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素 흴[白] 소:

1. 소교 (素轎) [소:교]

한자: 素(본디/흴[白] 소(:)), 轎(가마 교)

장례에서 상제가 타기 위하여 희게 꾸민 평교자.

용례:

처량한 마음을 가슴속에 가득히 품고 그 부모의 묘소로 찾아가는 경원이는 그 모친 장사 때에 소교 속에서 밤에 가고 밤에 오던 길을….

2. 소교의 (素交椅) [소:교이]

한자: 素(본디/흴[白] 소(:)), 交(사귈 교), 椅(의자 의)

장사 지내기 전에 신위(神位)를 모시기 위하여 희게 꾸민 교의.

3. 소대 (素帶) [소:대]

한자: 素(본디/흴[白] 소(:)), 帶(띠 대(:))

「1」흰 띠.
「2」좌독기에 매달아서 늘인 흰 빛깔의 기드림.

용례:

「1」선수들은 머리에 소대를 하고 열심히 뛰었다.

4. 소량 (素量) [소:량]

한자: 素(본디/흴[白] 소(:)), 量(헤아릴 량)

구체적인 어떤 종류의 양의 최소 단위.

5. 소련 (素輦) [소:련]

한자: 素(본디/흴[白] 소(:)), 輦(가마 련)

임금이 상중(喪中)에 쓰던 흰 수레.

용례:

임금은 종친을 거느리고 울면서 따라 도보로 궁문에 나와 소련을 타고, 백관들도 도보로 따라 흥인문에 나오게 되고….

6. 소립자 (素粒子) [소:립짜]

한자: 素(본디/흴[白] 소(:)), 粒(낟알 립), 子(아들 자)

현대 물리학에서, 물질 또는 장(場)을 구성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단위로 설정된 작은 입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광양자, 전자, 양성자, 중성자, 중간자, 중성 미자, 양전자 따위이다. 이들은 여러 가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서로 전화(轉化)한다.

7. 소면 (素面) [소:면]

한자: 素(본디/흴[白] 소(:)), 面(낯 면:)

화장을 하지 아니한 얼굴.

8. 소면 (素麵) [소:면]

한자: 素(본디/흴[白] 소(:)), 麵(국수[麪] 면)

「1」고기붙이를 넣지 않은 국수.
「2」밀가루로 만든 가늘고 긴 국수. 또는 그것을 삶은 음식.

용례:

  • 「2」소면 한 봉지.
  • 「2」매콤한 낙지볶음에 소면을 곁들였다.

9. 소묘 (素描) [소:묘]

한자: 素(본디/흴[白] 소(:)), 描(그릴 묘:)

연필, 목탄, 철필 따위로 사물의 형태와 명암을 위주로 그림을 그림. 또는 그 그림.

10. 소묘곡 (素描曲) [소:묘곡]

한자: 素(본디/흴[白] 소(:)), 描(그릴 묘:), 曲(굽을 곡)

묘사적인 작은 기악곡.

11. 소물 (素物) [소:물]

한자: 素(본디/흴[白] 소(:)), 物(물건 물)

소찬(素饌)에 쓰는 나물붙이.

용례:

특별히 신에게 소주와 소물을 내려 주었으므로, 신은 공경히 받고 감격하여 흐느낌을 이기지 못하였습니다.

12. 소반 (素飯) [소:반]

한자: 素(본디/흴[白] 소(:)), 飯(밥 반)

고기반찬이 없는 밥.

용례:

이 집에 찾아왔던 손님들이 마침 끼니때가 되어 함께 상을 받으면 그 소반에 우선 놀라 버린다.

13. 소병 (素屛) [소:병]

한자: 素(본디/흴[白] 소(:)), 屛(병풍 병(:))

그림이나 글씨가 없이 흰 종이나 비단만 발라서 꾸민 병풍. 주로 제사를 지낼 때 친다.

용례:

정원에 소병을 내려, 홍문관으로 하여금 옛사람의 권계로서 거울삼을 만한 글을 써서 올리게 하였다.

14. 소복 (素服) [소:복]

한자: 素(본디/흴[白] 소(:)), 服(옷 복)

하얗게 차려입은 옷. 흔히 상복으로 입는다.

용례:

  • 소복 차림.
  • 성복제에 참례한 논개는 하얗게 눈이 부신 소복을 입었다.

15. 소선 (素膳) [소:선]

한자: 素(본디/흴[白] 소(:)), 膳(선물/반찬 선:)

고기나 생선이 들어 있지 아니한 반찬.

