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 문학성 (文學性) [문학썽]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性(성품 성:)
문학 작품으로서의 예술성.
용례:
- 문학성이 높다.
- 신경이 추상 명사가 아닌 게 마치 그에게 아직도 조금은 남아 있을 문학성을 아주 잃게 되는 일처럼 허전했다.
142. 문학소녀 (文學少女) [문학쏘:녀]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少(적을 소:), 女(계집 녀)
문학을 좋아하고 문학 작품의 창작에 뜻이 있는 소녀. 또는 문학적 분위기를 좋아하는 낭만적인 소녀.
용례:
문학소녀의 특징이 대체로 그렇듯, 그녀는 방 안에만 틀어박혀 꿈을 먹고 살았다.
143. 문학열 (文學熱) [문항녈]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熱(더울 열)
문학을 하려는 열의나 열정.
용례:
- 문학열이 높다.
- 신춘문예라는 제도가 있는 신문이란 신문에는 모조리 투고를 할 수 있었을 만큼 많은 양을 쓸 수 있게 한 그 엉뚱한 문학열은 어쩌면 가망 없는 고시에 대한 비뚤어진 화풀이나 아니었던지.
144. 문학인 (文學人) [문하긴]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人(사람 인)
문학을 창작하거나 연구하는 사람.
용례:
가뜩이나 위축되어 있는 피고 측에 서서 문학인으로서 문학의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지 못하고….
145. 문학자 (文學者) [문학짜]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者(놈 자)
문학을 창작하거나 연구하는 사람.
용례:
잊을 수 없는 데서 오는 절망과 고통은 자고로 많은 문학자들의 묘사의 대상이 되어….
146. 문학잡지 (文學雜誌) [문학짭찌]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雜(섞일 잡), 誌(기록할 지)
문학 작품이나 문학에 관한 기사를 주로 싣는 잡지.
용례:
그때는 막 방학이 시작된 무렵이었고 나는 창고의 내 방에서 문학잡지를 뒤적거리고 있던 중이었다.
147. 문학적 (文學的) [문학쩍]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的(과녁 적)
[Ⅰ]문학과 관련되어 있거나 문학의 특성을 지닌 것.
[Ⅱ]문학과 관련되어 있거나 문학의 특성을 지닌.
용례:
- [Ⅰ]문학적인 견지.
- [Ⅰ]문학적으로 표현하다.
- [Ⅱ]문학적 활동.
- [Ⅱ]한문학도 우리의 문학적 유산이다.
- [Ⅱ]등록금 때문에 뛰어다니는 사이에 그의 문학적 모험에 대한 감정은 더욱 사그라지고 가라앉아 버렸다.
148. 문학청년 (文學靑年) [문학청년]
한자: 文(글월 문), 學(배울 학), 靑(푸를 청), 年(해 년)
문학을 좋아하고 문학 작품의 창작에 뜻이 있는 청년. 또는 문학적 분위기를 좋아하는 낭만적인 청년.
용례:
임명빈은 예의 그 낭만적인 문학청년 같은 동경에 빠져 가는 것이다.
149. 문한 (文翰) [문한]
한자: 文(글월 문), 翰(편지 한:)
「1」문필(文筆)에 관한 일.
「2」글을 잘 짓는 사람.
용례:
「1」오도일은 사람됨이 충성스럽고 소박하여 문한에 능하니, 경연의 소임은 진실로 이런 사람이 합당하다.
150. 문한가 (文翰家) [문한가]
한자: 文(글월 문), 翰(편지 한:), 家(집 가)
대대로 글과 글씨의 재주가 있는 사람이 난 집안.
용례:
그는 본군에 사는 정 선생이었다. 동래 정씨로 행세하는 집안이지만, 대대 문한가로 유명한 집안이다.
151. 문해 (文解) [문해]
한자: 文(글월 문), 解(풀 해:)
글을 읽고 이해함.
용례:
문해 능력이 떨어지다.
152. 문해력 (文解力) [문해력]
한자: 文(글월 문), 解(풀 해:), 力(힘 력)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
용례:
- 정보 문해력 증진.
- 한글을 단순히 읽고 쓰는 것뿐만 아니라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문해력을 지녀야 한다.
153. 문헌 (文獻) [문헌]
한자: 文(글월 문), 獻(드릴 헌:)
「1」옛날의 제도나 문물을 아는 데 증거가 되는 자료나 기록.
「2」연구의 자료가 되는 서적이나 문서.
