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侵 침노할 침

1. 공침 (共侵) [공:침]

한자: 共(한가지 공:), 侵(침노할 침)

「1」둘 이상의 나라가 함께 침략함.
「2」공산군의 침략.

2. 군주불가침 (君主不可侵) [군주불가침]

한자: 君(임금 군), 主(임금/주인 주),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侵(침노할 침)

군주는 국법 위에 있어서 국법의 지배를 받지 않으며, 신성하여서 아무도 침범하지 못한다는 말.

3. 귀침 (鬼侵) [귀:침]

한자: 鬼(귀신 귀:), 侵(침노할 침)

사람의 죄악을 징계하기 위하여 귀신이 내리는 벌을 받음.

4. 남침 (南侵) [남침]

한자: 南(남녘 남), 侵(침노할 침)

북쪽에서 남쪽을 침범함.

용례:

  • 북한의 남침 야욕.
  • 북쪽의 남침에 대비하다.
  • 1950년 6월 25일, 마침내 북한 공산군은 38선을 넘어서 남침을 감행하였다.

5. 내침 (來侵) [내침]

한자: 來(올 래(:)), 侵(침노할 침)

침략하여 옴.

용례:

  • 적의 내침을 격퇴하다.
  • 적의 내침에 대비하여 보루를 튼튼히 쌓다.

6. 대침 (大侵) [대:침]

한자: 大(큰 대(:)), 侵(침노할 침)

매우 심한 흉년이라는 뜻으로, ‘대기’(大饑)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7. 모침 (貌侵) [모침]

한자: 貌(모양 모), 侵(침노할 침)

‘모침하다’
(됨됨이가 작고 옹졸하다.)의 어근.

8. 물침 (勿侵) [물침]

한자: 勿(말[禁] 물), 侵(침노할 침)

침범하지 못하도록 함.

9. 북침 (北侵) [북침]

한자: 北(북녘 북), 侵(침노할 침)

남쪽에서 북쪽으로 침략함.

10. 불가침 (不可侵) [불가침]

한자: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侵(침노할 침)

침범하여서는 안 됨.

용례:

상호 간에 불가침의 조약을 맺다.

11. 불침 (不侵) [불침]

한자: 不(아닐 불), 侵(침노할 침)

침략하지 아니함.

용례:

불침 조약.

12. 신성불가침 (神聖不可侵) [신성불가침]

한자: 神(귀신 신), 聖(성인 성:), 不(아닐 불), 可(옳을 가:), 侵(침노할 침)

신성하여 함부로 침범할 수 없음.

용례:

  • 신성불가침 조약.
  • 신성불가침의 영역.
  • 자유권은 신성불가침의 권리이다.
  • 제왕은 예나 이제나 제왕인 이상 신성불가침이 아닌가. 왕은 곧 법이라지만 실상은 법 위에 있는 절대권자다.≪유주현, 대한 제국≫

13. 외침 (外侵) [외:침]

한자: 外(바깥 외:), 侵(침노할 침)

다른 나라나 외부로부터의 침입.

용례:

사실 조선은 셀 수 없이 많은 외침을 당했습니다. 그러나 한 번도 나라를 잃은 적은 없었어요.≪박경리, 토지≫

14. 재침 (再侵) [재:침]

한자: 再(두 재:), 侵(침노할 침)

다시 침략함.

용례:

선조 30년 정월 일본의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재침의 명을 내렸으니 정유재란을 겪게 된 것이었다.≪문순태, 피아골≫

15. 재침 (災侵) [재침]

한자: 災(재앙 재), 侵(침노할 침)

재난의 징조인 이상스러운 기운.

16. 적침 (敵侵) [적침]

한자: 敵(대적할 적), 侵(침노할 침)

적의 침입.

용례:

적침에 대비하다.

17. 책침 (責侵) [책침]

한자: 責(꾸짖을 책), 侵(침노할 침)

간접적으로 관계되는 사람에게 책임을 추궁함.

18. 피침 (被侵) [피:침]

한자: 被(입을 피:), 侵(침노할 침)

침략이나 침범을 당함.

19. 횡침 (橫侵) [횡침]

한자: 橫(가로 횡), 侵(침노할 침)

함부로 쳐들어감.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