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1. 가속기 (加速器) [가속끼]

한자: 加(더할 가), 速(빠를 속), 器(그릇 기)

「1」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 장치.
「2」전자, 양성자, 알파 입자 따위의 하전 입자를 높은 전압이나 자기 유도에 의하여 가속하여 이들 입자의 운동 에너지를 크게 하는 장치. 핵물리학이나 고에너지 소립자 물리학의 실험 연구에서 많이 쓴다.

용례:

「1」가속기를 밟자 차가 서서히 미끄러지듯 움직이기 시작했다.

2. 가습기 (加濕器) [가습끼]

한자: 加(더할 가), 濕(젖을 습), 器(그릇 기)

수증기를 내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전기 기구.

용례:

방이 건조해지지 않도록 가습기를 틀어 놓았다.

3. 각도기 (角度器) [각또기]

한자: 角(뿔 각), 度(법도 도(:)), 器(그릇 기)

각도를 재는 도구. 투명한 반원형의 플라스틱판에 각도를 눈금으로 표시하였다.

4. 간석기 (간石器) [간:석끼]

한자: 石(돌 석), 器(그릇 기)

날 부분이나 온 면을 갈아서 만든 석기. 신석기 시대의 특징적인 석기이다.

용례:

돌도끼, 돌칼 등의 간석기가 우리나라에서도 출토되고 있다.

5. 감속기 (減速器) [감:속끼]

한자: 減(덜 감:), 速(빠를 속), 器(그릇 기)

속도를 줄이는 기구.

6. 감지기 (感知器) [감:지기]

한자: 感(느낄 감:), 知(알 지), 器(그릇 기)

여러 가지 물리량(物理量), 곧 소리ㆍ빛ㆍ온도ㆍ압력 따위를 검출하는 소자(素子). 또는 그 소자를 갖춘 기계 장치.

용례:

  • 화재 감지기.
  • 그 기계에는 도난 방지를 위한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7. 개인화기 (個人火器) [개:인화:기]

한자: 個(낱 개(:)), 人(사람 인), 火(불 화(:)), 器(그릇 기)

군인마다 제각기 간수하여야 하는 총포 따위의 병기.

용례:

  • 개인 화기로 무장하다.
  • 총기로는 개인 화기인 권총, 소총, 자동 소총의 분해와 사격술을 배웠다.≪황석영, 무기의 그늘≫

8. 개폐기 (開閉器) [개폐기]

한자: 開(열 개), 閉(닫을 폐:), 器(그릇 기)

전기 회로를 이었다 끊었다 하는 장치. 보통 전등, 라디오, 텔레비전 따위의 전기 기구를 손으로 올리고 내리거나 누르거나 틀어서 작동하는 부분을 이른다.

9. 거중기 (擧重器) [거:중기]

한자: 擧(들 거:), 重(무거울 중:), 器(그릇 기)

예전에,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데에 쓰던 기계. 주로 큰 건축이나 토목 공사 따위에 썼다.

10. 거품기 (거품器) [거품기]

한자: 器(그릇 기)

달걀, 크림 따위를 저어서 거품을 내거나 섞을 때 쓰는 기구.

용례:

  • 달걀흰자를 거품기로 저어서 하얗게 거품을 냈다.
  • 오목한 그릇에 흰 후추, 소금, 식용유, 양파즙, 식초 따위를 넣고 거품기로 골고루 섞었다.

11. 건반악기 (鍵盤樂器) [건:바낙끼]

한자: 鍵(자물쇠/열쇠 건:), 盤(소반 반), 樂(노래 악), 器(그릇 기)

건반을 가진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오르간, 피아노, 쳄발로 따위가 있다.

12. 건악기 (鍵樂器) [거:낙끼]

한자: 鍵(자물쇠/열쇠 건:), 樂(노래 악), 器(그릇 기)

건반을 가진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오르간, 피아노, 쳄발로 따위가 있다.

13. 건조기 (乾燥器) [건조기]

한자: 乾(하늘/마를 건), 燥(마를 조), 器(그릇 기)

물체에 있는 물기를 말리는 장치. 가열하거나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방법, 물기를 흡수하는 약제를 쓰는 방법 따위가 있다.

용례:

  • 식기 건조기.
  • 건조기에서 나오는 뜨거운 바람이 금세 손의 물기를 없애 주었다.

14. 검온기 (檢溫器) [거:몬기]

한자: 檢(검사할 검:), 溫(따뜻할 온), 器(그릇 기)

체온을 재는 데 쓰는 온도계. 수은의 팽창을 이용한 일종의 최고 온도계로, 겨드랑이나 혀 밑의 온도를 재는 보통의 체온계 외에 기초 체온계, 항문 체온계 따위가 있으며, 측정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에 따라 1분계, 3분계, 5분계 따위가 있다.

용례:

병인 하나 외에는 하늘이 무너져도 눈 하나 깜짝할 일이라고는 없다고 일심 정력을 병인의 숨소리와 검온기에 모으고 있는 것이다.≪염상섭, 삼대≫

15. 검조기 (檢潮器) [검:조기]

한자: 檢(검사할 검:), 潮(밀물/조수 조), 器(그릇 기)

밀물과 썰물에 의한 해수면의 오르내림을 측정하는 장치.

