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81. 분광기 (分光器) [분광기]

한자: 分(나눌 분(:)), 光(빛 광), 器(그릇 기)

빛 따위 전자파나 입자선을 파장에 따라 스펙트럼 분석하여 그 세기와 파장을 검사하는 장치. 프리즘 분광기, 격자 분광기, 간섭 분광기 따위가 있다.

82. 분무기 (噴霧器) [분:무기]

한자: 噴(뿜을 분), 霧(안개 무:), 器(그릇 기)

「1」물이나 약품 따위를 안개처럼 뿜어내는 도구.
「2」물이나 약물을 안개 모양으로 바꾸어 기도(氣道) 안에 습기를 가하거나 약물을 투여하는 데 쓰는 기구.

용례:

  • 「1」분무기로 화분에 물을 주다.
  • 「1」수박 구덩이에 햇살이 퍼지기가 바쁘게, 팔기는 분무기를 둘러메고 약을 친다.≪김춘복, 쌈짓골≫

83. 분수기 (噴水器) [분:수기]

한자: 噴(뿜을 분), 水(물 수), 器(그릇 기)

압력을 가하여 물이 높이 뿜어 오르게 하는 기구.

용례:

거실에 작은 분수기를 설치하면 장식 효과와 함께 실내 습도 조절을 겸할 수 있다.

84. 비뇨기 (泌尿器) [비:뇨기]

한자: 泌(분비할 비:), 尿(오줌 뇨), 器(그릇 기)

오줌을 만들어 배설하는 기관. 콩팥, 요관, 방광, 요도 따위로 이루어져 있다.

85. 비뇨생식기 (泌尿生殖器) [비:뇨생식끼]

한자: 泌(분비할 비:), 尿(오줌 뇨), 生(날 생), 殖(불릴 식), 器(그릇 기)

비뇨 기관과 생식 기관을 아울러 이르는 말.

86. 비살상무기 (非殺傷武器) [비:살쌍무:기]

한자: 非(아닐 비(:)), 殺(죽일 살), 傷(다칠 상), 武(호반 무:), 器(그릇 기)

사람을 죽이거나 상처를 입히지 않고 상대의 전투력을 무력화하는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전자기장, 초저주파, 그물망 따위를 이용한다.

용례:

비살상 무기는 일시적으로 적을 무력화시키는 기술에서부터 군사 장비를 못 쓰게 만드는 무기까지 다양하다.

87.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土器) [빋쌀무니토기]

한자: 土(흙 토), 器(그릇 기)

표면에 빗살 같은 줄이 새겨지거나 그어져 있는 신석기 시대의 토기. 붉은 찰흙을 이용하여 표면에 빗살 같은 평행선이나 물결 모양을 이룬 점선 따위의 기하학적 무늬를 넣어 얄팍하게 만들었다. 핀란드, 러시아, 몽골, 한국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88. 빙수기 (氷水器) [빙수기]

한자: 氷(얼음 빙), 水(물 수), 器(그릇 기)

빙수를 만드는 기구.

용례:

빙수기로 팥빙수를 만들다.

89. 사기 (沙器) [사기]

한자: 沙(모래 사), 器(그릇 기)

고령토, 장석, 석영 따위의 가루를 빚어서 구워 만든, 희고 매끄러운 그릇. 또는 그 재료로 만든 물건.

용례:

  • 사기 변기.
  • 사기 항아리.
  • 세상 사람들은 흔히 사기를 굽는 비법이나 숨은 이치가 따로 숨어져 있는 줄 알지만….≪이청준, 불을 머금은 항아리≫

90. 사무기기 (事務機器) [사:무기기]

한자: 事(일 사:), 務(힘쓸 무:), 機(틀 기), 器(그릇 기)

사무의 합리화와 능률 향상을 위하여 쓰는 기계. 사무용 컴퓨터, 복사기, 계산기 따위가 있다.

