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 여과기 (濾過器) [여:과기]
한자: 濾(거를 려:), 過(지날 과:), 器(그릇 기)
「1」액체를 걸러 내는 데 쓰는 기구. 다소 작은 구멍을 가진 장치에 액체를 넣어서 액체 속의 고형물(固形物)을 분리하는 장치이다. 중력식, 진공식, 가압식, 원심식이 있다.
「2」전기 통신 또는
측정 기기로써 특정한 진동수의 신호를 통과시키는 장치.
122. 여성생식기 (女性生殖器) [여성생식끼]
한자: 女(계집 녀(여)), 性(성품 성:), 生(날 생), 殖(불릴 식), 器(그릇 기)
난소, 자궁, 자궁관, 질, 바깥 생식 기관 따위 여성의 생식 기관.
123. 역기 (力器) [역끼]
한자: 力(힘 력), 器(그릇 기)
역도나 근육 단련 훈련에 쓰는, 강철로 된 기구. 쇠막대 양쪽에 원반형의 쇳덩이가 매달려 있다.
용례:
- 형은 회사에서 돌아오면 체육관으로 가서 역기를 들어 올리는 운동을 하였다.
- 순철이는 벌떡 일어서서 역기 운동을 하듯 두 팔을 올렸다 내렸다 하다가 도로 주저앉는다.≪박경리, 토지≫
124. 온도조절기 (溫度調節器) [온도조절기]
한자: 溫(따뜻할 온), 度(법도 도(:)), 調(고를 조), 節(마디 절), 器(그릇 기)
바이메탈 따위로 자동적으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장치. 온도의 변화에 따라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감온체(感溫體)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항온기나 난방 기구 따위에 쓰인다.
125. 온풍기 (溫風器) [온풍기]
한자: 溫(따뜻할 온), 風(바람 풍), 器(그릇 기)
열원(熱源)에 공기를 넣어, 따뜻해진 공기를 실내로 돌게 하여 덥히는 기구.
126. 옹기 (甕器) [옹:기]
한자: 甕(독 옹:), 器(그릇 기)
질그릇과 오지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옹기를 굽다.
- 옹기란 옹기는 죄다 뭇 몽둥이에 맞아…깨어졌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27. 왕기 (王器) [왕기]
한자: 王(임금 왕), 器(그릇 기)
임금이 될 만한 자질. 또는 그런 자질을 가진 사람.
용례:
그렇다고 프로메테우스는 결코 왕기는 아니다. 재치 있는 회계관은 될지언정 왕기는 못 된다.≪김성한, 5분간≫
128. 외생식기 (外生殖器) [외:생식끼]
한자: 外(바깥 외:), 生(날 생), 殖(불릴 식), 器(그릇 기)
생식 기관 가운데 몸 밖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 남성의 음경(陰莖)과 음낭(陰囊), 여성의 대음순ㆍ소음순ㆍ질 입구 주름 따위이다.
129. 외성기 (外性器) [외:성기]
한자: 外(바깥 외:), 性(성품 성:), 器(그릇 기)
생식 기관 가운데 몸 밖으로 드러나 있는 부분. 남성의 음경(陰莖)과 음낭(陰囊), 여성의 대음순ㆍ소음순ㆍ질 입구 주름 따위이다.
130. 용기 (容器) [용기]
한자: 容(얼굴 용), 器(그릇 기)
물건을 담는 그릇.
용례:
- 플라스틱 용기.
- 남은 음식 재료를 용기에 담아 냉장고에 보관하였다.
131. 원심기 (遠心器) [원:심기]
한자: 遠(멀 원:), 心(마음 심), 器(그릇 기)
원심력을 이용한 기구나 기계.
132. 원심분리기 (遠心分離器) [원:심불리기]
한자: 遠(멀 원:), 心(마음 심), 分(나눌 분(:)), 離(떠날 리:), 器(그릇 기)
원심력을 이용하여 섞여 있는 액체와 고체 또는 비중이 서로 다른 액체 혼합을 분리하는 장치. 여과, 농축, 탈수, 정제 따위에 쓴다.
133. 유기 (柳器) [유:기]
한자: 柳(버들 류(:)), 器(그릇 기)
키버들의 가지나 대오리 따위로 엮어서 상자같이 만든 물건. 주로 옷을 넣어 두는 데 쓴다.
