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기기 (機器) [기기]
한자: 機(틀 기), 器(그릇 기)
기구, 기계(機械), 기계(器械)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음향 기기.
- 컴퓨터 기기.
- 여러 종류의 사무 자동화 기기의 등장으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이 훨씬 손쉬워졌다.
42. 나전칠기 (螺鈿漆器) [나전칠기]
한자: 螺(소라 라(나)), 鈿(비녀 전), 漆(옻 칠), 器(그릇 기)
광채가 나는 자개 조각을 여러 가지 모양으로 박아 넣거나 붙인 칠기.
43. 내부생식기 (內部生殖器) [내:부생식끼]
한자: 內(안 내:), 部(떼 부), 生(날 생), 殖(불릴 식), 器(그릇 기)
생식 기관 가운데 몸 안에 있어서, 몸 밖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부분. 남성에게는 고환,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샘 따위가 있고, 여성에게는 난소, 자궁관, 자궁 따위가 있다.
44. 내분비기 (內分泌器) [내:분비기]
한자: 內(안 내:), 分(나눌 분(:)), 泌(분비할 비:), 器(그릇 기)
‘내분비샘’(분비물을 도관(導管)을 거치지 아니하고 직접 몸속이나 핏속으로 보내는 샘. 부신(副腎), 뇌하수체, 갑상샘, 생식샘 따위가 있다.)을 몸의 다른 여러 기관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5. 내성기 (內性器) [내:성기]
한자: 內(안 내:), 性(성품 성:), 器(그릇 기)
생식 기관 가운데 몸 안에 있어서, 몸 밖으로 드러나지 아니하는 부분. 남성에게는 고환,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샘 따위가 있고, 여성에게는 난소, 자궁관, 자궁 따위가 있다.
46. 냉각기 (冷却器) [냉:각끼]
한자: 冷(찰 랭:), 却(물리칠 각), 器(그릇 기)
「1」기관의 과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나 물을 이용하는 냉각 장치.
「2」물체를 냉각하는 기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공업용으로 쓰는 열 교환기나 기관의 과열을 방지하는 장치 따위가
있다.
「3」냉매가 액화하면서 주위에 열을 발산하는 증기 응축기.
47. 냉온풍기 (冷溫風器) [냉:온풍기]
한자: 冷(찰 랭:), 溫(따뜻할 온), 風(바람 풍), 器(그릇 기)
「1」냉풍기와 온풍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2」냉풍과 온풍을 다 낼 수 있는 기계.
48. 냉풍기 (冷風器) [냉:풍기]
한자: 冷(찰 랭:), 風(바람 풍), 器(그릇 기)
찬 바람을 만들어 실내를 서늘하게 해 주는 기계.
49. 녹음기 (錄音器) [노금기]
한자: 錄(기록할 록), 音(소리 음), 器(그릇 기)
소리를 담아 두거나 담아 둔 소리를 다시 들을 수 있게 만든 기계.
용례:
- 녹음기로 녹음을 하다.
- 새소리를 채집하여 녹음기에 담았다.
50. 다기 (茶器) [다기]
한자: 茶(차 다), 器(그릇 기)
「1」차를 달여 마시는 데에 쓰는 여러 기물. 이에는 차관, 찻종, 찻숟가락 따위가 있다.
「2」부처 앞에 맑은 물을 떠 놓는 그릇.
용례:
「1」다반에 다기를 올려놓다.
51. 대기 (大器) [대:기]
한자: 大(큰 대(:)), 器(그릇 기)
「1」큰 그릇.
「2」큰일을 할 만한 뛰어난 인재.
「3」임금의 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2」이 소년은 아직은 미완의 대기이지만 가능성이 크다.
52. 덕기 (德器) [덕끼]
한자: 德(큰 덕), 器(그릇 기)
어질고 너그러운 도량과 재능. 또는 그것을 지닌 사람.
