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牛 소 우

1. 우 (牛) [우]

한자: 牛(소 우)

이십팔수의 아홉째 수(宿). 이 수의 좌표 기준이 되는 수거성(宿距星)은 현대 천문학의 이름으로는 다비흐에 해당한다.

2. 우각 (牛角) [우각]

한자: 牛(소 우), 角(뿔 각)

소의 뿔.

3. 우골 (牛骨) [우골]

한자: 牛(소 우), 骨(뼈 골)

소의 뼈.

용례:

그들은 상아를 비롯하여 우골, 먹감나무 등을 이용하여 칼집을 만들었다.

4. 우담 (牛膽) [우담]

한자: 牛(소 우), 膽(쓸개 담:)

소의 쓸개.

5. 우도 (牛刀) [우도]

한자: 牛(소 우), 刀(칼 도)

소를 잡는 데 쓰는 칼.

용례:

보검에 녹이 슬면 날 선 우도보다 못하고, 명마에 살이 붙으면 나귀나 노새에 뒤진다 하더니 내 하마터면 그 꼴에 이를 뻔하였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6. 우두 (牛頭) [우두]

한자: 牛(소 우), 頭(머리 두)

소의 머리.

7. 우두 (牛痘) [우두]

한자: 牛(소 우), 痘(역질 두)

천연두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에서 뽑은 면역 물질.

용례:

  • 우두를 놓다.
  • 우두를 맞다.

8. 우마 (牛馬) [우마]

한자: 牛(소 우), 馬(말 마:)

말과 소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우마를 키우다.
  • 이 섬에서 살 깊고 기름진 밭만을 골라 가진 이들은 보리 천 바리는 쉽게 수확할 뿐 아니라 우마가 번성하여 말도 몇십 마리요 소도 몇십 마리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9. 우마차 (牛馬車) [우마차]

한자: 牛(소 우), 馬(말 마:), 車(수레 차)

우차와 마차를 통틀어 이르는 말.

용례:

  • 요즘은 시골에서도 자동차 아니면 경운기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우마차를 구경하기 힘들다.
  • 집 떠나서 아침 일찍 나무장을 보러 우마차 끌고 들어오는 양주 땅 사람들에게….≪박완서, 그 가을의 사흘 동안≫

10. 우목 (牛目) [우목]

한자: 牛(소 우), 目(눈 목)

「1」소의 눈.
「2」소의 눈으로 만든 잡차래.

용례:

「2」상에 올라온 편육은 소의 머리 부분을 삶아서 썬 것인데, 거기에는 우목도 몇 점 들어 있었다.

11. 우보 (牛步) [우보]

한자: 牛(소 우), 步(걸음 보:)

소의 걸음이란 뜻으로, 느린 걸음을 이르는 말.

용례:

  • 그는 항상 우보로 가지만 가다가 쉬는 일은 없었다.
  • 인생을 살아가는 데, 때로는 최후의 성공을 위하여 우보를 택하는 것도 필요하다.

12. 우부 (牛簿) [우부]

한자: 牛(소 우), 簿(문서 부:)

소를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기재한 장부.

용례:

삼읍 수령들의 문갑 속에는 으레 소를 가진 사람들의 이름을 기재한 우부라는 장부가 있어 그 순서에 따라 한 마리씩 끌어다 도살하여 주육이 낭자한 성찬을 즐겼으니….≪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13. 우분 (牛糞) [우분]

한자: 牛(소 우), 糞(똥 분)

소의 똥.

용례:

비록 우분 마분(馬糞)으로 벽을 치고 우분 마분이 땔감이요, 유목의 방황일지라도….≪박경리, 토지≫

14. 우사 (牛舍) [우사]

한자: 牛(소 우), 舍(집 사)

마소를 기르는 곳.

용례:

  • 우사가 따로 없는 이 초원에 소 떼들이 끼리끼리 무리를 지어 서로 의지하고 잠이 든다.≪정연희, 꽃을 먹는 하얀 소≫
  • 송아지 한 마리가 되새김질을 하고 있는 우사 옆 머슴방으로 들어가려던 천수가 무슨 생각에선지 부엌 쪽으로 걸어갔다.≪김원일, 불의 제전≫

15. 우설 (牛舌) [우설]

한자: 牛(소 우), 舌(혀 설)

「1」소의 혀.
「2」전각의 기둥 위에 덧붙이는, 소의 혀와 같이 생긴 장식.

16. 우세 (牛稅) [우세]

한자: 牛(소 우), 稅(세금 세:)

소에 대하여 물리던 세금.

용례:

우세를 걷다.

17. 우슬초 (牛膝草) [우슬초]

한자: 牛(소 우), 膝(무릎 슬), 草(풀 초)

유대인들이 귀신이나 재앙을 쫓으려고 제물의 피를 묻혀 뿌리는 데 쓴 식물.

18. 우시장 (牛市場) [우시장]

한자: 牛(소 우), 市(저자 시:), 場(마당 장)

소를 사고파는 장.

