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국다 (杞菊茶) [기국따]
한자: 杞(구기자(枸杞子) 기), 菊(국화 국), 茶(차 다)
산국화, 구기자, 검은깨, 작설 따위를 곱게 가루로 빻아서 소금을 친 뒤에 우유를 붓고 달인 차.
2. 기국차 (杞菊차) [기국차]
한자: 杞(구기자(枸杞子) 기), 菊(국화 국)
산국화, 구기자, 검은깨, 작설 따위를 곱게 가루로 빻아서 소금을 친 뒤에 우유를 붓고 달인 차.
3. 기류 (杞柳) [기류]
한자: 杞(구기자(枸杞子) 기), 柳(버들 류(:))
버드나뭇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1~3미터이며, 3월에 꽃이삭이 원주 모양으로 피고 열매는 삭과(蒴果)로 4~5월에 익는다. 가지는 껍질을 벗겨 버들고리나 키 따위를 만든다. 들이나 냇가에 나는데 한국, 우수리강,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4. 기우 (杞憂) [기우]
한자: 杞(구기자(枸杞子) 기), 憂(근심 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함. 또는 그 걱정.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용례:
- 기우를 덜다.
- 기우에 그치다.
- 기우에 불과하다.
- 혹시 일이 잘못되지나 않을까 하는 걱정은 기우였다.
- 마을 사람들의 예단은 전혀 터무니없는 기우임이 드러났다.≪이청준, 키 작은 자유인≫
5. 기우하다 (杞憂하다) [기우하다]
한자: 杞(구기자(枸杞子) 기), 憂(근심 우)
앞일에 대해 쓸데없는 걱정을 하다. 옛날 중국 기(杞)나라에 살던 한 사람이 ‘만일 하늘이 무너지면 어디로 피해야 좋을 것인가?’ 하고 침식을 잊고 걱정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용례:
- 별일 없을 테니 너무 기우하지 마라.
- 병원에를 가서 사진을 찍어 보니 다소간 기우하던 대로 접골은 제자리에 바로 있지 않았다.≪변영로, 명정 40년≫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