용례:

  • 컴퓨터나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를 갖춘 공용 업무 공간.
  • 사무기기를 대여하다.

91. 산소호흡기 (酸素呼吸器) [산소호흡끼]

한자: 酸(실[味覺] 산), 素(본디/흴[白] 소(:)), 呼(부를 호), 吸(마실 흡), 器(그릇 기)

고압 산소, 압축 공기 따위를 써서 인공적으로 호흡을 조절하여 허파 꽈리에 산소를 불어 넣는 장치. 일정압 또는 일정량의 공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주입하거나 환자의 호흡에 맞추어 불어 넣는다.

92. 살균기 (殺菌器) [살균기]

한자: 殺(죽일 살), 菌(버섯 균), 器(그릇 기)

병원성 미생물 따위의 균을 죽이는 기기.

93. 살수기 (撒水器) [살쑤기]

한자: 撒(뿌릴 살), 水(물 수), 器(그릇 기)

물을 흩어서 뿌리는 기구. 작물이나 잔디에 물을 주는 데 사용하거나, 건물의 천장에 설치하여 실내 온도가 70℃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물을 뿜는 자동 소화 장치로도 사용한다.

용례:

잔디밭에 살수기로 물을 뿌리다.

94. 살파기 (撒播器) [살파기]

한자: 撒(뿌릴 살), 播(뿌릴 파(:)), 器(그릇 기)

씨를 뿌리는 기구.

용례:

살파기를 이용하여 씨를 뿌리니 편리하다.

95. 살포기 (撒布器) [살포기]

한자: 撒(뿌릴 살), 布(베/펼 포(:)), 器(그릇 기)

가루나 액체 따위를 흩어 뿌리는 데 쓰는 기구.

용례:

마을 사람들은 살포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치고 있다.

96. 살포기 (撒布器) [살포기]

한자: 撒(뿌릴 살), 布(베/펼 포(:)), 器(그릇 기)

가루나 액체 따위를 흩어 뿌리는 데 쓰는 기구.

용례:

마을 사람들은 살포기를 이용하여 농약을 치고 있다.

97. 생식기 (生殖器) [생식끼]

한자: 生(날 생), 殖(불릴 식), 器(그릇 기)

생물의 생식에 관여하는 기관. 동물에는 1차적인 기관으로 생식샘인 정소ㆍ난소가 있고, 2차적인 기관으로 전립샘ㆍ정관ㆍ자궁관ㆍ음경ㆍ자궁ㆍ질 따위가 있다. 식물에는 유성 생식에서 암술ㆍ수술ㆍ장정기(藏精器)ㆍ장란기(藏卵器)가 있으며 무성 생식에는 홀씨주머니가 있다.

용례:

아버지라는 사람은 생식기가 종족 보존에만 사용되는 물건이 아님도 알고 있었고….≪김원우, 짐승의 시간≫

98. 석기 (石器) [석끼]

한자: 石(돌 석), 器(그릇 기)

돌로 만든 여러 가지 생활 도구. 주로 선사 시대에 만들어진 돌 접시, 돌살촉, 돌도끼, 귀고리 따위의 유물을 이른다.

용례:

  • 선사 시대 유적지에서 다량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 청동기 시대에는 청동으로 도구를 만들기 시작했을 뿐 아니라 석기 제작 기술도 이전에 비해 발전했다.

99. 성기 (性器) [성:기]

한자: 性(성품 성:), 器(그릇 기)

‘생식 기관’(생물의 생식에 관여하는 기관.)을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

100. 세면기 (洗面器) [세:면기]

한자: 洗(씻을 세:), 面(낯 면:), 器(그릇 기)

세면하기 위한 물을 담는 그릇.

용례:

세면기에 따뜻한 물을 받다.

101. 세척기 (洗滌器) [세:척끼]

한자: 洗(씻을 세:), 滌(씻을 척), 器(그릇 기)

상처, 코, 위, 장, 방광, 요도 따위를 씻는 데 쓰는 의료 기구.