용례:
우리 형님은 덕기가 헤아릴 수 없이 크고, 깊은 학식과 밝은 식견을 가지고 계셨어.≪한무숙, 만남≫
53. 도기 (陶器) [도기]
한자: 陶(질그릇 도), 器(그릇 기)
진흙으로 만들어 볕에 말리거나 약간 구운 다음, 유약을 입혀 다시 구운 그릇. 기초 재료가 되는 흙이 중간 강도이며 불투명성을 띤다. 굽는 온도는 1,100~1,250℃이다. 주로 욕조, 건축 자재, 장식품, 그릇 따위로 쓰인다. 넓은 의미로는 자기, 질그릇 따위도 포함한다.
용례:
- 도기를 빚다.
- 지금 붓을 들고 도기 위에 구름과 한 쌍의 학을 그려 보고 있는 최술의 이마엔 땀방울이 솟아 있었다.≪정한숙, 백자 도공 최술≫
54. 도자기 (陶瓷器) [도자기]
한자: 陶(질그릇 도), 瓷(사기그릇 자), 器(그릇 기)
도기(陶器), 자기(瓷器), 사기(沙器), 질그릇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점토에 장석, 석영 따위의 가루를 섞어 성형, 건조, 소성(燒成)한 제품으로, 소지(素地)의 상태, 소성 온도 따위에 따라 토기, 도기, 석기(炻器), 자기로 나눈다.
용례:
- 도자기 공장.
- 도자기 전시회.
- 도자기 제품.
- 도자기를 빚다.
- 도자기를 굽다.
- 몇 년 전 실제로 어느 도자기 수집가 댁을 방문해서 소장품을 감상하던 중 결손된 부분을 금으로 메운 연적을 구경한 적이 있다.≪박완서, 복원되지 못한 것들을 위하여≫
55. 둔기 (鈍器) [둔:기]
한자: 鈍(둔할 둔:), 器(그릇 기)
「1」무딘 연모나 병기.
「2」날이 없는 도구. 사람을 상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몽둥이나 벽돌 따위를 이르는 말이다.
용례:
- 「2」둔기로 내리치다.
- 「2」둔기를 휘두르다.
- 「2」둔기에 얻어맞다.
- 「2」머리를 무언가 둔중한 둔기로 한 대 얻어맞은 듯 띵해지고 있었다.≪최인호, 잠자는 신화≫
56. 마제석기 (磨製石器) [마제석끼]
한자: 磨(갈 마), 製(지을 제:), 石(돌 석), 器(그릇 기)
날 부분이나 온 면을 갈아서 만든 석기. 신석기 시대의 특징적인 석기이다.
57. 면도기 (面刀器) [면:도기]
한자: 面(낯 면:), 刀(칼 도), 器(그릇 기)
면도할 수 있도록 만든 기구.
용례:
그는 아침마다 면도기로 수염을 깎는다.
58. 멸균기 (滅菌器) [멸균기]
한자: 滅(꺼질/멸할 멸), 菌(버섯 균), 器(그릇 기)
높은 열과 압력, 가스 따위로 물체에 존재하는 균을 완전히 없애 무균 상태로 만드는 기기.
59. 명기 (名器) [명기]
한자: 名(이름 명), 器(그릇 기)
「1」진귀한 그릇. 또는 이름난 기명(器皿).
「2」어떤 직위와 그에 따르는 수레나 옷이라는 뜻으로, 벼슬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그 같은 흙으로 하마다 씨는 수만 원에서 수십만까지 가는 명기들을 구워 낸다.≪김소운, 일본의 두 얼굴≫
- 「2」명기는 임금이 어진 이를 대우하고 공을 상 주는 것이니, 중하게 여기지 아니할 수 없는 것입니다.≪번역 태조실록≫
60. 목관악기 (木管樂器) [목꽈낙끼]
한자: 木(나무 목), 管(대롱/주관할 관), 樂(노래 악), 器(그릇 기)
나무로 만든 관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기원ㆍ구조ㆍ발음 원리가 같은 플루트, 클라리넷, 오보에 따위의 금속제 관악기도 이에 포함된다. 이것은 다시 리드(reed)를 사용하는 것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눈다.
