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단음(短音)] 乙 새 을

1. 을 (乙) [을]

한자: 乙(새 을)

「1」둘 이상의 사물이 있을 때 그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
「2」차례나 등급을 매길 때 둘째를 이르는 말.
「3」천간(天干)의 둘째.
「4」이십사방위의 하나. 정동(正東)에서 남으로 15도 방위를 중심으로 한 15도 각도 안의 방향이다.
「5」이십사시(二十四時)의 여덟째 시. 오전 여섯 시 반부터 일곱 시 반까지이다.

용례:

  • 「1」예를 들어 갑과 을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하자.
  • 「1」갑의 성공은 을의 실패를 조건으로 한다는 것이 적자생존의 논리일 것이다.

2. 을골 (乙骨) [을골]

한자: 乙(새 을), 骨(뼈 골)

호랑이의 가슴 양쪽에 있는 ‘乙’ 자 모양의 뼈.

3. 을년 (乙年) [을련]

한자: 乙(새 을), 年(해 년)

천간(天干)이 을(乙)로 된 해.

4. 을람 (乙覽) [을람]

한자: 乙(새 을), 覽(볼 람)

임금이 밤에 독서하는 일. 임금이 낮에는 정사를 보고 자기 전인 을야(乙夜), 곧 밤 9시부터 11시까지 책을 읽는다고 하여 생겨난 말이다.

5. 을묘 (乙卯) [을묘]

한자: 乙(새 을), 卯(토끼 묘:)

육십갑자의 쉰두째.

6. 을미 (乙未) [을미]

한자: 乙(새 을), 未(아닐 미(:))

육십갑자의 서른두째.

7. 을미개혁 (乙未改革) [을미개:혁]

한자: 乙(새 을), 未(아닐 미(:)), 改(고칠 개(:)), 革(가죽 혁)

조선 고종 32년(1895)에 일본에 의지하여 조선의 개화파 관료들이 추진한 국정 개혁. 갑신정변과 동학 농민 운동의 기반 위에서 차별적인 신분 제도를 폐지하고 근대적 평등 사회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자주독립을 국내외에 선포한 최초의 선언인 홍범 십사 조를 반포하였다.

8. 을미사변 (乙未事變) [을미사:변]

한자: 乙(새 을), 未(아닐 미(:)), 事(일 사:), 變(변할 변:)

조선 고종 32년(1895)에 일본의 자객들이 경복궁을 습격하여 명성 황후를 죽인 사건. 일본 공사 미우라 고로(三浦梧樓) 등이 친러파 세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으켰으며, 이로 인하여 고종이 러시아 공관으로 파천하였다.

9. 을부 (乙部) [을부]

한자: 乙(새 을), 部(떼 부)

중국 고전을 경(經), 사(史), 자(子), 집(集)의 네 부로 나눌 때 사에 속하는 부류. 역사, 지리, 관직 따위를 다룬 책이 이에 속한다.

10. 을사 (乙巳) [을싸]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육십갑자의 마흔두째.

11. 을사늑약 (乙巳勒約) [을싸느갹]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勒(굴레 륵), 約(맺을 약)

대한 제국 광무 9년(1905)에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맺은 조약. 고종 황제가 끝까지 재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 무효의 조약이다.

12. 을사사화 (乙巳士禍) [을싸사:화]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士(선비 사:), 禍(재앙 화:)

조선 명종 즉위년(1545)에 일어난 사화. 인종이 죽자 새로 즉위한 명종의 외숙인 소윤(小尹)의 거두 윤원형이 인종의 외숙인 대윤(大尹)의 거두 윤임 일파를 몰아내는 과정에서 대윤파에 가담했던 사림(士林)이 크게 화를 입었다.

13. 을사오적 (乙巳五賊) [을싸오:적]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五(다섯 오:), 賊(도둑 적)

구한말에 을사조약의 체결에 가담한 다섯 매국노. 외부대신 박제순, 내부대신 이지용, 군부대신 이근택, 학부대신 이완용, 농상공부대신 권중현을 이른다.

14. 을사오조약 (乙巳五條約) [을싸오:조약]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五(다섯 오:), 條(가지 조), 約(맺을 약)

대한 제국 광무 9년(1905)에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맺은 조약. 고종 황제가 끝까지 재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 무효의 조약이다.

15. 을사조약 (乙巳條約) [을싸조약]

한자: 乙(새 을), 巳(뱀 사:), 條(가지 조), 約(맺을 약)

대한 제국 광무 9년(1905)에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빼앗기 위하여 강제적으로 맺은 조약. 고종 황제가 끝까지 재가하지 않았기 때문에 원인 무효의 조약이다.

16. 을야 (乙夜) [으랴]

한자: 乙(새 을), 夜(밤 야:)

‘이경’(하룻밤을 오경(五更)으로 나눈 둘째 부분. 밤 아홉 시부터 열한 시 사이이다)을 오야(五夜)의 하나로 이르는 말.

17. 을유 (乙酉) [으류]

한자: 乙(새 을), 酉(닭 유)

육십갑자의 스물두째.