용례:

조위의 시간적 변화를 검조기로 기록했다.

16. 경보기 (警報器) [경:보기]

한자: 警(깨우칠 경:), 報(갚을/알릴 보:), 器(그릇 기)

갑작스러운 사고나 위험을 광선이나 음향 따위를 이용하여 알리는 장치.

용례:

  • 도난 경보기.
  • 경보기가 울리다.
  • 화재를 대비하여 경보기를 설치했다.

17. 계기 (計器) [계:기]

한자: 計(셀 계:), 器(그릇 기)

길이, 면적, 무게, 양 따위나 온도, 시간, 강도 따위를 재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그 배는 여러 가지 항해 계기와 선내 통신 설비 따위를 갖추고 있다.
  • 비행기가 계기의 고장으로 항로를 이탈하였다.

18. 계량기 (計量器) [계:량기]

한자: 計(셀 계:), 量(헤아릴 량), 器(그릇 기)

「1」수량을 헤아리는 데 쓰는 기구.
「2」부피, 무게 따위를 재는 데 쓰는 기구.

용례:

  • 「1」수도 계량기.
  • 「1」전열기를 많이 쓸 때는 계량기가 빠르게 돌아간다.
  • 「1」다세대 주택의 경우 계량기가 집집마다 설치돼 있어 예전처럼 전기세를 나누어 내지 않는다.
  • 「2」아직도 우리 가정에서는 계량기로 정확히 측정해 조리하는 습관이 생활화되어 있지 않다.

19. 계산기 (計算器) [계:산기]

한자: 計(셀 계:), 算(셈 산:), 器(그릇 기)

여러 가지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機器). 수판, 계산자, 면적계, 전자계산기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 상업 실무 계산에서는 수판 외에도 여러 가지 계산기가 이용된다.
  • 카운터의 아가씨는 익숙한 솜씨로 계산기를 딱딱 치곤 종이 조각을 끄집어내더니 “만 3천 원이에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20. 계산기 (計算器) [계:산기]

한자: 計(셀 계:), 算(셈 산:), 器(그릇 기)

여러 가지 계산을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기(機器). 수판, 계산자, 면적계, 전자계산기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용례:

  • 상업 실무 계산에서는 수판 외에도 여러 가지 계산기가 이용된다.
  • 카운터의 아가씨는 익숙한 솜씨로 계산기를 딱딱 치곤 종이 조각을 끄집어내더니 “만 3천 원이에요.”≪이병주, 행복어 사전≫

21. 계수기 (計數器) [계:수기]

한자: 計(셀 계:), 數(셈 수:), 器(그릇 기)

「1」주화(鑄貨) 따위를 세는 기구.
「2」수(數)의 기본 관념을 심어 주는 데 쓰는 학습 용구. 작은 알들을 몇 개의 쇠줄에 꿰어 놓은 것이다.
「3」입력 펄스의 수를 계산하는 회로. 제어 신호를 받을 때마다 자동적으로 내용이 ‘+1’ 또는 ‘-1’이 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상향식 계수기와 하향식 계수기가 있다.
「4」계수기를 조합하여 구성한 회로.

22. 계측기 (計測器) [계:측끼]

한자: 計(셀 계:), 測(헤아릴 측), 器(그릇 기)

시간이나 물건의 양 따위를 재는 데 쓰는 기구.

용례:

  • 지진 계측기.
  • 병원에서 진료할 때에는 흔히 심전도나 혈압 등을 검사하는 계측기를 이용한다.

23. 고려자기 (高麗瓷器) [고려자기]

한자: 高(높을 고), 麗(고울 려), 瓷(사기그릇 자), 器(그릇 기)

고려 시대에 만든 자기. 태토(胎土), 유약과 소량의 철분을 섞어 조각과 상감으로 꾸며 만들었다. 푸른빛, 흰빛, 회색빛 따위의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 가운데에서 청자(靑瓷)는 무늬와 빛깔이 아름답고 예술적 가치가 높아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24. 고성기 (高聲器) [고성기]

한자: 高(높을 고), 聲(소리 성), 器(그릇 기)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들리게 하는 기구.

25. 공기 (公器) [공기]

한자: 公(공평할 공), 器(그릇 기)

「1」사회의 구성원 전체가 이용하는 도구.
「2」공공성을 띤 기관이나 관직을, 사회의 개개인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르는 말. 신문이나 방송 같은 언론 기관 등이 이에 속한다.

용례:

「2」신문이 사회의 공기로서 제 역할을 다할 때 진정한 언론 매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26. 공기 (空器) [공기]

한자: 空(빌 공), 器(그릇 기)

「1」아무것도 담겨 있지 않은 그릇.
「2」위가 넓게 벌어지고 밑이 좁은 작은 그릇. 주로 밥을 담아 먹는 데에 쓴다.
「3」밥 따위를 ‘「2」’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용례:

  • 「1」찌개를 공기에 덜어 먹다.
  • 「2」가족 수에 맞춰 공기와 대접을 새로 장만했다.
  • 「3」얼마나 굶주렸던지 그는 밥 세 공기를 단숨에 먹어 치웠다.
  • 「3」쌀을 한 공기씩 가져오기로 하였다.