용례:

문하좌시중 성산백(星山伯) 배극렴이 졸하니, 임금이 3일 동안 조회를 폐하고 7일 동안 소선을 하고, 맡은 관원에게 명하여 예장(禮葬)하게 하였다.

16. 소식 (素食) [소:식]

한자: 素(본디/흴[白] 소(:)), 食(밥/먹을 식)

고기반찬이 없는 밥.

17. 소안 (素顔) [소:안]

한자: 素(본디/흴[白] 소(:)), 顔(낯 안:)

「1」흰 얼굴.
「2」화장하지 아니한 얼굴.
「3」수염이 없는 얼굴.

18. 소연 (素鳶) [소:연]

한자: 素(본디/흴[白] 소(:)), 鳶(솔개 연)

물감이나 색종이 따위로 장식하지 아니한, 흰 빛깔의 연.

용례:

바람이 구름을 다 날려 버린 맑고 푸른 하늘에 하얀 소연이 둥둥 떠서 올라간다.

19. 소음식 (素飮食) [소:음식]

한자: 素(본디/흴[白] 소(:)), 飮(마실 음(:)), 食(밥/먹을 식)

육류 없이 채소류로만 차린 음식.

용례:

절에서 차려 내온 음식상에는 온통 소음식뿐이었다.

20. 소의 (素衣) [소:이]

한자: 素(본디/흴[白] 소(:)), 衣(옷 의)

색과 무늬가 없는 흰옷.

용례:

소의를 입다.

21. 소장 (素帳) [소:장]

한자: 素(본디/흴[白] 소(:)), 帳(장막 장)

장사 지내기 전에 궤연(几筵) 앞에 치는 하얀 포장.

용례:

궤연을 두른 소장 안에서 짚베개랑 상장(喪杖)이 보였지만….

22. 소장 (素粧) [소:장]

한자: 素(본디/흴[白] 소(:)), 粧(단장할 장)

화장으로 꾸미지 않고 깨끗이 차림.

23. 소절 (素節) [소:절]

한자: 素(본디/흴[白] 소(:)), 節(마디 절)

「1」‘가을철’을 달리 이르는 말. 오행설(五行說)에서 흰빛은 가을에 해당한다는 데서 유래한다.
「2」때 묻지 아니한 깨끗한 절개.
「3」평소의 행실.

용례:

「2」이황은 조식과 더불어 비록 왕래하며 상종하지는 않았으나, 그의 소절을 허여하고 그의 훌륭한 점을 취한 것이 자못 깊었습니다.

24. 소증 (素症) [소:쯩]

한자: 素(본디/흴[白] 소(:)), 症(증세 증(:))

푸성귀만 너무 먹어서 고기가 먹고 싶은 증세.

용례:

고깃배 마련할 밑천이 없더라도 바닷가 사람들은 낚시 드리우면 소증을 모를 만큼은 생선도 먹을 수 있었다.

25. 소찬 (素饌) [소:찬]

한자: 素(본디/흴[白] 소(:)), 饌(반찬 찬:)

고기나 생선이 들어 있지 아니한 반찬.

용례:

  • 경자의 어머니는 근자에 와서 불도를 닦아 연화대로 갈 준비를 하느라고 육식을 금했기 때문에 소찬만 먹는다.
  • 군사들은 장군이 상중이라 아직까지도 소찬만 자시는 것을 알았다.

26. 소탕 (素湯) [소:탕]

한자: 素(본디/흴[白] 소(:)), 湯(끓을 탕:)

「1」고기붙이를 전혀 넣지 않은 국.
「2」제사에 쓰는 탕. 고기는 넣지 않고 두부와 다시마를 썰어 넣고 맑은 장에 끓인다.

용례:

「1」삼색실과와 백설기에 소찬 소탕을 곁들여 놓은 것은 불사상이요….

27. 소태 (素胎) [소:태]

한자: 素(본디/흴[白] 소(:)), 胎(아이밸 태)

잿물을 입히기 전의 도자기의 흰 몸.

28. 소판 (素板) [소:판]

한자: 素(본디/흴[白] 소(:)), 板(널 판)

칠 따위를 입히지 아니한 흰 널판.

29. 소피대 (素皮帶) [소:피대]

한자: 素(본디/흴[白] 소(:)), 皮(가죽 피), 帶(띠 대(:))

흰 가죽띠.

30. 소화 (素花) [소:화]

한자: 素(본디/흴[白] 소(:)), 花(꽃 화)

종이로 만든 흰 꽃. 흔히 절에서 쓴다.


* 사전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희다'를 뜻하면 장음(長音)으로 발음합니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素 본디 소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