용례:
- 「1」역대의 문헌 자료를 통해서 국어의 역사를 알아볼 수 있다.
- 「1」우리나라에서 언제부터 다듬잇돌을 사용했는가는 여태껏 아무런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가 없다.
- 「2」문헌을 참고하다.
- 「2」하영근은 노신이 쓴 거나 그에 관한 문헌은 모조리 모으고 있다면서 그것을 시기가 오면 규나 태영에게 보여 주겠다고 약속했다.
154. 문헌집 (文獻集) [문헌집]
한자: 文(글월 문), 獻(드릴 헌:), 集(모을 집)
문헌들을 묶어 놓은 책.
용례:
문헌집을 발간하다.
155. 문형 (文型) [문형]
한자: 文(글월 문), 型(모형 형)
언어 요소가 문장 속에서 어떻게 배치되고 결합되는지를 형식화하고 규칙화하여 분류한 글의 유형.
용례:
기본 문형.
156. 문호 (文豪) [문호]
한자: 文(글월 문), 豪(호걸 호)
뛰어난 문학 작품을 많이 써서 알려진 사람.
용례:
자기 자신을 키워 세계적인 문호가 되었다는 것은 대단한 일이라고 하면서 그런 사람이야말로 위대한 인물이라고 했습니다.
157. 문화 (文化) [문화]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1」자연 상태에서 벗어나 일정한 목적 또는 생활 이상을 실현하고자 사회 구성원에 의하여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동 양식이나 생활 양식의 과정 및 그 과정에서 이룩하여 낸 물질적ㆍ정신적 소득을 통틀어 이르는 말. 의식주를 비롯하여 언어, 풍습, 종교, 학문, 예술, 제도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2」권력이나 형벌보다는 문덕(文德)으로 백성을 가르쳐 인도하는 일.
「3」학문을 통하여 인지(人智)가 깨어 밝게 되는 것.
용례:
- 「1」구석기 문화.
- 「1」귀족 문화.
- 「1」근대 문화.
- 「1」유목 문화.
- 「1」문화를 교류하다.
- 「1」문화를 창조하다.
- 「1」새로운 문화에 접하다.
- 「1」찬란한 문화의 꽃을 피우다.
158. 문화 (文火) [문화]
한자: 文(글월 문), 火(불 화(:))
약하지만 끊이지 않고 꾸준히 타는 불.
용례:
된장찌개는 문화로 서서히 오랫동안 끓여야 맛이 좋다.
159. 문화 (文華) [문화]
한자: 文(글월 문), 華(빛날 화)
「1」문장이 아름답고 화려함. 또는 훌륭하게 잘된 문장.
「2」문화의 찬란함.
용례:
「1」글을 잘한다 하여 반드시 다 선한 사람은 아닙니다. 덕보다 재주가 넘치는 자는 도리어 소인이 됩니다. 오직 학문에 종사하면서 다시 문화를 닦아 가는 자가 바로 군자입니다.
160. 문화계 (文化界) [문화계]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界(지경 계:)
문화에 관련된 일에 종사하는 조직체나 개인의 활동 분야.
용례:
- 문화계의 대가.
- 김 선생, 선생은 최고 학부를 나왔어요. 또 지식 산업의 역군으로 문화계의 가장 첨단에서 일하고 있소.
161. 문화권 (文化圈) [문화꿘]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圈(우리[牢] 권)
공통된 특징을 보이는 어떤 문화가 지리적으로 분포하는 범위.
용례:
이슬람 문화권.
162. 문화물 (文化物) [문화물]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物(물건 물)
문화 활동에 의하여 만들어진 문화적 가치가 있는 산물.
용례:
언어는 의식주보다도 민중 전체가 평등하게 가지는 최대의 문화물이다.
163. 문화부 (文化部) [문화부]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部(떼 부)
「1」신문사 따위에서, 예술ㆍ교육ㆍ학술 따위의 각 분야에 관한 일이나 사건을 맡아 보도하는 부서.
「2」학교 따위에서, 문화에 관한 일을 맡아보는 부서.
용례:
- 「1」문화부 소속 기자.
- 「1」그날로 김달수는 사회부로 소속을 옮겼다. 내게도 문화부로 가라는 명령이 있었다.
164. 문화비 (文化費) [문화비]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費(쓸 비:)
「1」국가 재정에서, 교육ㆍ예술 따위의 일반 문화 발전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비용.