용례:

  • 아들의 학비 마련하느라 집에서 기르던 소를 우시장에 내다 팔았다.
  • 사오십 두는 실히 되어 보이는 소들이 우시장을 뒤덮고 있었다.≪이동하, 우울한 귀향≫

19. 우역 (牛疫) [우역]

한자: 牛(소 우), 疫(전염병 역)

소, 양, 산양에 생기는, 급성 접촉 감염성의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환. 발열과 창자 점막에 궤양 발현이 특징이다.

용례:

  • 우역 예방 접종.
  • 우역이 돌다.

20. 우유 (牛乳) [우유]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소의 젖. 백색으로, 살균하여 음료로 마시며 아이스크림, 버터, 치즈 따위의 원료로도 쓴다.

용례:

  • 우유 배달부.
  • 우유 한 잔.
  • 우유를 마시다.
  • 그는 우유와 빵으로 아침 식사를 했다.

21. 우유갑 (牛乳匣) [우유깝]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匣(갑(匣) 갑)

우유를 담아 두는 갑.

용례:

우유갑 재활용.

22. 우유곽 (牛乳곽) [우유꽉]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우유갑(

23. 우유병 (牛乳甁) [우유뼝]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甁(병 병)

우유를 담는 병.

용례:

  • 빈 우유병.
  • 살균 처리한 우유병.
  • 요즘엔 우유를 우유병에 담기보다는 우유 팩에 담는 일이 더 많다.

24. 우유상 (牛乳商) [우유상]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商(장사 상)

우유를 전문으로 파는 가게.

용례:

우유상에서 우유를 배달해 먹다.

25. 우유죽 (牛乳粥) [우유죽]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粥(죽 죽)

죽의 하나. 물에 불린 쌀을 맷돌에 갈아서 절반쯤 끓이다가 우유를 섞어서 쑨다.

용례:

미음을 끓여 오고 우유죽을 끓여 와도 그녀는 막무가내였다.≪홍성원, 기관차와 송아지≫

26. 우윳빛 (牛乳빛) [우유삗]

한자: 牛(소 우), 乳(젖 유)

노란빛을 띤 하얀빛.

용례:

  • 우윳빛 유리.
  • 우윳빛이 나다.
  • 선복에서 밀려난 물결은 연두색과 우윳빛으로 변하여 포말이 되어 솟아오르다가 하나의 큰 파도가 되어 다시 퍼져 나갔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 창으로부터 흘러든 햇살이 그녀의 우윳빛 피부 위에 잠자리 날개 같은 무늬를 짓고 있었다.≪이동하, 도시의 늪≫

27. 우족 (牛足) [우족]

한자: 牛(소 우), 足(발 족)

소의 발.

용례:

  • 백화점에서는 구제역에도 설 선물로 한우 세트와 우족이 벌써 예약이 끝났다고 한다.≪이투데이 2011년 1월≫
  • O 씨는 노인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날에는 이른 아침부터 직접 우족과 소꼬리 등을 고아 음식을 대접하는 등 노인들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무료로 점심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충청매일 2011년 3월≫

28. 우지 (牛脂) [우지]

한자: 牛(소 우), 脂(기름 지)

소의 지방 조직에서 얻은 기름. 백색의 덩어리로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기름불, 연고류, 식용유, 비누의 제조 원료가 된다.

29. 우차 (牛車) [우차]

한자: 牛(소 우), 車(수레 차)

소가 끄는 수레.

용례:

  • 우차 한 대.
  • 우차에서 내리다.
  • 우차를 타다.
  • 그는 우차에 볏단을 실었다.
  • 어디서 어디로 가는지는 모르나 그러나 오고 있던 나무 실은 우차들이 내 앞에 이르는 것이었다.≪변영로, 명정 40년≫
  • 한참 동안 우차 위에서 시름없이 흔들리던 이신은 문득 생각나는 것이 있어서 우차를 세우고….≪선우휘, 사도행전≫

30. 우피 (牛皮) [우피]

한자: 牛(소 우), 皮(가죽 피)

소의 가죽.

용례:

사람 십여 명이 들어가 용신할 만한 큰 궤짝을 튼튼히 만든 뒤에, 궤짝은 우피로 싸서 장갑(裝甲)을 만들고….≪박종화, 임진왜란≫

31. 우황 (牛黃) [우황]

한자: 牛(소 우), 黃(누를 황)

「1」소의 쓸개 속에 병으로 생긴 덩어리. 열을 없애고 독을 푸는 작용을 하여, 중풍ㆍ열병ㆍ경간(驚癇) 따위에 쓴다.
「2」황달의 하나. 눈과 얼굴 및 혀가 누런색을 띠며 말을 적게 하고 입을 다신다.

32. 우황청심환 (牛黃淸心丸) [우황청심환]

한자: 牛(소 우), 黃(누를 황), 淸(맑을 청), 心(마음 심), 丸(둥글 환)

우황, 인삼, 산약 따위를 비롯한 30여 가지의 약재로 만든 알약. 중풍으로 졸도하고 팔다리가 뻣뻣해지는 데나 간질, 경풍 따위에 쓴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