61. 목기 (木器) [목끼]
한자: 木(나무 목), 器(그릇 기)
「1」나무로 만든 그릇.
「2」떡이나 두부 따위를 ‘「1」’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용례:
- 「1」목기를 깎아 만들다.
- 「1」목기에 밤을 쏟아 놓다.
- 「2」떡 한 목기.
- 「2」두부 다섯 목기.
62. 무기 (武器) [무:기]
한자: 武(호반 무:), 器(그릇 기)
「1」전쟁이나 싸움에 사용되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어떤 일을 하거나 이루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나 도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1」무기를 소지하다.
- 「1」새로운 무기를 개발하다.
- 「1」군인은 항상 무기를 잘 관리해야 한다.
- 「2」권력을 무기 삼아 폭력을 휘두르다.
- 「2」그녀는 자신의 뛰어난 사교술을 큰 무기로 여기고 있다.
63. 민무늬토기 (민무늬土器) [민무니토기]
한자: 土(흙 토), 器(그릇 기)
청동기 시대에 사용한 무늬 없는 토기. 지역에 따라 팽이형 토기, 미송리식 토기, 화분형 토기 따위가 있으며 빛깔은 붉은 갈색이다.
64. 반기 (飯器) [반기]
한자: 飯(밥 반), 器(그릇 기)
밥을 담는 그릇.
용례:
나무 반기.
65. 반상기 (飯床器) [반상기]
한자: 飯(밥 반), 床(상 상), 器(그릇 기)
격식을 갖추어 밥상 하나를 차리도록 만든 한 벌의 그릇. 사기나 놋쇠 따위로 만들며, 주발ㆍ대접ㆍ쟁반ㆍ탕기ㆍ조칫보ㆍ보시기ㆍ종지 따위를 기본으로 하고 쟁첩의 수에 따라 3첩ㆍ5첩ㆍ7첩ㆍ9첩 등으로 구별하고, 대접과 쟁반 외에는 모두 뚜껑이 있다.
66. 밥공기 (밥空器) [밥꽁기]
한자: 空(빌 공), 器(그릇 기)
밥을 담아 먹는 데 쓰는 작은 그릇.
용례:
- 밥공기에 밥을 가득 푸다.
- 정순이가 네 번 밥공기를 비우는 동안 지영은 간신히 한 공기 밥으로 저녁을 끝낸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67. 방열기 (放熱器) [방:열기]
한자: 放(놓을 방(:)), 熱(더울 열), 器(그릇 기)
「1」증기나 온수의 열을 발산하여 공기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 장치.
「2」내연 기관 따위에서 발생한 열을 발산하는 냉각 장치.
68. 배수기 (排水器) [배수기]
한자: 排(밀칠 배), 水(물 수), 器(그릇 기)
물을 퍼내는 데 쓰는 기계. 배수펌프 따위를 이른다.
용례:
- 장마철이 시작되면서 배수기를 점검했다.
- 이 지역은 조금만 비가 와도 침수되는 곳이지만 예산 부족으로 배수기를 설치하지 못하고 있다.
69. 배출기 (排出器) [배출기]
한자: 排(밀칠 배), 出(날[生] 출), 器(그릇 기)
안에서 밖으로 내보내거나 뽑아내는 기구.
용례:
- 가스 배출기.
- 오염 물질 배출기.
- 배출기가 작동하지 않아 사고가 났다.
70. 백자기 (白瓷器) [백짜기]
한자: 白(흰 백), 瓷(사기그릇 자), 器(그릇 기)
순백색의 바탕흙 위에 투명한 유약을 발라 구워 만든 자기. 청자에 비하여 깨끗하고 담백하며 검소한 아름다움을 풍긴다.
