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己 몸 기

1. 결기 (潔己) [결기]

한자: 潔(깨끗할 결), 己(몸 기)

자기 몸을 깨끗이 함.

2. 극기 (克己) [극끼]

한자: 克(이길 극), 己(몸 기)

자기의 감정이나 욕심, 충동 따위를 이성적 의지로 눌러 이김.

용례:

  • 극기 훈련.
  • 극기랍시고, 이곳 보통학교의 일인 교사는 한겨울 생도들에게 양말 안 신기를 강행했다던가요?≪박경리, 토지≫

3. 대기 (大己) [대:기]

한자: 大(큰 대(:)), 己(몸 기)

승려들이 자기보다 계(戒)를 받은 나이가 오 년 이상인 승려를 높여 이르는 말.

4. 비기 (肥己) [비:기]

한자: 肥(살찔 비:), 己(몸 기)

자기 몸만 이롭게 함.

5. 수기 (修己) [수기]

한자: 修(닦을 수), 己(몸 기)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음.

6. 애기 (愛己) [애:기]

한자: 愛(사랑 애(:)), 己(몸 기)

자기를 사랑함.

7. 율기 (律己) [율기]

한자: 律(법칙 률), 己(몸 기)

「1」안색을 바로잡아 엄정히 함.
「2」자기 자신을 단속함.

용례:

「1」제일 나이 어린 이 부위(副尉)가 잔뜩 율기를 내어 씹어뱉듯 말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8. 이기 (利己) [이:기]

한자: 利(이할 리:), 己(몸 기)

자기 자신의 이익만을 꾀함.

용례:

나는 내 철면피한 이기가 구역질이 나서 침을 뱉었다.≪김성동, 만다라≫

9. 일기 (一己) [일기]

한자: 一(한 일), 己(몸 기)

자기 한 몸.

10. 자기 (自己) [자기]

한자: 自(스스로 자), 己(몸 기)

[Ⅰ]「1」그 사람 자신.
[Ⅰ]「2」대상의 세계와 구별된 인식ㆍ행위의 주체이며, 체험 내용이 변화해도 동일성을 지속하여, 작용ㆍ반응ㆍ체험ㆍ사고ㆍ의욕의 작용을 하는 의식의 통일체.
[Ⅱ]앞에서 이미 말하였거나 나온 바 있는 사람을 도로 가리키는 삼인칭 대명사.

용례:

  • [Ⅰ]「1」자기 방치.
  • [Ⅰ]「1」자기 본위.
  • [Ⅰ]「1」자기 위주.
  • [Ⅰ]「1」자기를 극복하다.
  • [Ⅱ]철수는 자기가 가겠다고 했다.
  • [Ⅱ]그는 뭐든지 자기 고집대로 한다.
  • [Ⅱ]아들은 집에 들어오자마자 자기 방으로 들어갔다.
  • [Ⅱ]누나는 자기 일에 항상 최선을 다한다.
  • [Ⅱ]소영은 벌떡 마루 끝에서 일어선 채 잠시 멍한 표정으로 자기 귀를 의심했다.≪홍성원, 육이오≫

11. 절기 (切己) [절기]

한자: 切(끊을 절), 己(몸 기)

자기에게 꼭 필요한 일.

12. 지기 (知己) [지기]

한자: 知(알 지), 己(몸 기)

자기의 속마음을 참되게 알아주는 친구.

용례:

  • 막역한 지기.
  • 그는 지기가 많다.
  • 그는 지기를 위해서는 자기 몸을 기꺼이 희생하겠다고 말하였다.
  • 나는 귀국에서 십수 권의 저서를 내고 귀국의 문화인, 예술인들 사이에 약간의 지기를 가진 사람입니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 우리 오늘, 옛 지기들이 만난 것을 기념하여 좋은 술을 한잔 합시다.≪호영송, 파하의 안개≫
  • 비록 오늘 저녁 공석에서 처음 대면을 하였건만, 여러 해 사귀어 온 지기와 같이 피차에 반가웠던 것이다.≪심훈, 상록수≫

13. 행기 (行己) [행기]

한자: 行(다닐 행(:)), 己(몸 기)

세상을 살아가는 데 가져야 할 몸가짐이나 행동.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己 몸 기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