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壬 북방 임:

1. 임 (壬) [임:]

한자: 壬(북방 임:)

「1」천간(天干)의 아홉째.
「2」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서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3」이십사시(二十四時)의 스물넷째 시. 오후 열 시 반에서 열한 시 반까지이다.

2. 임년 (壬年) [임:년]

한자: 壬(북방 임:), 年(해 년)

천간(天干)이 임(壬)으로 된 해.

3. 임란 (壬亂) [임:난]

한자: 壬(북방 임:), 亂(어지러울 란:)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일본이 침입한 전쟁. 선조 31년(1598)까지 7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며, 1597년에 재침략한 것을 정유재란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용례:

임란 당시 좌수사 이순신의 전공은 청사에 남을 만큼 위대하다.

4. 임방 (壬方) [임:방]

한자: 壬(북방 임:), 方(모[棱] 방)

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북(正北)에서 서로 15도의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5. 임병양란 (壬丙兩亂) [임:병냥:난]

한자: 壬(북방 임:), 丙(남녘 병:), 兩(두 량:), 亂(어지러울 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임병양란을 겪다.

6. 임술 (壬戌) [임:술]

한자: 壬(북방 임:), 戌(개 술)

육십갑자의 쉰아홉째.

7. 임술민란 (壬戌民亂) [임:술밀란]

한자: 壬(북방 임:), 戌(개 술), 民(백성 민), 亂(어지러울 란:)

조선 철종 13년(1862)에 진주에서 시작되어 전국으로 확산한 민란. 삼정(三政)의 문란 등 국내 정치의 혼란과 병마절도사 백낙신의 가혹한 탄압을 견디지 못한 농민들이 일으켰다.

8. 임시 (壬時) [임:시]

한자: 壬(북방 임:), 時(때 시)

이십사시(二十四時)의 스물넷째 시. 오후 열 시 반에서 열한 시 반까지이다.

9. 임신 (壬申) [임:신]

한자: 壬(북방 임:), 申(납[猿] 신)

육십갑자의 아홉째.

10. 임신약조 (壬申約條) [임:신냑쪼]

한자: 壬(북방 임:), 申(납[猿] 신), 約(맺을 약), 條(가지 조)

조선 중종 7년(1512)에 쓰시마 도주(對馬島主)와 맺은 약조. 삼포 왜란을 계기로 삼포를 폐쇄하고 왜인과의 교역을 끊자 물자의 곤란을 받게 된 쓰시마 도주의 간청으로 이루어졌다.

11. 임신조약 (壬申條約) [임:신조약]

한자: 壬(북방 임:), 申(납[猿] 신), 條(가지 조), 約(맺을 약)

조선 중종 7년(1512)에 쓰시마 도주(對馬島主)와 맺은 약조. 삼포 왜란을 계기로 삼포를 폐쇄하고 왜인과의 교역을 끊자 물자의 곤란을 받게 된 쓰시마 도주의 간청으로 이루어졌다.

12. 임오 (壬午) [이:모]

한자: 壬(북방 임:), 午(낮 오:)

육십갑자의 열아홉째.

13. 임오군란 (壬午軍亂) [이:모굴란]

한자: 壬(북방 임:), 午(낮 오:), 軍(군사 군), 亂(어지러울 란:)

조선 고종 19년(1882)인 임오년에 구식 군대의 군인들이 신식 군대인 별기군과의 차별 대우와 밀린 급료에 불만을 품고 군제 개혁에 반대하며 일으킨 난리. 이를 계기로 다시 정권을 잡은 대원군은 여러 가지 개혁을 단행하는 등, 사태 수습에 노력하였으나 결국 실패하여 청나라에 압송되었으며, 조정은 일본과 제물포 조약을 맺게 되었다.

14. 임오옥 (壬午獄) [이:모옥]

한자: 壬(북방 임:), 午(낮 오:), 獄(옥[囚舍] 옥)

조선 영조 38년(1762) 임오년 5월에 영조가 사도 세자를 뒤주 속에 가두어 굶어 죽게 한 사건.

