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전 (田) [전]
한자: 田(밭 전)
물을 대지 아니하거나 필요한 때에만 물을 대어서 야채나 곡류를 심어 농사를 짓는 땅.
2. 전곡 (田穀) [전곡]
한자: 田(밭 전), 穀(곡식 곡)
밭에서 나는 온갖 곡식.
용례:
밭에다 들깨, 메밀, 콩, 팥 등의 전곡을 심었다.
3. 전권 (田券) [전권]
한자: 田(밭 전), 券(문서 권)
논밭의 매도 증서. 또는 관부(官府)에 교부(交付)하는 토지 소유의 문서.
용례:
전권을 잡히고 돈을 빌리다.
4. 전답 (田畓) [전답]
한자: 田(밭 전), 畓(논 답)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자금이 마음대로 융통되지 않고 하여 마침내 아버지의 인감을 위조해 가지고 샘마을 전답을 팔아먹었던 것이다.≪황순원, 별과 같이 살다≫
5. 전량 (田粮) [절량]
한자: 田(밭 전), 粮(양식 량)
땅과 곡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수백 명 떼 지어 수령이 돌아가는 길을 가로막고 늑탈한 전량을 돌려달라고 울며불며 아우성치는 일이 팔도에 비일비재하였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6. 전량 (田糧) [절량]
한자: 田(밭 전), 糧(양식 량)
전세(田稅)로 거두어들이던 양곡.
용례:
강경 땅에서 행수님께서 거두셔야 할 전량을 쇤네가 중도에서 가로채고 서울로 야반도주하여….≪김주영, 객주≫
7. 전렵 (田獵) [절렵]
한자: 田(밭 전), 獵(사냥 렵)
총이나 활 또는 길들인 매나 올가미 따위로 산이나 들의 짐승을 잡는 일.
용례:
전렵을 좋아하면 몰이를 잘하는 자가 그 민첩한 솜씨를 드러내려 하며….≪번역 연산군일기≫
8. 전리 (田里) [절리]
한자: 田(밭 전), 里(마을 리:)
자기가 태어나서 자란 곳.
용례:
벼슬하지 않고 전리에 물러날 계책만을 하니….≪번역 중종실록≫
9. 전야 (田野) [저냐]
한자: 田(밭 전), 野(들[坪] 야:)
「1」논밭으로 이루어진 들.
「2」시골이나 농촌을 이르는 말.
용례:
- 「1」고을의 전야가 개척되고 호구가 증가되고 부역이 고르고 학교가 일어나고 송사가 간단하냐….≪홍명희, 임꺽정≫
- 「2」저 전야의 부드러움을 보고 그리고 시선을 당기어 도시를 보아라.≪장용학, 비인 탄생≫
10. 전우치전 (田禹治傳) [저누치전]
한자: 田(밭 전), 禹(성(姓) 우(:)), 治(다스릴 치), 傳(전할 전)
조선 시대의 소설. 담양(潭陽)에 실존하였던 전우치를 주인공으로 하고 있으며, 도술을 배운 전우치가 탐관오리를 괴롭히고 빈민을 구제하다가 서경덕에게 혼난 후 그의 제자가 되어 태백산에 들어갔다는 내용이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11. 전원 (田園) [저눤]
한자: 田(밭 전), 園(동산 원)
논과 밭이라는 뜻으로, 도시에서 떨어진 시골이나 교외(郊外)를 이르는 말.
용례:
- 한가로운 전원 풍경.
- 그는 부귀를 추구하는 마음을 버리고 전원으로 돌아와서 청빈한 은거 생활로 일생을 보냈다.
- 중섭은 오래간만에 버스에 흔들리면서 전원 경치를 바라보고 있었다.≪오상원, 백지의 기록≫
12. 전원생활 (田園生活) [저눤생활]
한자: 田(밭 전), 園(동산 원), 生(날 생), 活(살 활)
도시를 떠나 전원에서 한가하게 지내는 생활.
용례:
그는 말년을 시골에서 전원생활을 하며 보냈다.
13. 전원주택 (田園住宅) [저눤주:택]
한자: 田(밭 전), 園(동산 원), 住(살 주:), 宅(집 택)
농경지나 녹지 따위가 있어서 시골의 정취를 느낄 수 있게 교외에 지은 주택.
용례:
요즘 서울 근교에 텃밭이 딸린 전원주택을 마련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부쩍 늘었다.
14. 전작 (田作) [전작]
한자: 田(밭 전), 作(지을 작)
「1」밭에서 짓는 농사.
「2」밭에서 나는 온갖 곡식.
용례:
「1」전작 지대.
15. 전장 (田莊) [전장]
한자: 田(밭 전), 莊(씩씩할 장)
개인이 소유하는 논밭.
용례:
- 기씨네 일문이 지금 지니고 있는 전장은 천 리에 가득히 뻗쳤다.≪박종화, 다정불심≫
- 그가 몇 해 동안 두고두고 장만한 전장이 밭 십여 일 갈이와 논 이십 석지기였다.≪심훈, 영원의 미소≫
16. 전제 (田制) [전제]
한자: 田(밭 전), 制(절제할 제:)
논밭에 관한 제도.
용례:
- 전제 개혁.
- 전제를 정비하다.
17. 전조 (田租) [전조]
한자: 田(밭 전), 租(조세 조)
「1」논밭에 대한 조세(租稅).
「2」고려 시대의 전시과나 조선 시대의 과전법에서 수조권자가 경작자에게서 받는 일종의 토지 사용료. 수확량의 약 1/10 정도를 낸다.
용례:
「2」관서의 제읍에서는 공용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전조를 예징한다 하니, 그것은 또한 웬일이오니까?≪김동인, 운현궁의 봄≫
18. 전주 (田主) [전주]
한자: 田(밭 전), 主(임금/주인 주)
논밭의 임자.
용례:
원래 진전을 관에 진고하여 기경한 자에게는 삼 년 동안 면세해 주고, 십 년간 경작권을 주며, 그사이에 전주가 나타나면 전주에게 소작료를 주도록 되어 있는데….≪문순태, 타오르는 강≫
19. 전지 (田地) [전지]
한자: 田(밭 전), 地(따 지)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그들은 꾸준한 노력으로 중국인의 전지 위에 있는 산기슭의 불모지를 괭이와 호미질을 하여 손으로 심고 손으로 거두며….≪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20. 전택 (田宅) [전택]
한자: 田(밭 전), 宅(집 택)
논밭과 집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전택을 사들이다.
- 이 일대의 전택은 대부분 김 영감님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21. 전토 (田土) [전토]
한자: 田(밭 전), 土(흙 토)
논과 밭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전토를 장만하다.
- 대대로 내려오는 백성들의 세업과 전토와 종들도 권문세가 그들이 뺏어 가 버렸다.≪박종화, 다정불심≫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