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5

161. 중계기 (中繼器) [중계기]

한자: 中(가운데 중), 繼(이을 계:), 器(그릇 기)

「1」데이터 전송에서, 한 방향 또는 양방향의 통신 신호를 수신하고 그 신호를 증폭하거나 정형하거나, 또는 그 양자를 모두 수행하여 송출하는 장치.
「2」통신 위성에서, 위성 또는 우주기에 탑재하는 장치. 수신기와 송신기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신호를 수신, 처리, 재송신하고 능동형 통신 위성에서 복수의 지구국 사이에 신호를 중계하는 데에 사용한다.

162. 중무기 (重武器) [중:무기]

한자: 重(무거울 중:), 武(호반 무:), 器(그릇 기)

보병이 지니는 화기 가운데 비교적 무게가 무겁고 화력이 강한 중기관총, 박격포 따위의 화기.

용례:

중무기로 무장하다.

163. 증류기 (蒸溜器) [증뉴기]

한자: 蒸(찔 증), 溜(처마물 류), 器(그릇 기)

끓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혼합 액체를 증류시켜 성분이 비교적 순수한 것을 얻는 장치.

164. 증폭기 (增幅器) [증폭끼]

한자: 增(더할 증), 幅(폭 폭), 器(그릇 기)

진공관, 트랜지스터 따위를 이용하여 증폭 작용을 하게 하는 장치.

165. 지기 (紙器) [지기]

한자: 紙(종이 지), 器(그릇 기)

종이 상자, 종이컵 따위의 종이로 만든 그릇.

용례:

요즈음은 일회용 지기들이 범람하는 시대다.

166. 집기 (什器) [집끼]

한자: 什(세간 집), 器(그릇 기)

집 안이나 사무실에서 쓰는 온갖 기구.

용례:

사무실 집기를 새것으로 들여놓다.

167. 차기 (차器) [차기]

한자: 器(그릇 기)

「1」차를 달여 마시는 데에 쓰는 여러 기물. 이에는 차관, 찻종, 찻숟가락 따위가 있다.
「2」가루로 된 차를 담는 사기그릇.

168. 찬기 (饌器) [찬:끼]

한자: 饌(반찬 찬:), 器(그릇 기)

반찬을 담는 접시, 종지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찬기에 콩나물과 김치 따위를 조금씩 담아 뚜껑을 덮어 내왔다.

169. 채설기 (採雪器) [채:설기]

한자: 採(캘 채:), 雪(눈 설), 器(그릇 기)

눈의 표본을 채취하는 데 쓰는 속이 빈 관(管).

용례:

  • 여기가 채설기를 설치하기에 가장 좋다.
  • 눈의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해 채설기로 눈을 채취하기로 했다.

170. 채수기 (採水器) [채:수기]

한자: 採(캘 채:), 水(물 수), 器(그릇 기)

물을 측정하거나 분석하기 위하여 바다나 호수의 물을 퍼 올리는 기구. 이에는 절연(絕緣) 채수기, 심해용(深海用)의 전도(轉倒) 채수기, 다층(多層)의 다통(多筒) 채수기 따위가 있다.

용례:

  • 채수기에 물을 넣다.
  • 채수기로 물을 퍼 올리다.

171. 철기 (鐵器) [철기]

한자: 鐵(쇠 철), 器(그릇 기)

쇠로 만든 그릇이나 기구.

용례:

  • 철기 문화.
  • 철기를 사용하면서 농업이 발달하였다.
  • 이 유적지에서는 청동기와 철기가 함께 출토되었다.

172. 청동기 (靑銅器) [청동기]

한자: 靑(푸를 청), 銅(구리 동), 器(그릇 기)

청동으로 만든 그릇이나 기구.

용례:

  • 청동기 문화.
  • 청동기 유적.

173. 청진기 (聽診器) [청진기]

한자: 聽(들을 청), 診(진찰할 진), 器(그릇 기)

환자의 몸 안에서 나는 소리를 듣는 데 쓰는 의료 기구. 집음부(集音部)의 소리를 고무관으로 유도하여 양쪽 귀로 듣는 것을 많이 쓰며, 1816년에 프랑스의 라에네크(Laënnec, R.)가 발명하였다.

용례:

청진기로 환자의 심장 소리를 듣다.

174. 체온기 (體溫器) [체온기]

한자: 體(몸 체), 溫(따뜻할 온), 器(그릇 기)

체온을 재는 데 쓰는 온도계. 수은의 팽창을 이용한 일종의 최고 온도계로, 겨드랑이나 혀 밑의 온도를 재는 보통의 체온계 외에 기초 체온계, 항문 체온계 따위가 있으며, 측정하는 데 걸리는 최소 시간에 따라 1분계, 3분계, 5분계 따위가 있다.