용례:
영산강을 따라 방랑하면서 고기잡이도 하고 유기를 파는 양수척 패거리들 같았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134. 유기 (鍮器) [유기]
한자: 鍮(놋쇠 유), 器(그릇 기)
놋쇠로 만든 그릇.
용례:
안성의 유기는 예로부터 유명하다.
135. 유압기 (油壓器) [유압끼]
한자: 油(기름 유), 壓(누를 압), 器(그릇 기)
밀폐한 부분에 채운 기름을 피스톤으로 눌러, 그 기름을 매개로 압력을 다른 데에 전하는 장치.
136. 음주측정기 (飮酒測定器) [음:주측쩡기]
한자: 飮(마실 음(:)), 酒(술 주(:)), 測(헤아릴 측), 定(정할 정:), 器(그릇 기)
운전자의 음주량을 측정하는 기구. 음주 운전을 단속하는 데 사용한다.
용례:
음주 측정기로 혈중 알코올 농도를 측정하다.
137. 의료기 (醫療器) [의료기]
한자: 醫(의원 의), 療(병고칠 료), 器(그릇 기)
병을 치료하는 데 쓰는 기구.
용례:
최첨단 의료기의 개발로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게 되었다.
138. 이기 (利器) [이:기]
한자: 利(이할 리:), 器(그릇 기)
「1」썩 잘 드는 연모. 또는 아주 날카로운 병기.
「2」실용에 편리한 기계나 기구.
「3」쓸모 있는 재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
「4」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는 권력.
용례:
「2」발달된 문명의 이기들은 지난 시대의 노예 수십 명에 해당하는 봉사를 대신해 준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139. 인공장기 (人工臟器) [인공장:기]
한자: 人(사람 인), 工(장인 공), 臟(오장 장:), 器(그릇 기)
생체의 장기를 대용하기 위하여 만든 기계적 장치. 인공 콩팥, 인공 심폐 따위가 있다.
140. 인공호흡기 (人工呼吸器) [인공호흡끼]
한자: 人(사람 인), 工(장인 공), 呼(부를 호), 吸(마실 흡), 器(그릇 기)
고압 산소, 압축 공기 따위를 써서 인공적으로 호흡을 조절하여 허파 꽈리에 산소를 불어 넣는 장치. 일정압 또는 일정량의 공기를 일정한 간격으로 주입하거나 환자의 호흡에 맞추어 불어 넣는다.
141. 인기 (人器) [인기]
한자: 人(사람 인), 器(그릇 기)
사람의 도량과 재간. 사람의 됨됨이를 이른다.
용례:
여보 개화한 며느리가 아니면 무슨 인기에 시어미더러 욕하고 악담하겠소….≪이인직, 치악산≫
142. 입형동기 (笠形銅器) [이평동기]
한자: 笠(삿갓 립), 形(모양 형), 銅(구리 동), 器(그릇 기)
「1」고깔 또는 버섯 모양의 머리에 원통형의 곧은 몸체가 달리고 한두 개의 도드라진 띠가 돌려져 있는 기구. 수레 굴대 위에 놓인 앉는 자리의 둘레에 세운 기둥 장식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멍에 끝에 끼우는 물건. 고깔이나 버섯 꼴의 머리 밑에 나발처럼 벌어진 몸체가 있다.
143. 자기 (瓷器) [자:기]
한자: 瓷(사기그릇 자), 器(그릇 기)
고령토 따위를 원료로 빚어서 아주 높은 온도로 구운 그릇.
용례:
참다운 아름다움에 있어는 내가 재떨이로 쓰고 있는 조그만 이조 자기에 도리어 마음이 쏠린다.≪이양하, 이양하 수필선≫
144. 잠수기 (潛水器) [잠수기]
한자: 潛(잠길 잠), 水(물 수), 器(그릇 기)
물속으로 잠수할 때 사용하는 기구. 물 위에서 도관을 통하여 공기를 보내는 방식과 압축 공기를 넣은 탱크를 등에 지는 방식이 있다.
용례:
- 잠수기 갖춘 머구리 배로 갯바닥을 마구 훑어 전복, 미역씨를 멸종시키고 있으니….≪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잠수기가 준비되었다. 양쪽에서 펌프질을 하고 거기서 새 공기를 계속 마스크에다 들여보내게 돼 있다.≪천금성, 허무의 바다≫
145. 장기 (臟器) [장기]
한자: 臟(오장 장:), 器(그릇 기)
내장의 여러 기관.
용례:
- 술에 찌든 그의 장기는 한 군데도 성한 데가 없다.
