [항문기]

한자: 肛(항문 항), 門(문 문), 期(기약할 기)

항문의 자극에서 성적 쾌감을 느끼는 시기. 정신 분석에서 어린이 성욕 발달 단계의 하나로, 생후 8개월부터 4세까지의 시기이다.

202. 해동기 (解凍期) [해:동기]

한자: 解(풀 해:), 凍(얼 동:), 期(기약할 기)

얼었던 것이 녹아서 풀리는 시기.

용례:

  • 눈이 많은 고장이라 해동기나 되어야 겨우 읍내로 나갈 수 있다.
  • 문제는 집 철거가 문젠데 서양 애들은 경우가 밝으니까 내년 해동기까지 미뤄 놔도 되는 거고…….≪이문구, 장한몽≫

203. 해빙기 (解氷期) [해:빙기]

한자: 解(풀 해:), 氷(얼음 빙), 期(기약할 기)

「1」얼음이 녹아 풀리는 때.
「2」서로 대립 중이던 세력 사이의 긴장이 완화되는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몇 년 전까지만 해도 해빙기나 장마철에는 강물이 범람하고 길이 끊어지기가 일쑤였다.
  • 「2」정치적인 해빙기를 맞이하다.
  • 「2」근래에 해빙기를 맞아 지워진 이름들과 그들이 남긴 작품이 거의 복원되는 걸 보고 그의 글도 있나 유심히 살펴보았지만….≪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204. 형기 (刑期) [형기]

한자: 刑(형벌 형), 期(기약할 기)

형벌의 집행 기간.

용례:

  • 형기를 마치다.
  • 형기를 채우다.
  • 형기가 아직도 많이 남았다.
  • 탈옥을 기도했던 죄로 삼사 년 형기가 더 연장되겠지.≪최인호, 지구인≫

205. 형성기 (形成期) [형성기]

한자: 形(모양 형), 成(이룰 성), 期(기약할 기)

어떤 사물이 형성되는 시기나 그 기간.

용례:

  • 작가는 소설에서 자본주의 형성기의 모순과 인간 군상을 포착하려 하였다.
  • 내가 청년 시절에 집을 떠나 생활한 십여 년이 오늘날 내 가치관의 형성기였다고 할 수 있다.

206. 호기 (好期) [호:기]

한자: 好(좋을 호:), 期(기약할 기)

좋은 시기.

용례:

그는 아무것도 이루지 못하고 호기를 다 보내고 말았다.

207. 호시기 (好時期) [호:시기]

한자: 好(좋을 호:), 時(때 시), 期(기약할 기)

좋은 시기.

용례:

가을을 독서의 호시기라고들 말하지만 한여름 나무 그늘 아래에서 찬물에 발을 담그고 책을 읽는 즐거움을 누가 알 것인가?

208. 혹한기 (酷寒期) [호칸기]

한자: 酷(심할 혹), 寒(찰 한), 期(기약할 기)

몹시 심한 추위가 있는 시기.

용례:

혹한기 훈련을 실시하다.

209. 혼기 (婚期) [혼기]

한자: 婚(혼인할 혼), 期(기약할 기)

혼인하기에 알맞은 나이.

용례:

  • 혼기가 차다.
  • 혼기를 놓치다.
  • 혼기가 다 된 딸을 둔 부모로서는 마음이 급하지 않을 수 없다.
  • 가난한 데다가 얼굴까지 얽둑얽둑 얽었으니 혼기가 넘도록 데려가겠다는 남자가 없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210. 혼란기 (混亂期) [홀:란기]

한자: 混(섞을 혼:), 亂(어지러울 란:), 期(기약할 기)

뒤죽박죽이 되어 어지럽고 질서가 없는 시기.

용례:

  • 사회의 혼란기.
  • 통일 왕조가 망하고 전국은 혼란기에 빠졌다.
  •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고 이런 혼란기에는 처신을 조심해야지.≪박경리, 토지≫

211. 환절기 (換節期) [환:절기]

한자: 換(바꿀 환:), 節(마디 절), 期(기약할 기)

철이 바뀌는 시기.

