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감독관청 (監督官廳) [감독꽌청]
한자: 監(볼 감), 督(감독할 독), 官(벼슬 관), 廳(관청 청)
지휘하고 단속하는 권한을 가진 관청.
용례:
그 문제는 감독관청에 직접 찾아가야만 해결될 것 같다.
2. 감독청 (監督廳) [감독청]
한자: 監(볼 감), 督(감독할 독), 廳(관청 청)
지휘하고 단속하는 권한을 가진 관청.
용례:
금융업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별도의 감독청을 설립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3. 개청 (開廳) [개청]
한자: 開(열 개), 廳(관청 청)
관청을 새로 설치함. 또는 관청이 업무를 보기 시작함.
용례:
선흥이가 이방을 따라 들어가니, 삼현 육각 치고 나서 이내 개청이 되어 있었다.≪황석영, 장길산≫
4. 검찰청 (檢察廳) [검:찰청]
한자: 檢(검사할 검:), 察(살필 찰),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법무부 소속으로 검사의 검찰 사무를 맡아본다. 대검찰청, 고등 검찰청, 지방 검찰청이 있으며, 검사는 소속 검찰청의 관할 구역 안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 원칙이다.
용례:
- 피의자를 검찰청으로 이송하다.
- 비리 정치인에게 검찰청으로 출두하라는 소환장이 발부되었다.
5. 경찰관청 (警察官廳) [경:찰관청]
한자: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官(벼슬 관), 廳(관청 청)
경찰의 업무를 보는 관청. 경찰청, 경찰서, 파출소 따위이다.
6. 경찰청 (警察廳) [경:찰청]
한자: 警(깨우칠 경:), 察(살필 찰),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행정 안전부 소속으로, 치안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7. 고등검찰청 (高等檢察廳) [고등검:찰청]
한자: 高(높을 고), 等(무리 등:), 檢(검사할 검:), 察(살필 찰), 廳(관청 청)
고등 법원에 대응하여 설치한 검찰청.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에 설치되어 있다.
8. 공사청 (公事廳) [공사청]
한자: 公(공평할 공), 事(일 사:), 廳(관청 청)
조선 시대에, 임금의 명을 전하는 내시가 근무하던 곳.
용례:
편전으로 나오시렵니까? 공사청과 무예청들이 분부 내리시기를 기다리옵니다.≪박종화, 임진왜란≫
9. 공청 (公廳) [공청]
한자: 公(공평할 공), 廳(관청 청)
관가(官家)의 건물.
용례:
아까 야경 숙직이 모이는 공청에서 와서 아홉 시까지 대어 오라는 통지가 있었다는 것을 생각하고….≪염상섭, 모략≫
10. 관세청 (關稅廳) [관세청]
한자: 關(관계할 관), 稅(세금 세:),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기획 재정부 소속으로, 관세의 부과·감면 및 징수, 수출입 물품의 통관 및 밀수출과 밀수입의 단속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11. 관청 (官廳) [관청]
한자: 官(벼슬 관), 廳(관청 청)
「1」국가의 사무를 집행하는 국가 기관. 또는 그런 곳. 사무의 성격에 따라 행정 관청·사법 관청, 관할 구역에 따라 중앙 관청·지방 관청 따위로 나뉜다.
「2」수령(守令)의 음식을 만들던 곳.
용례:
「1」할아버지의 양반 의식이란 것도 실은 얼마나 비루한 것이었던지, 자손이 총독부고 면사무소고 그저 관청에 취직한 것만 대견해하셨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12. 관할관청 (管轄官廳) [관할관청]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轄(다스릴 할), 官(벼슬 관), 廳(관청 청)
특정한 사건에 대하여 처리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관청.
13. 관해관청 (管海官廳) [관해관청]
한자: 管(대롱/주관할 관), 海(바다 해:), 官(벼슬 관), 廳(관청 청)
배, 선원 따위의 해양에 관한 행정을 맡아보는 관청.
14. 교육청 (敎育廳) [교:육청]
한자: 敎(가르칠 교:), 育(기를 육), 廳(관청 청)
각 시도 내 학교 및 교육 기관에서 행하는 교육과 학예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용례:
교육청에서 학교로 공문을 보내다.
15. 교황청 (敎皇廳) [교:황청]
한자: 敎(가르칠 교:), 皇(임금 황), 廳(관청 청)
「1」교황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와 교도를 다스리는 교회 행정의 중앙 기관. 바티칸 시국에 있다.
「2」이탈리아의 로마 시 안에 있는 도시 국가. 로마 교황을 원수로 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독립국이다. 6세기에 교황청이 세워진 이후 가톨릭교의 총본산 구실을 해 왔으며, 14세기 이후에는 중부 이탈리아를 지배하였다. 1870년에 이탈리아에 합병되었다가 1929년에 국가로
독립하였다. 바티칸 궁전, 산피에트로 대성당 따위가 있다.
16. 구청 (區廳) [구청]
한자: 區(구분할/지경 구), 廳(관청 청)
구(區)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용례:
- 구청 직원.
- 구청에 민원을 내다.