용례:

경애의 겨드랑이에서 뽑아낸 체온기는 삽십구 도 오 분이다.≪김말봉, 찔레꽃≫

175. 초음파세척기 (超音波洗滌器) [초음파세:척끼]

한자: 超(뛰어넘을 초), 音(소리 음), 波(물결 파), 洗(씻을 세:), 滌(씻을 척), 器(그릇 기)

물속에서 발생된, 진동수 매분 3만~4만의 초음파로 물체를 세척하는 장치. 초음파가 액체 입자나 고체를 파괴ㆍ분산시키는 작용을 응용한 것으로, 의료 기구의 소독 따위에 사용한다.

176. 초음파치료기 (超音波治療器) [초음파치료기]

한자: 超(뛰어넘을 초), 音(소리 음), 波(물결 파), 治(다스릴 치), 療(병고칠 료), 器(그릇 기)

초음파를 임상 치료에 응용한 장치.

177. 총기 (銃器) [총기]

한자: 銃(총 총), 器(그릇 기)

권총, 기관총, 소총, 엽총 따위의 무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총기와 탄약.
  • 체포 당시 범인은 총기를 소지하고 있었다.
  • 설 박사가 다시 목을 움츠리는 순간, 갑자기 갈대숲 속에서 여러 개의 총기가 일제히 금속성을 울렸다.≪홍성원, 육이오≫
  • 제지하는 해병대원에게 총기로 위협하고 있다.≪박영한, 인간의 새벽≫

178. 축도기 (縮圖器) [축또기]

한자: 縮(줄일 축), 圖(그림 도), 器(그릇 기)

도면이나 그림 따위를 일정한 비율로 줄여 그리는 데에 쓰는 기구.

용례:

기념사진을 바탕으로 축도기를 사용해서 인물과 마차를 치수대로 옮겨 사실적인 표현에 치중했다고 하더군요.≪이영치, 흐린 날 황야에서≫

179. 충전기 (充電器) [충전기]

한자: 充(채울 충), 電(번개 전:), 器(그릇 기)

축전지의 충전에 쓰는 장치.

180. 측우기 (測雨器) [츠구기]

한자: 測(헤아릴 측), 雨(비 우:), 器(그릇 기)

조선 세종 23년(1441)에 만든 세계 최초의 우량계. 서울뿐만 아니라 각 지방에도 설치하여 강우량을 측정하였다.

181. 측정기 (測定器) [측쩡기]

한자: 測(헤아릴 측), 定(정할 정:), 器(그릇 기)

측정하는 데 쓰는 기계나 기구를 통틀어 이르는 말.

182. 측정기 (測程器) [측쩡기]

한자: 測(헤아릴 측), 程(한도/길[道] 정), 器(그릇 기)

차나 배 따위의 지나온 거리 또는 그것에 기초하여 속도를 재는 기구. 수용(手用) 측정기, 특허 측정기 따위가 있다.

183. 칠기 (漆器) [칠기]

한자: 漆(옻 칠), 器(그릇 기)

「1」옻칠을 한 나무 그릇.
「2」옻칠과 같이 검은 잿물을 입혀 만든 도자기.

용례:

  • 「1」한편에는 야식으로 생과자며 과일을 담은 칠기와 함께 김이 새어 나오는 찻주전자까지 준비되어 있었다.≪손창섭, 낙서족≫
  • 「2」칠기 장수.

184. 타악기 (打樂器) [타:악끼]

한자: 打(칠 타:), 樂(노래 악), 器(그릇 기)

두드려서 소리를 내는 악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가장 오래된 악기 형태로 나무ㆍ가죽ㆍ금속 따위로 만들며, 주로 리듬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한다. 팀파니ㆍ실로폰과 같이 분명한 음높이를 낼 수 있는 악기와, 북이나 심벌즈와 같이 음높이가 불분명한 악기의 두 가지로 나눈다.

185. 타현악기 (打絃樂器) [타:혀낙끼]

한자: 打(칠 타:), 絃(줄 현), 樂(노래 악), 器(그릇 기)

현(絃)을 쳐서 소리를 내는 악기. 피아노, 치터 따위이다.

186. 탄도무기 (彈道武器) [탄:도무:기]

한자: 彈(탄알 탄:), 道(길 도:), 武(호반 무:), 器(그릇 기)

로켓 따위로 쏘아 올린 다음, 그 뒤에는 보통 포탄처럼 탄도를 따라 목표까지 날아가도록 한 무기.

187. 탄현악기 (彈絃樂器) [탄:혀낙끼]

한자: 彈(탄알 탄:), 絃(줄 현), 樂(노래 악), 器(그릇 기)

현을 퉁겨서 연주하는 악기. 가야금, 거문고, 하프 따위이다.