18. 을유자 (乙酉字) [으류자]

한자: 乙(새 을), 酉(닭 유), 字(글자 자)

조선 세조 11년(1465)에 원각경(圓覺經)을 찍기 위하여 만든 구리 활자. 정난종의 서체(書體)를 본(本)으로 삼았다.

19. 을일 (乙日) [으릴]

한자: 乙(새 을), 日(날 일)

천간(天干)이 을(乙)로 된 날.

20. 을자진 (乙字陣) [을짜진]

한자: 乙(새 을), 字(글자 자), 陣(진칠 진)

전라 풍물놀이 판굿의 하나. 한 줄로 곧게 일자진(一字陣)을 친 다음 상쇠가 앞에서 방향을 꺾어 ‘乙’ 자 모양으로 나아간다.

21. 을자집 (乙字집) [을짜집]

한자: 乙(새 을), 字(글자 자)

용마루를 ‘乙’ 자 모양으로 만든 집.

22. 을자형 (乙字形) [을짜형]

한자: 乙(새 을), 字(글자 자), 形(모양 형)

길, 강물 또는 길게 뻗은 줄기 따위가 ‘乙’ 자 모양으로 생긴 것을 이르는 말.

용례:

  • 을자형으로 벌판을 가로지르고 있는 강물.
  • 산촌 마을로 진입하는 길은 계속 을자형으로 이어져 있었다.

23. 을종 (乙種) [을쫑]

한자: 乙(새 을), 種(씨 종(:))

「1」갑, 을, 병 따위로 차례를 매길 때에 그 둘째 종류.
「2」예전에, 병역 판정 검사에서 정하던 신체 등급의 하나.

용례:

  • 「1」을종 면허.
  • 「1」을종 합격.
  • 「1」을종의 급에 속하다.
  • 「1」을종이 갑종으로 올라가다.
  • 「1」을종 자격증을 얻다.
  • 「2」

24. 을좌 (乙坐) [을쫘]

한자: 乙(새 을), 坐(앉을 좌:)

묏자리나 집터 따위가 을방(乙方)을 등진 방향. 또는 그렇게 앉은 자리. 동남쪽을 등지고 앉은 자리이다.

25. 을지문덕 (乙支文德) [을찌문덕]

한자: 乙(새 을), 支(지탱할 지), 文(글월 문), 德(큰 덕)

고구려 영양왕 때의 장군(?~?). 영양왕 23년(612)에 중국 수나라 양제가 고구려에 대군을 이끌고 쳐들어오자 이를 살수에서 물리쳤다. 지략과 무용에 뛰어났으며 시문에도 능하였다. 살수 대첩에서 적장 우중문에게 전한 전략적인 오언 절구의 시 <유우중문시(遺于仲文詩)>가 전한다.

26. 을지연습 (乙支演習) [을찌연:습]

한자: 乙(새 을), 支(지탱할 지), 演(펼 연:), 習(익힐 습)

적의 침략에 대비하여 군인, 관청, 민간이 함께 전국 주요 도시에서 해마다 실시하는 연습. 민방공 훈련, 등화관제, 야간 통금 훈련, 교통 통제 따위를 실시한다.

27. 을지형 (乙支型) [을찌형]

한자: 乙(새 을), 支(지탱할 지), 型(모형 형)

택견에서, 다리의 힘과 뜀뛰기 훈련에 주력하는 연습 동작.

28. 을축 (乙丑) [을축]

한자: 乙(새 을), 丑(소 축)

육십갑자의 둘째.

29. 을축갑자 (乙丑甲子) [을축깝짜]

한자: 乙(새 을), 丑(소 축), 甲(갑옷 갑), 子(아들 자)

육십갑자에서 갑자 다음에 을축이 오게 되어 있는데 을축이 먼저 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 제대로 되지 아니하고 순서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용례: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하여 동서남북의 방향 감각을 상실한 채 전방도 없고 후방도 없이 깨어진 사금파리 천지 사방으로 튀어 버리듯 전투가 을축갑자로 번져 나가면서 모든 것은 아수라장 속으로 뒤죽박죽이 되어 갔다.

30. 을해 (乙亥) [을해]

한자: 乙(새 을), 亥(돼지 해)

육십갑자의 열두째.

31. 을해자 (乙亥字) [을해자]

한자: 乙(새 을), 亥(돼지 해), 字(글자 자)

조선 세조가 즉위한 을해년, 즉 1455년에 만든 구리 활자. 강희안의 서체를 본으로 하였는데, 대ㆍ중ㆍ소의 세 종이 있고 갑인자보다 획이 곧고 바르며 약간 옆으로 벌어져 있는 것이 특색이다. 현존하는 활자는 없으며, 이 활자로 찍은 150여 종의 책 가운데 ≪분류두공부시(分類杜工部詩)≫ 등 일부가 전한다.

32. 을호증 (乙號證) [을호쯩]

한자: 乙(새 을), 號(이름 호(:)), 證(증거 증)

민사 소송의 변론에서, 피고가 제출한 서증(書證). 당사자가 제출하는 서증에 관하여 제출자를 명백히 하기 위하여 관용적으로 사용하는 부호이다.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