용례:
천지신명께 축원을 드려서 빌던 백자기 옥수 사발이 깨끗한 물을 담은 채 소반에 받쳐져서 고요히 놓여 있다.≪박종화, 임진왜란≫
71. 변기 (便器) [변기]
한자: 便(똥오줌 변), 器(그릇 기)
「1」똥이나 오줌을 누도록 만든 기구.
「2」똥이나 오줌을 받아 내는 그릇.
용례:
- 「1」변기에 소변을 보다.
- 「1」조그만 욕실이었는데 때가 낀 욕조가 하나, 세면기 하나, 그리고 변기가 보였다.≪조해일, 왕십리≫
- 「2」어머니는 병으로 누워 계신 할아버지의 대소변을 변기로 받아 내셨다.
72. 변압기 (變壓器) [벼:납끼]
한자: 變(변할 변:), 壓(누를 압), 器(그릇 기)
전자 상호 유도 작용을 이용하여 교류 전압을 높이거나 낮추는 장치. 교류 전원의 종류에 따라 단상 변압기, 삼상 변압기가 있고, 철심과 권선 구조에 따라 내철형 변압기, 외철형 변압기가 있다.
73. 병기 (兵器) [병기]
한자: 兵(병사 병), 器(그릇 기)
전쟁에 쓰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적병들은 다급하니 병기와 마소들을 내버린 채 울산 서생포로 달아나 버린다.≪박종화, 임진왜란≫
74. 병장기 (兵仗器) [병장기]
한자: 兵(병사 병), 仗(의장(儀仗) 장), 器(그릇 기)
예전에, 병사들이 쓰던 온갖 무기.
용례:
- 헛간 안에는 창이며 봉이며 환도며 활이며 철퇴 같은 병장기가 나란히 정돈되어 걸리고 세워져 있었다.≪황석영, 장길산≫
- 성문 양옆에는 화톳불 불빛에 얼굴이 붉게 물든 젊은 장정 넷이 병장기를 들고 수직하고 있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75. 보기 (寶器) [보:기]
한자: 寶(보배 보:), 器(그릇 기)
매우 귀중하고 보배로운 그릇.
용례:
왕릉에는 많은 보기가 묻혀 있었다.
76. 보청기 (補聽器) [보:청기]
한자: 補(기울 보:), 聽(들을 청), 器(그릇 기)
청력이 약하여 잘 들리지 아니하는 것을 보강하는 기구. 소형 마이크 따위를 이용하여 소리를 모으거나 증폭하여 잘 들리게 한다.
용례:
- 귀에 보청기를 꽂다.
- 귀가 어두운 할머니는 보청기를 끼신다.
77. 보행기 (步行器) [보:행기]
한자: 步(걸음 보:), 行(다닐 행(:)), 器(그릇 기)
젖먹이에게 걸음을 익히게 하려고 태우는, 바퀴가 달린 기구.
용례:
- 아기를 보행기에 앉히다.
- 조카는 보행기를 타고 할머니 뒤를 졸졸 따라다녔다.
78. 복사기 (複寫器) [복싸기]
한자: 複(겹칠 복), 寫(베낄 사), 器(그릇 기)
문서, 사진, 계산서 및 각종 자료나 도서를 복사하는 데 쓰는 기계.
79. 부호기 (符號器) [부:호기]
한자: 符(부호 부(:)), 號(이름 호(:)), 器(그릇 기)
「1」입력한 데이터를 다음 처리 단계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부호화하는 장치.
「2」여러 개의 입력 단자와 출력 단자를 갖춘 회로에서 임의의 한 입력 단자에 신호가 가하여졌을 때 그 입력 단자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의 조합에 신호가 나타나게 하는 장치.
80. 부화기 (孵化器) [부화기]
한자: 孵(알깔 부), 化(될 화(:)), 器(그릇 기)
달걀이나 물고기의 알을 인공적으로 까는 기구. 암탉 대신에 적당한 온도를 주어 병아리가 나오게 하며 물고기는 인공 수정을 하여 부화한다.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