188. 탕기 (湯器) [탕:끼]

한자: 湯(끓을 탕:), 器(그릇 기)

「1」국이나 찌개 따위를 떠 놓는 자그마한 그릇. 모양이 주발과 비슷하다.
「2」국이나 찌개 따위를 ‘「1」’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용례:

  • 「1」큼직한 탕기 하나가 구리 주전자에 그들먹한 술과 함께 나왔다.≪박종화, 전야≫
  • 「2」국 한 탕기.
  • 「2」미음을 한 탕기 비우다.

189. 토기 (土器) [토기]

한자: 土(흙 토), 器(그릇 기)

「1」원시 시대에 쓰던, 흙으로 만든 그릇. 모양, 무늬 따위로 민족과 시대의 특색을 나타낸다.
「2」진흙으로 만들어 유약을 바르지 아니하고 구운 그릇.

용례:

「2」매헌은…주전자도 아니요 항아리도 아닌 토기를 들고 먼지를 불었다.≪이태준, 석양≫

190. 통신기기 (通信機器) [통신기기]

한자: 通(통할 통), 信(믿을 신:), 機(틀 기), 器(그릇 기)

통신에 쓰는 여러 기계를 통틀어 이르는 말. 전화기, 무선기 따위가 있다.

191. 파기 (破器) [파:기]

한자: 破(깨뜨릴 파:), 器(그릇 기)

깨어진 그릇.

용례:

누가 불을 어떻게 땠건 파기만 적게 나오면 그만이다.≪서기원, 조선백자 마리아상≫

192. 핵무기 (核武器) [행무기]

한자: 核(씨 핵), 武(호반 무:), 器(그릇 기)

원자 폭탄이나 수소 폭탄 따위의 핵반응으로 생기는 힘을 이용한 무기.

193. 현악기 (絃樂器) [혀낙끼]

한자: 絃(줄 현), 樂(노래 악), 器(그릇 기)

현을 켜거나 타서 소리를 내는 악기. 가야금, 거문고, 바이올린, 첼로, 비올라 따위이다.

용례:

현악기의 줄은 늘어질 대로 늘어져 흉한 마찰음만 낸다.≪이청준, 조율사≫

194. 호흡기 (呼吸器) [호흡끼]

한자: 呼(부를 호), 吸(마실 흡), 器(그릇 기)

호흡 작용을 맡은 기관. 특히 외호흡을 위하여 분화된 기관으로, 고등 동물의 허파, 어류의 아가미, 거미류의 책허파, 곤충류의 기관(氣管), 하등 동물의 피부 따위가 있다.

195. 화기 (火器) [화:기]

한자: 火(불 화(:)), 器(그릇 기)

「1」불을 담는 그릇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화약의 힘으로 탄알을 쏘는 병기.

용례:

「2」잠시 후 적의 화기가 사격을 멈추고 사방은 쥐 죽은 듯이 고요해졌다.≪조해일, 왕십리≫

196. 화재경보기 (火災警報器) [화:재경:보기]

한자: 火(불 화(:)), 災(재앙 재), 警(깨우칠 경:), 報(갚을/알릴 보:), 器(그릇 기)

불이 났을 때 자동적으로 경보를 울리는 장치.

용례:

불이 나자 화재경보기가 요란하게 울렸다.

197. 확성기 (擴聲器) [확썽기]

한자: 擴(넓힐 확), 聲(소리 성), 器(그릇 기)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들리게 하는 기구.

용례:

  • 확성기로 안내 방송을 하다.
  • 읍내 쪽에서는 벌써부터 틀어 대는 유행가 소리가 확성기를 통해 화차 고개까지 들려오고 있었다.≪김원일, 불의 제전≫

198. 흉기 (凶器) [흉기]

한자: 凶(흉할 흉), 器(그릇 기)

「1」사람을 죽이거나 해치는 데 쓰는 도구.
「2」초상이 났을 때 쓰는 도구. 그릇이나 상여 따위를 말한다.

용례:

  • 「1」흉기를 휘두르다.
  • 「1」흉기로 위협하다.
  • 「1」흉기로 찌르다.
  • 「1」그 도둑은 칼이나 총 같은 흉기는 가지고 있지 않았다.
  • 「1」모희규가 막 봉당으로 내려서는 순간, 누군가가 갑자기 어둠 속에서 둔중한 흉기로 모희규의 어깨를 모질게 내리친다.≪홍성원, 육이오≫

199. 흡입기 (吸入器) [흐빕끼]

한자: 吸(마실 흡), 入(들 입), 器(그릇 기)

약물을 안개나 기체 상태로 하여 기도나 폐에 들어가도록 하는 기구. 마취나 호흡 기관 질환의 치료에 쓴다.

200. 흡착기 (吸着器) [흡착끼]

한자: 吸(마실 흡), 着(붙을 착), 器(그릇 기)

빨판 같은 작용을 인공적으로 일으켜 한 물질을 다른 물질에 달라붙게 하는 기계.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器 그릇 기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1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2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3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器 그릇 기 - 4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