용례:

  • 환절기에는 감기가 걸리기 쉽다.
  • 환절기의 스산한 기류를 타고 낮게 드리워져 있는 하늘은 아직도 물기를 머금은 듯했다.≪이동하, 도시의 늪≫

212. 황금기 (黃金期) [황금기]

한자: 黃(누를 황), 金(쇠 금), 期(기약할 기)

절정에 올라 가장 좋은 시기.

용례:

  • 인생의 황금기가 지나가다.
  • 초창기의 성악가 홍성숙은 그 희귀 가치 때문에 존재했고 화려한 황금기를 누렸다.≪박경리, 토지≫

213. 황체기 (黃體期) [황체기]

한자: 黃(누를 황), 體(몸 체), 期(기약할 기)

여성의 월경 주기에서 황체가 형성되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기간.

214. 황혼기 (黃昏期) [황혼기]

한자: 黃(누를 황), 昏(어두울 혼), 期(기약할 기)

「1」해가 지고 어스름해지는 무렵.
「2」사람의 생애나 나라의 운명 따위가 한창인 고비를 지나 쇠퇴하여 종말에 가까운 때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로마 제국의 황혼기.
  • 「2」황혼기에 접어든 인생.
  • 「2」인생의 황혼기를 맞다.

215. 회기 (會期) [회:기]

한자: 會(모일 회:), 期(기약할 기)

「1」개회로부터 폐회까지의 기간.
「2」회합하는 시기.
「3」국회가 개회한 때부터 폐회할 때까지의 기간. 정기회는 100일, 임시회는 30일이다.

용례:

  • 「1」회기를 3일 연장하다.
  • 「1」결국 낙엽들은 다시 제자리에 걸리고, 개인전은 예정의 회기를 다 마치고 끝났다.≪장용학, 위사가 보이는 풍경≫

216. 회복기 (回復期) [회복끼]

한자: 回(돌아올 회), 復(회복할 복), 期(기약할 기)

「1」건강 따위가 원래의 상태로 차차 나아져 가는 시기.
「2」경제 활동의 상태가 차차 나아져 가는 시기.

용례:

  • 「1」병을 앓다가 기적으로 회복기에 든 병자가 모든 것에 고마움을 느끼는 것과 같은 얼굴이었다.≪박경리, 토지≫
  • 「1」20일을 병원에 갇혀 살다가 바깥으로 나오니 회복기의 환자답게 가벼운 현기증을 느끼고 피곤하기도 했지만 기분은 좋았다.≪안정효, 하얀 전쟁≫
  • 「2」불황이었던 경제가 투자 심리 확대로 회복기에 접어들고 있다.

217. 후기 (後期) [후:기]

한자: 後(뒤 후:), 期(기약할 기)

「1」일정 기간을 둘이나 셋으로 나누었을 때의 맨 뒤 기간.
「2」뒷날의 기약.
「3」유사 분열에서, 중기와 말기 사이의 시기. 반수의 염색체나 상동 염색체가 분리하여 양극으로 이동하는 시기를 가리킨다.

용례:

  • 「1」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실학사상이 한층 더 고조되었다.
  • 「1」의사인 동렬의 설명에 의하면 이러한 가벼운 증상들은 후기 임부(妊婦)들의 공통적인 증상이라 한다.≪홍성원, 육이오≫
  • 「2」후기를 믿다.

218. 후반기 (後半期) [후:반기]

한자: 後(뒤 후:), 半(반(半) 반:), 期(기약할 기)

한 시기를 반씩 둘로 나눈 것의 뒤쪽 기간.

용례:

  • 20세기 후반기에 풍미했던 문학 사상.
  • 이미 삼십 대도 후반기에 들어선 우리들은 마치 소풍 가는 아이들처럼 시시덕거리며 어렸을 때의 추억들을 더듬었다.≪최일남, 서울 사람들≫

219. 휴식기 (休息期) [휴식끼]

한자: 休(쉴 휴), 息(쉴 식), 期(기약할 기)

하던 행동을 멈추고 쉬는 시기.

220. 흥분기 (興奮期) [흥분기]

한자: 興(일[盛] 흥(:)), 奮(떨칠 분:), 期(기약할 기)

흥분하는 시기.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期 기약할 기 - 4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期 기약할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