102. 소독기 (消毒器) [소독끼]

한자: 消(사라질 소), 毒(독 독), 器(그릇 기)

소독하는 데 쓰는 기구.

용례:

소녀는 소독기 속에서 주사기와 바늘을 꺼내어 나간다.≪박경리, 시장과 전장≫

103. 소변기 (小便器) [소:변기]

한자: 小(작을 소:), 便(편할 편(:) | 똥오줌 변), 器(그릇 기)

오줌을 누게 만든 기구.

용례:

그곳은 소변기가 하나 달랑 매달려 있는 좁은 변소였었다.≪최인호, 지구인≫

104. 소음기 (消音器) [소음기]

한자: 消(사라질 소), 音(소리 음), 器(그릇 기)

「1」내연 기관에서,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나는 폭음을 줄이거나 없애는 장치.
「2」총포 따위의 발사음을 감소시키는 장치.

105. 소화기 (小火器) [소:화기]

한자: 小(작을 소:), 火(불 화(:)), 器(그릇 기)

무게가 가볍고, 구경이 15.24mm 이하인 권총, 소총, 기관총 따위의 총기.

용례:

소화기 공격을 대비해서 조 상사는 빠른 시간에 소대를 골짝 바른쪽의 벼랑 밑으로 옮겨야 한다.≪홍성원, 육이오≫

106. 소화기 (消化器) [소화기]

한자: 消(사라질 소), 化(될 화(:)), 器(그릇 기)

음식물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기관. 보통 위창자관 소화샘으로 이루어지고 사람의 경우 입안ㆍ식도ㆍ위ㆍ창자ㆍ항문 및 침샘ㆍ간ㆍ이자 따위가 있다.

107. 소화기 (消火器) [소화기]

한자: 消(사라질 소), 火(불 화(:)), 器(그릇 기)

불을 끄는 기구. 거품을 내는 것, 사염화 탄소 따위를 사용하는 것, 소화탄 따위가 있다.

용례:

건물 내에 소화기를 비치해 두다.

108. 송수화기 (送受話器) [송:수화기]

한자: 送(보낼 송:), 受(받을 수(:)), 話(말씀 화), 器(그릇 기)

「1」전화기의 한 부분. 말을 보내는 장치와 들을 수 있는 장치가 함께 붙어 있다.
「2」송화기와 수화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1」다섯 번씩 벨이 울린 다음에야 겨우 송수화기를 집어 들었다.≪이상문, 황색인≫
  • 「1」나는 송수화기를 귀와 입에 댄 채 말을 잊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109. 송화기 (送話器) [송:화기]

한자: 送(보낼 송:), 話(말씀 화), 器(그릇 기)

전화기에서 말을 보내는 장치. 음파의 진동을 전기적 진동으로 바꾸어 준다.

용례:

  • 그는 송화기를 입으로 가져간 뒤 곧 큰 소리로 중대 본부를 호출했다.≪홍성원, 육이오≫
  • 그는 자신도 모르게 심호흡을 한 번 하고 나서 다소 떨리는 음성으로 다시 송화기에 대고 말했다.≪조해일, 왕십리≫

110. 수화기 (受話器) [수화기]

한자: 受(받을 수(:)), 話(말씀 화), 器(그릇 기)

전화기에서, 귀에 대고 듣는 부분. 보내온 전기 신호를 소리로 바꾸어 말을 들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용례:

  • 수화기를 들다.
  • 수화기를 내려놓다.

111. 승압기 (昇壓器) [승압끼]

한자: 昇(오를 승), 壓(누를 압), 器(그릇 기)

선로에 직렬로 넣어 전압을 높이는 변압기. 1차 코일에 주어진 전압을 적당한 비율로 높여 2차 코일에 준다. 고압 배전 선로의 전압 강하가 심한 경우에는 선로 중간에 설치한다.