- 저의 장기를 기증할 테니, 제가 죽고 나면 필요한 사람을 위하여 써 주시기 바랍니다.
146. 재기 (才器) [재기]
한자: 才(재주 재), 器(그릇 기)
「1」사람이 지닌 재주와 기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재주가 있어서 인재가 될 만한 인품. 또는 그런 사람.
용례:
「2」그렇게 뛰어난 재기를 초야에서 썩게 하다니 정말 아까운 일입니다.
147. 재기 (材器) [재기]
한자: 材(재목 재), 器(그릇 기)
「1」사람의 됨됨이와 도량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쓸모 있는 사람.
용례:
- 「2」그는 크게 될 재기가 못 된다.
- 「2」뛰어난 재기가 있으면 천거해 주시오.
148. 전기면도기 (電氣面刀器) [전:기면:도기]
한자: 電(번개 전:), 氣(기운 기), 面(낯 면:), 刀(칼 도), 器(그릇 기)
전기의 힘으로 면도날을 움직여 수염을 깎을 수 있도록 만든 기구.
149. 전열기 (電熱器) [저:녈기]
한자: 電(번개 전:), 熱(더울 열), 器(그릇 기)
저항선에 전류를 통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기구. 전기난로, 전기다리미, 전기밥솥 따위에 사용된다.
150. 정수기 (淨水器) [정수기]
한자: 淨(깨끗할 정), 水(물 수), 器(그릇 기)
물을 깨끗하게 하는 기구.
용례:
정수기에서 물을 거른 후 마시다.
151. 제기 (祭器) [제:기]
한자: 祭(제사 제:), 器(그릇 기)
제사에 쓰는 그릇. 놋그릇, 사기그릇, 나무 그릇이 있다.
용례:
- 기왓장 가루로 제기를 닦았다.
- 웬만한 집에선 산 사람 밥그릇은 내놓더라도 제기는 보존하려고 땅속 깊이 묻어 두었다.≪박완서, 미망≫
- 둥글넓적한 반상 한복판에 돼지 대가리를 놓고 여남은 개의 제기에 포, 전, 실과 하며 제법 제상답게 음식을 고루 갖추었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152. 제초기 (除草器) [제초기]
한자: 除(덜 제), 草(풀 초), 器(그릇 기)
잡초를 뽑아 없애는 기계.
153. 조절기 (調節器) [조절기]
한자: 調(고를 조), 節(마디 절), 器(그릇 기)
온도 따위를 조절하는 기구.
용례:
습도 조절기.
154. 조준기 (照準器) [조:준기]
한자: 照(비칠 조:), 準(준할 준:), 器(그릇 기)
방향각과 고저각을 잡아 포탄이 목표물에 명중할 수 있도록 포신을 아래위나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장치.
용례:
99식은 2차 대전 말기 일본이 급조한 총으로 조준기도 없는 조잡하기 짝이 없는 총이었지만….≪이병주, 지리산≫
155. 좌변기 (坐便器) [좌:변기]
한자: 坐(앉을 좌:), 便(똥오줌 변), 器(그릇 기)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
용례:
화장실 좌변기 속의 물이 선실 복도로 쏟아져 나와….≪박영한, 머나먼 송바강≫
156. 좌식변기 (坐式便器) [좌:식뼌기]
한자: 坐(앉을 좌:), 式(법 식), 便(똥오줌 변), 器(그릇 기)
걸터앉아서 대소변을 보게 된 수세식 서양 변기.
157. 주사기 (注射器) [주:사기]
한자: 注(부을 주:), 射(쏠 사(:)), 器(그릇 기)
약액을 생물체의 조직 속에 주사하는 기구. 체내에 꽂는 바늘과 약액을 밀어 넣는 피스톤으로 구성된다.
용례:
위생병이…문집의 팔을 짓눌렀다. 혈관을 찾았는지 새빨간 피가 주사기 안으로 팍 밀려들었다.≪신상웅, 히포크라테스의 흉상≫
158. 주유기 (注油器) [주:유기]
한자: 注(부을 주:), 油(기름 유), 器(그릇 기)
기계나 기구의 마찰 부분에 기름을 치는 기구.
159. 주입기 (注入器) [주:입끼]
한자: 注(부을 주:), 入(들 입), 器(그릇 기)
기름 따위의 액체를 주입하는 데에 쓰는 기구.
160. 죽기 (竹器) [죽끼]
한자: 竹(대 죽), 器(그릇 기)
대로 만든 그릇.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