「2」가계비 가운데 사교, 교양, 오락 따위에 쓰는 비용.
용례:
「2」어머니가 두 개의 어금니만 뽑지 않았다면 우리는 그달에 삼천 원의 돈을 문화비로 지출할 뻔했다.
165. 문화사 (文化史) [문화사]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史(사기(史記) 사:)
인간 내면의 정신생활에 대한 역사. 곧 학문ㆍ예술ㆍ사상 따위의 정신문화의 역사를 가리키는 것으로, 넓은 뜻으로는 정치ㆍ경제ㆍ제도ㆍ풍속ㆍ과학ㆍ예술 따위의 모든 인간 생활의 영역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역사를 뜻하기도 한다.
용례:
인류 문화사.
166. 문화생활 (文化生活) [문화생활]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生(날 생), 活(살 활)
「1」문화 가치의 실현에 노력하여 문화 산물을 음미하고 즐기는 생활.
「2」가정생활에서, 새로운 문화적 생활용품의 이용으로 영위하는 생활.
167. 문화원 (文化院) [문화원]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院(집 원)
「1」한 사회에서 이루어진 문화를 한눈에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공간.
「2」각국 대사관들이 그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직접 접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공간.
용례:
- 「1」홍 박사의 경쟁자는 따로 공주 쪽 추천을 얻어 나온 그쪽 문화원 관계 인사로서 홍 박사와는 같은 백제사 전공의 소장 학자였다.
- 「2」미국 문화원.
- 「2」프랑스 문화원.
168. 문화유산 (文化遺産) [문화유산]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遺(남길 유), 産(낳을 산:)
장래의 문화적 발전을 위하여 다음 세대 또는 젊은 세대에게 계승ㆍ상속할 만한 가치를 지닌 과학, 기술, 관습, 규범 따위의 민족 사회 또는 인류 사회의 문화적 소산. 정신적ㆍ물질적 각종 문화재나 문화 양식 따위를 모두 포함한다.
용례:
- 고대의 문화유산.
- 우리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세계에 알리다.
169. 문화인 (文化人) [문화인]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人(사람 인)
「1」높은 문화생활을 누리고 있거나 문화적 교양이 있는 사람.
「2」학문, 예술 따위의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
용례:
- 「1」문명이 발달할수록 고도의 문화인일수록 욕망의 종류가 다원적이다.
- 「2」그런 날이 만일에 온다 하더라도 그것은 이 나라의 정치인, 경제인, 문화인들의 공동 책임이요, 일본을 탓할 노릇이 못 된다.
170. 문화재 (文化財) [문화재]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1」문화 활동에 의하여 창조된 가치가 뛰어난 사물.
「2」문화재 보호법이 보호의 대상으로 정한 유형 문화재, 무형 문화재, 민속 문화재, 천연기념물, 사적, 명승지 따위를 이르는 말.
용례:
- 「1」왜병들을 시켜 궁중의 보물, 또는 값진 문화재들을 끌어내어 모조리 제물포로 보내도록 했다.
- 「2」집 전체가 문화재로 지정되었고, 나무들도 보호수로 지정될 정도였다.
171. 문화재청 (文化財廳) [문화재청]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문화재의 보존, 관리, 활용, 조사, 연구 및 선양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1999년 5월 행정 조직 개편 때 문화재 관리국에서 승격되었다.
172. 문화적 (文化的) [문화적]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的(과녁 적)
[Ⅰ]「1」문화와 관련된 것.
[Ⅰ]「2」높은 문화 수준에 있는 것.
[Ⅱ]「1」문화와 관련된.
[Ⅱ]「2」높은 문화 수준에 있는.
용례:
- [Ⅰ]「1」문화적인 터전.
- [Ⅰ]「1」문화적인 충격.
- [Ⅱ]「1」문화적 특성.
173. 문화전 (文化展) [문화전]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展(펼 전:)
문화재 따위를 사람들에게 널리 보이는 전람회.
용례:
- 고구려 문화전.
- 식생활 문화전.
174. 문화제 (文化祭) [문화제]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祭(제사 제:)
문화를 주제로 하거나 문화와 관련된 내용으로 꾸린 축제나 기념행사.
용례:
- 문화제를 개최하다.
- 지역마다 그 지역의 문화적 특색을 나타내는 문화제가 있으므로 여행 계획을 세울 때 이를 고려하면 좋다.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文 글월 문 - 1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文 글월 문 - 2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文 글월 문 - 3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文 글월 문 - 4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