112. 식기 (食器) [식끼]

한자: 食(밥/먹을 식), 器(그릇 기)

「1」음식을 담는 그릇.
「2」‘「1」’에 담은 음식의 분량을 세는 단위.

용례:

  • 「1」식기를 씻다.
  • 「1」식기를 말리다.
  • 「1」끼니때마다 몇 차례로 나누어 먹인다고 하더라도 식기도 터무니없이 모자랐다.≪이호철, 남에서 온 사람들≫
  • 「1」그날 저녁에는 신부가 식기에 담아 온 흰 찹쌀 붉은 팥으로 찰밥을 지어 밥상에 놔 주니라.≪최명희, 혼불≫
  • 「2」밥 두 식기.
  • 「2」그는 차례를 기다려 약수를 한 식기 마셨다.

113. 신기 (神器) [신기]

한자: 神(귀신 신), 器(그릇 기)

「1」신령에게 제사 지낼 때 쓰는 그릇. 또는 신령스러운 도구.
「2」임금의 자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용례:

  • 「2」신기를 노리다.
  • 「2」임금께서는 연만하시어 어느 날 어떻게 되실지 모르는 형편이고 태자가 어리고 약하시니 신기를 엿보는 자가 있는지도 모르겠단 말이야.≪현진건, 무영탑≫

114. 신석기 (新石器) [신석끼]

한자: 新(새 신), 石(돌 석), 器(그릇 기)

돌을 갈아서 정교하게 만든 석기. 수렵용의 돌살촉, 공작용의 돌도끼, 농경용의 석기, 의례용의 돌칼 따위가 있다.

115. 악기 (樂器) [악끼]

한자: 樂(노래 악), 器(그릇 기)

음악을 연주하는 데 쓰는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종류가 많으나 보통 음악 형식의 성질에 따라 절주(節奏) 악기ㆍ선율(旋律) 악기ㆍ화성(和聲) 악기로 나누고, 그 주법에 따라 현악기ㆍ관악기ㆍ타악기로 나눈다.

용례:

  • 악기를 연주하다.
  • 악기를 다루다.
  • 아이들은 악기에 맞추어 노래를 불렀다.
  • 연주를 할 때마다 그는 못 다루는 악기가 없을 정도였다.≪최인호, 지구인≫
  • 나무의 성품과 온도가 그러하매, 음률도 대나무로 만든 악기는 폐부를 찌르며, 오동나무로 만든 악기는 심정을 어루만진다.≪최명희, 혼불≫

116. 안마기 (按摩器) [안:마기]

한자: 按(누를 안(:)), 摩(문지를 마), 器(그릇 기)

안마로써 피로를 풀거나 병을 치료하도록 만든 기구.

용례:

어머니는 할머니를 위해 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마기를 사 오셨다.

117. 약탕기 (藥湯器) [약탕끼]

한자: 藥(약 약), 湯(끓을 탕:), 器(그릇 기)

「1」약물을 담는 탕기.
「2」탕약을 달이는 데 쓰는 질그릇.

118. 양변기 (洋便器) [양변기]

한자: 洋(큰바다 양), 便(똥오줌 변), 器(그릇 기)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

용례:

재래식 화장실을 처음 본 조카는 양변기가 없으면 볼일을 볼 수 없다며 집에 가겠다고 우겼다.

119. 양식기 (洋食器) [양식끼]

한자: 洋(큰바다 양), 食(밥/먹을 식), 器(그릇 기)

양요리의 식사에 사용하는 기구나 용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식탁 위에는 냅킨과 함께 나이프, 포크 따위의 양식기가 놓여 있다.

120. 양치기 (양치器) [양치기]

한자: 器(그릇 기)

양치할 때에 쓰는 그릇. 양치할 물을 담는 그릇과 뱉는 그릇으로 되어 있다.

용례:

공자 왕기가 이제야 기침을 한 모양이다. 세숫물이 들어가고 양치기가 옮겨졌다.≪박종화, 다정불심≫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4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