27. 공기정화기 (空氣淨化器) [공기정화기]

한자: 空(빌 공), 氣(기운 기), 淨(깨끗할 정), 化(될 화(:)), 器(그릇 기)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습식 집진기, 정전식 집진기, 필터 따위가 있다.

28. 공기청정기 (空氣淸淨器) [공기청정기]

한자: 空(빌 공), 氣(기운 기), 淸(맑을 청), 淨(깨끗할 정), 器(그릇 기)

공기 속의 먼지나 세균 따위를 걸러 내어 공기를 깨끗하게 하는 장치를 통틀어 이르는 말. 습식 집진기, 정전식 집진기, 필터 따위가 있다.

29. 공용화기 (共用火器) [공:용화:기]

한자: 共(한가지 공:), 用(쓸 용:), 火(불 화(:)), 器(그릇 기)

부대의 공동 임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화기. 기관총, 박격포 따위가 있다.

용례:

군사 정보부는 대전차 공용 화기가 없다고 허위 진술했다고 하여 월맹군 중위를 사살해 버렸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30. 공조기 (空調器) [공조기]

한자: 空(빌 공), 調(고를 조), 器(그릇 기)

‘공기 조절기’(기계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의 온도나 습도 따위의 공기 상태를 알맞게 조절하는 기구.)를 줄여 이르는 말.

용례:

  • 자동차 공조기.
  • 공조기를 가동하다.

31. 관악기 (管樂器) [과낙끼]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樂(노래 악), 器(그릇 기)

입으로 불어서 관 안의 공기를 진동시켜 소리를 내는 악기. 목관 악기와 금관 악기의 두 가지가 있다.

용례:

  • 재즈는 색소폰, 트롬본 따위의 관악기를 위주로 연주한다.
  • 운명을 확정하는 관악기들의 둔중한 금속성 배경음이 울리고 있었다.≪이인성, 그 세월의 무덤≫

32. 관측기 (觀測器) [관측끼]

한자: 觀(볼 관), 測(헤아릴 측), 器(그릇 기)

천체나 기상 따위를 관측하는 데 쓰는 기구. 망원경, 쌍안경 따위가 있다.

33. 교육기기 (敎育機器) [교:육끼기]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機(틀 기), 器(그릇 기)

교육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용하는 기계나 기구. 녹음기, 컴퓨터, 환등기 따위가 있다.

34. 구석기 (舊石器) [구:석끼]

한자: 舊(예 구:), 石(돌 석), 器(그릇 기)

인류가 만들어 쓴 뗀석기. 주먹 도끼, 찍개, 찌르개 따위의 사냥 도구와 긁개, 밀개 따위의 조리 도구가 있다.

35. 국악기 (國樂器) [구각끼]

한자: 國(나라 국), 樂(노래 악), 器(그릇 기)

국악에 쓰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장구, 거문고, 가야금 따위이다.

36. 군기 (軍器) [군기]

한자: 軍(군사 군), 器(그릇 기)

전쟁에 쓰는 도구나 기구.

용례:

  • 군기 창고.
  • 군기를 소지하다.
  • 군기를 공급하다.
  • 군기를 탈취하다.
  • 장군은 장인들을 불러 활과 창과 칼을 더욱 만들어 군기를 풍부하게 보급하도록 하고….≪박종화, 임진왜란≫

37. 군악기 (軍樂器) [구낙끼]

한자: 軍(군사 군), 樂(노래 악), 器(그릇 기)

군악을 연주하는 데 쓰는 악기. 주로 취주(吹奏) 악기와 타악기를 사용한다.

38. 금관악기 (金管樂器) [금관악끼]

한자: 金(쇠 금), 管(대롱/주관할 관), 樂(노래 악), 器(그릇 기)

쇠붙이로 만든 관악기. 관의 한끝으로 숨을 불어 넣어 연주자의 두 입술의 진동으로 소리를 내는 악기로, 이에는 트럼펫, 트롬본, 호른 따위가 있다.

39. 금전등록기 (金錢登錄器) [금전등록끼]

한자: 金(쇠 금), 錢(돈 전:), 登(오를 등), 錄(기록할 록), 器(그릇 기)

상품 판매의 현금 거래에서, 내용을 표시ㆍ합산하여 기록하고 현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는 기계.

용례:

예전에는 전표를 직접 기록했기 때문에 금전 출납 여부가 불투명했지만, 최근에는 자동화된 상품 판독기나 금전 등록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예전에 비해 금전 출납 여부가 훨씬 투명해졌다.

40. 기기 (機器) [기기]

한자: 機(틀 기), 器(그릇 기)

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음향 기기.
  • 컴퓨터 기기.
  • 여러 종류의 사무 자동화 기기의 등장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훨씬 손쉬워졌다.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