- 그러니 주민들 중에 대표 몇 사람을 뽑아서 시청이나 구청에 찾아가 주민들의 의견을 말할 수 있도록 하십시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17. 국가유산청 (國家遺産廳) [국까유산청]
한자: 國(나라 국), 家(집 가), 遺(남길 유), 産(낳을 산:),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로, 국가유산의 보존·관리·활용·조사·연구 및 선양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18. 국세청 (國稅廳) [국쎄청]
한자: 國(나라 국), 稅(세금 세:),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기획 재정부 소속으로, 내국세의 부과·감면 및 징수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19. 국청 (鞠廳) [국청]
한자: 鞠(성(姓)/국문할 국), 廳(관청 청)
조선 시대에, 역적 등의 중죄인을 신문하기 위하여 설치하던 임시 관아.
용례:
- 의금부에는 엄숙한 국청이 열렸다.≪박종화, 전야≫
- 죄인 김순성이 의금부 국청 마당으로 끌려 들어왔다.≪박종화, 전야≫
20. 군청 (郡廳) [군:청]
한자: 郡(고을 군:), 廳(관청 청)
군(郡)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21. 귀청 (歸廳) [귀:청]
한자: 歸(돌아갈 귀:), 廳(관청 청)
자기가 근무하는 관청으로 돌아가거나 돌아옴.
22. 기상청 (氣象廳) [기상청]
한자: 氣(기운 기), 象(코끼리 상),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환경부 소속으로, 우리나라의 기상 상태를 관측하고 예보하는 사무를 맡아본다. 1990년 12월에 ‘중앙 기상대’에서 승격하였다.
23. 농청 (農廳) [농청]
한자: 農(농사 농), 廳(관청 청)
마을 사람이 모여 농사일을 의논하거나 놀기 위하여 지은 집.
용례:
예전에는 농사철이 되면 이른 아침에 농청이나 마을 공동 마당에 모여 풍물을 울리면서 작업장으로 향하기도 하였다.
24. 농촌진흥청 (農村振興廳) [농촌진:흥청]
한자: 農(농사 농), 村(마을 촌:), 振(떨칠 진:), 興(일[盛] 흥(:)),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농림 축산 식품부 소속으로, 농촌 진흥에 관한 실험 연구·계몽·기술 보급 따위의 사무를 맡아본다.
25. 대검찰청 (大檢察廳) [대:검찰청]
한자: 大(큰 대(:)), 檢(검사할 검:), 察(살필 찰), 廳(관청 청)
대법원에 대응하는 검찰 관청. 지방 검찰청과 고등 검찰청을 지휘하고 감독한다.
26. 도청 (島廳) [도청]
한자: 島(섬 도), 廳(관청 청)
섬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27. 도청 (道廳) [도:청]
한자: 道(길 도:), 廳(관청 청)
도(道)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관청.
용례:
도청 소재지.
28. 도회청 (都會廳) [도회청]
한자: 都(도읍 도), 會(모일 회:), 廳(관청 청)
계 모임이나 마을 모임을 위하여 마련한 집.(도청)
용례:
이튿날 식전에 꺽정이가 도회청에 나가서 조사를 마치고 사랑으로 돌아올 때 서림이가 뒤를 따라왔다.≪홍명희, 임꺽정≫
29. 독립관청 (獨立官廳) [동닙꽌청]
한자: 獨(홀로 독), 立(설 립), 官(벼슬 관), 廳(관청 청)
헌법에서, 직무상 독립적인 지위를 갖는 기관. 사법부, 감사원 따위이다.
30. 등청 (登廳) [등청]
한자: 登(오를 등), 廳(관청 청)
관청에 출근함.
용례:
등청이 늦다.
31. 마루청 (마루廳) [마루청]
한자: 廳(관청 청)
마룻바닥에 깔아 놓은 널조각.
용례:
뒤로 돌아가면 마루청 밑으로 사다리를 놓고 내려가서 미륵불의 족대를 구경하게 만들었는데….≪최남선, 심춘순례≫
32. 면청 (面廳) [면:청]
한자: 面(낯 면:), 廳(관청 청)
면의 행정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33. 문화재청 (文化財廳) [문화재청]
한자: 文(글월 문), 化(될 화(:)), 財(재물 재), 廳(관청 청)
문화재의 보존·관리·활용·조사·연구 및 선양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기관. 2024년 5월 국가유산청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34. 방위사업청 (防衛事業廳) [방위사:업청]
한자: 防(막을 방), 衛(지킬 위), 事(일 사:), 業(업 업), 廳(관청 청)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 국방부 소속으로, 방위력 개선 사업, 군수 물자 조달 및 방위 산업 육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본다. 2006년 1월 국방부 조달 본부가 폐지되며 신설되었다.
35. 법황청 (法皇廳) [버퐝청]
한자: 法(법 법), 皇(임금 황), 廳(관청 청)
교황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와 교도를 다스리는 교회 행정의 중앙 기관. 바티칸 시국에 있다.
관련 글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廳 관청 청 - 2
[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廳 관청 청 - 3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