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의 장단음을 공부하는 블로그
우리말,바른말,장단음,경음화

[한자어(漢字語) - 단음(短音)] 箕 키 기

1. 기 (箕) [기]

한자: 箕(키 기)

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행주(幸州) 하나뿐이다.

2. 기 (箕) [기]

한자: 箕(키 기)

이십팔수의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주성(主星)은 궁수자리의 감마성(γ星)이다.

3. 기거 (箕踞) [기거]

한자: 箕(키 기), 踞(걸어앉을 거:)

두 다리를 뻗고 앉음.

4. 기고 (箕姑) [기고]

한자: 箕(키 기), 姑(시어미 고)

예전에, 키를 가지고 점을 치던 일. 중국 오나라 때 정월 놀이 가운데 하나였다.

5. 기구 (箕裘) [기구]

한자: 箕(키 기), 裘(갖옷 구)

키와 갖옷이라는 뜻으로, 선대의 가업을 이어받음을 이르는 말. 궁장(弓匠)의 아들은 먼저 부드러운 버들가지를 휘어서 키 만드는 일을 배우고, 대장장이의 아들은 우선 부드러운 갖옷 만드는 일을 배워 쉬운 일부터 익혀 차츰 어려운 본업에 들어간다는 뜻이다.

6. 기구지업 (箕裘之業) [기구지업]

한자: 箕(키 기), 裘(갖옷 구), 之(갈 지), 業(업 업)

선대에서부터 전해져 내려오는 가업.

7. 기두 (箕斗) [기두]

한자: 箕(키 기), 斗(말 두)

「1」지문(指紋)의 이름. 나선형의 지문을 ‘두(斗)’, 그 밖의 것을 ‘기(箕)’라고 한다.
「2」이십팔수(二十八宿)의 하나인 기성(箕星)과 두성(斗星)을 아울러 이르는 말.

8. 기렴 (箕斂) [기렴]

한자: 箕(키 기), 斂(거둘 렴:)

키질하듯이 세금을 가혹하게 거두어들임.

용례:

뇌물이 공공연하게 거래되고, 백성이 기렴에 곤고하는가?≪번역 연산군일기≫

9. 기복 (箕卜) [기복]

한자: 箕(키 기), 卜(점 복)

예전에, 키를 가지고 점을 치던 일. 중국 오나라 때 정월 놀이 가운데 하나였다.

10. 기성 (箕星) [기성]

한자: 箕(키 기), 星(별 성)

이십팔수의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주성(主星)은 궁수자리의 감마성(γ星)이다.

11. 기성기 (箕星旗) [기성기]

한자: 箕(키 기), 星(별 성), 旗(기 기)

대한 제국 때에, 세모 깃발에 기성(箕星)을 금박한 의장기.

12. 기수 (箕宿) [기수]

한자: 箕(키 기), 宿(별자리 수:)

이십팔수의 일곱째 별자리의 별들. 주성(主星)은 궁수자리의 감마성(γ星)이다.

13. 기좌 (箕坐) [기좌]

한자: 箕(키 기), 坐(앉을 좌:)

두 다리를 앞으로 뻗고 앉음. ≪장자≫ <지락편(至樂篇)>에 나오는 것으로, 공손하지 않은 모습이다.

14. 기취 (箕帚▽) [기취]

한자: 箕(키 기), 帚(비 추)

쓰레받기와 비를 아울러 이르는 말.

15. 기취첩 (箕帚▽妾) [기취첩]

한자: 箕(키 기), 帚(비 추), 妾(첩 첩)

쓰레받기와 비를 잡는 여자라는 뜻으로, 아내가 스스로를 낮추어 이르는 말.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