15. 임인 (壬人) [이:민]

한자: 壬(북방 임:), 人(사람 인)

간사하고 아첨 잘하는 소인(小人).

16. 임인 (壬寅) [이:민]

한자: 壬(북방 임:), 寅(범[虎]/동방 인)

육십갑자의 서른아홉째.

17. 임인옥 (壬寅獄) [이:미녹]

한자: 壬(북방 임:), 寅(범[虎]/동방 인), 獄(옥[囚舍] 옥)

‘신임사화’를 달리 이르는 말. 조선 경종 2년(1722) 임인년에 대옥(大獄)이 끝났다는 뜻으로 이와 같이 이른다.

18. 임일 (壬日) [이:밀]

한자: 壬(북방 임:), 日(날 일)

천간(天干)이 임(壬)으로 된 날.

19. 임자 (壬子) [임:자]

한자: 壬(북방 임:), 子(아들 자)

육십갑자의 마흔아홉째.

20. 임좌 (壬坐) [임:좌]

한자: 壬(북방 임:), 坐(앉을 좌:)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임방(壬方)을 등지고 앉은 자리. 서북 방향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용례:

장군의 무덤은 아산 금성산(錦城山) 아래 모시었다가 뒤에 어라산(於羅山) 임좌로 옮겨 모시었다.

21. 임좌병향 (壬坐丙向) [임:좌병:향]

한자: 壬(북방 임:), 坐(앉을 좌:), 丙(남녘 병:), 向(향할 향:)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임방(壬方)을 등지고 병방(丙方)을 향한 방향. 서북 방향을 등지고 동남 방향을 바라보는 방향이다.

용례:

경복궁은 정남향에서 약간 동으로 틀어진 임좌병향으로 건립되었다.

22. 임진 (壬辰) [임:진]

한자: 壬(북방 임:), 辰(별 진)

육십갑자의 스물아홉째.

23. 임진란 (壬辰亂) [임:진난]

한자: 壬(북방 임:), 辰(별 진), 亂(어지러울 란:)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일본이 침입한 전쟁. 선조 31년(1598)까지 7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며, 1597년에 재침략한 것을 정유재란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용례:

원래 남원은 호남과 영남 사이에 있는 요해처로, 임진란 때도 명장 낙상지(駱尙志)가 이곳을 지켜서 왜적이 감히 침범을 못했던 곳이다.

24. 임진록 (壬辰錄) [임:진녹]

한자: 壬(북방 임:), 辰(별 진), 錄(기록할 록)

조선 시대의 역사 소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하면서도 실재의 사실과는 다소 다르게 영웅적 과장을 덧붙여 허구화한 것으로, 이순신ㆍ곽재우ㆍ사명당을 비롯한 많은 영웅들이 등장하여 곳곳에서 도술 따위를 이용한 눈부신 활약으로 왜적을 굴복시킨다는 내용이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25. 임진왜란 (壬辰倭亂) [임:지놰란]

한자: 壬(북방 임:), 辰(별 진), 倭(왜나라 왜), 亂(어지러울 란:)

조선 선조 25년(1592)에 일본이 침입한 전쟁. 선조 31년(1598)까지 7년 동안 두 차례에 걸쳐 침입하였으며, 1597년에 재침략한 것을 정유재란으로 달리 부르기도 한다.

용례:

  • 임진왜란이 발발하다.
  • 임진왜란이 일어나다.
  • 임진왜란을 겪다.
  • 임진왜란을 일으키다.

26. 임진자 (壬辰字) [임:진자]

한자: 壬(북방 임:), 辰(별 진), 字(글자 자)

조선 영조 48년(1772) 임진년에 만든 구리 활자. 정조가 동궁(東宮)으로 있을 때 영조에게 간청하여 만든 것으로 갑인자를 자본(字本)으로 하여 15만 자를 주조하였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