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 (井) [정]
한자: 井(우물 정)
육십사괘(六十四卦)의 하나. 감괘(坎卦)와 손괘(巽卦)가 거듭된 것으로 나무 위에 물이 있음을 상징한다.
2. 정 (井) [정]
한자: 井(우물 정)
「1」이십팔수의 스물두째 별자리의 별들. 주성(主星)은 쌍둥이자리에 있는 뮤성(μ星)이다.
「2」이십팔수의 스물두째 별자리.
3. 정간 (井間) [정간]
한자: 井(우물 정), 間(사이 간(:))
바둑판 따위와 같이, 가로세로로 여러 개의 나란한 금을 그어 ‘井’ 자 모양으로 된 각각의 칸살.
용례:
- 정간을 그리다.
- 정간을 치다.
4. 정간지 (井間紙) [정간지]
한자: 井(우물 정), 間(사이 간(:)), 紙(종이 지)
글씨를 쓸 때에, 글자의 간격을 고르게 하기 위하여 정간(井間)을 그어 글씨를 쓸 종이 밑에 받치는 종이.
5. 정구 (井臼) [정구]
한자: 井(우물 정), 臼(절구 구)
물을 긷고 절구질하는 일이라는 뜻으로, 살림살이의 수고로움을 이르는 말.
6. 정루 (井樓) [정누]
한자: 井(우물 정), 樓(다락 루)
싸움터에서, 사람이 올라가 적진을 정찰하는 데 알맞은 곳에 세운 망루.
7. 정수 (井水) [정수]
한자: 井(우물 정), 水(물 수)
우물에서 나는 물. 또는 우물에서 길어 낸 물.
용례:
때는 성염이라 당가에 도착하는 길로 정수에 세면 탁족하고….
8. 정연 (井然) [정연]
한자: 井(우물 정), 然(그럴 연)
‘정연하다’
(짜임새와 조리가 있다.)의 어근.
9. 정연히 (井然히) [정연히]
한자: 井(우물 정), 然(그럴 연)
짜임새와 조리가 있게.
용례:
논리를 정연히 전개해 나가다.
10. 정염 (井鹽) [정염]
한자: 井(우물 정), 鹽(소금 염)
소금기가 녹아 있는 지하수에서 얻은 소금.
11. 정와 (井蛙) [정와]
한자: 井(우물 정), 蛙(개구리 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2. 정읍 (井邑) [정읍]
한자: 井(우물 정), 邑(고을 읍)
신라 때에 만들어진 아악(雅樂)의 하나. 궁중의 중요한 연례(宴禮)와 무용에 연주하던 관악으로 국가의 태평과 민족의 번영을 구가한 내용으로 되어 있다.
13. 정읍 (井邑) [정읍]
한자: 井(우물 정), 邑(고을 읍)
「1」전라북도의 남쪽 중앙에 있는 시. 호남평야와 노령산맥을 끼고 있어 농업 및 농산물 제조업 따위가 발달하고, 칠보 수력 발전소 따위의 동력원이 풍부하다. 명승지로 내장산, 민락정, 무성 서원, 영은사, 초산성지 등이 있다. 1995년 1월 행정 구역 개편 때 정주시와 정읍군이 통합되면서 신설되었다. 면적은 692.96㎢.
「2」‘정주01’의 옛 이름.
14. 정읍사 (井邑詞) [정읍싸]
한자: 井(우물 정), 邑(고을 읍), 詞(말/글 사)
백제 때의 가요. 행상을 나가 늦도록 돌아오지 않는 남편을 걱정하는 아내의 심정을 노래한 것으로, 가사가 전하는 유일한 백제 가요이며, 한글로 기록되어 전하는 가요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악학궤범≫에 실려 있다.
15. 정저와 (井底蛙) [정저와]
한자: 井(우물 정), 底(밑 저:), 蛙(개구리 와)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6. 정전 (井田) [정전]
한자: 井(우물 정), 田(밭 전)
고대 중국의 하나라ㆍ은나라ㆍ주나라에서 실시한 토지 제도. 주나라에서는 사방 1리(里)의 농지를 ‘井’ 자 모양으로 100무(畝)씩 9등분 한 다음, 그 중앙의 한 구역을 공전(公田)이라고 하고, 둘레의 여덟 구역을 사전(私田)이라고 하여 여덟 농가에게 맡기고 여덟 집에서 공동으로 공전을 부치어 그 수확을 나라에 바치게 하였다.
17. 정정 (井井) [정정]
한자: 井(우물 정), 井(우물 정)
‘정정하다’
(「1」질서나 조리가 정연하다.
「2」왕래가 빈번하다.)의 어근.
18. 정중수 (井中水) [정중수]
한자: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水(물 수)
육십갑자의 갑신(甲辛)ㆍ을유(乙酉)에 붙이는 납음(納音).
19. 정화수 (井華水) [정화수]
한자: 井(우물 정), 華(빛날 화), 水(물 수)
이른 새벽에 길은 우물물. 조왕에게 가족들의 평안을 빌면서 정성을 들이거나 약을 달이는 데 쓴다.
용례:
- 정화수를 떠 놓고 빌다.
- 글쎄요, 예전에는 소를 잡기 전에 도수장 안에다 정화수를 뿌리고 그랬는데 요즘엔 아까 그 할아버지가 추석날 간단한 제를 지낼 뿐입죠.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