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異 다를 이: - 2

35. 이색 (異色) [이ː색]

한자: 異(다를 이:), 色(빛 색)

「1」다른 빛깔.
「2」보통의 것과 색다름. 또는 그런 것이나 곳.

용례:

  • 「1」이색의 그림물감.
  • 「2」이색 결혼식.
  • 「2」이색 지대.
  • 「2」이색을 띠다.
  • 「2」오늘 이곳에서는 재즈와 사물놀이가 결합한 이색 음악 공연이 벌어질 예정이다.

36. 이색분자 (異色分子) [이ː색뿐자]

한자: 異(다를 이:), 色(빛 색), 分(나눌 분(:)), 子(아들 자)

한 단체나 집단 안에 있으면서 그곳의 주된 주의, 사상, 성질, 종류와는 다른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

용례:

이색분자를 적발하다.

37. 이색적 (異色的) [이ː색쩍]

한자: 異(다를 이:), 色(빛 색), 的(과녁 적)

[Ⅰ]보통의 것과 색다른 성질을 지닌 것.
[Ⅱ]보통의 것과 색다른 성질을 지닌.

용례:

  • [Ⅰ]이색적인 풍경.
  • [Ⅰ]서양인이 젓가락질을 하는 모습이 퍽 이색적이다.
  • [Ⅰ]이번 공연은 부부 성악가들이 출연하여 꾸민 점에서 퍽이나 이색적이었다.
  • [Ⅱ]이색적 풍습.
  • [Ⅱ]이색적 제안을 하다.

38. 이서 (異書) [이ː서]

한자: 異(다를 이:), 書(글 서)

그리 흔하지 아니한 진기한 책.

용례:

  • 이서를 구하다.
  • 이서를 보다.
  • 이서를 얻다.
  • 결국 황제의 북천(北遷)은 이와 같은 비기(祕記)와 이서를 따른 것이었고, 신기죽의 건의는 다만 한 작은 계기에 지나지 않았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39. 이설 (異說) [이ː설]

한자: 異(다를 이:), 說(말씀 설)

「1」통용되는 것과는 다른 주장이나 의견.
「2」내용이 기괴하고 허랑한 저술.

용례:

  • 「1」이설에 빠지다.
  • 「1」이설이 많다.
  • 「1」이설이 분분하다.
  • 「1」그의 견해는 학계에서 한낱 이설로 취급되고 있을 뿐이다.
  • 「2」이설 춘향전.

40. 이성 (異性) [이ː성]

한자: 異(다를 이:), 性(성품 성:)

「1」성질이 다름. 또는 다른 성질.
「2」성(性)이 다른 것. 남성 쪽에선 여성을, 여성 쪽에선 남성을 가리킨다.

용례:

  • 「2」이성 교제.
  • 「2」이성 친구.
  • 「2」이성에 대한 호기심.
  • 「2」이성을 동경하다.
  • 「2」병식은 이제까지 이성에 대한 따뜻한 사랑을 맛보지 못한 남자였다.≪심훈, 영원의 미소≫
  • 「2」순이는 이성으로서 하준규에게 애정을 느끼고 있음이 틀림없었다.≪이병주, 지리산≫
  • 「2」같은 남자나 여자끼리라도 까닭 없이 같이 사진 박기를 좋아하지 아니할 터인데, 이성인 남녀가 의미 없이 같이 사진을 박는다는 것은 암만해도 잘 이해되지 않는데요.≪한용운, 흑풍≫

41. 이성 (異姓) [이ː성]

한자: 異(다를 이:), 姓(성 성:)

성이 다름. 또는 다른 성.

용례:

술가(術家)의 말에 마암에 집을 지으면 이성이 왕 노릇을 한다는 불길한 말이 있사옵니다.≪박종화, 다정불심≫

42. 이성친 (異姓親) [이ː성친]

한자: 異(다를 이:), 姓(성 성:), 親(친할 친)

「1」어머니 쪽의 일가.
「2」성이 다르면서 가까운 척분(戚分)이 있는 사람.

43. 이소 (異所) [이ː소]

한자: 異(다를 이:), 所(바 소:)

딴 자리.

용례:

균이 이소에 기생하다.

44. 이술 (異術) [이ː술]

한자: 異(다를 이:), 術(재주 술)

「1」바르지 아니한 술법이나 술책.
「2」요술이나 마술 같은 이상한 술법.

용례:

  • 「1」이술을 쓰다.
  • 「2」이술을 펼치다.

45. 이심 (異心) [이ː심]

한자: 異(다를 이:), 心(마음 심)

「1」처음에 마음먹은 것과 어긋나거나 배반하는 마음.
「2」두 가지 마음.

용례:

  • 「1」이심을 가지다.
  • 「1」이심을 품다.

46. 이양선 (異樣船) [이ː양선]

한자: 異(다를 이:), 樣(모양 양), 船(배 선)

모양이 다른 배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의 배를 이르는 말. 주로 조선 시대에 외국의 철선을 이르는 데에 쓰였다.

용례:

이곳은 개항 이후에 이양선이 자주 출몰했던 곳이다.

47. 이역 (異域) [이ː역]

한자: 異(다를 이:), 域(지경 역)

「1」다른 나라의 땅.
「2」본고장이나 고향이 아닌 딴 곳.

용례:

  • 「1」그는 귀국의 꿈을 이루지 못한 채 먼 이역에서 쓸쓸히 숨졌다.
  • 「2」마을의 불빛이 때로는 따뜻하게, 때로는 적의를 가지고, 때로는 갈 수 없는 어느 먼 이역처럼 바라보였다.≪한수산, 유민≫

48. 이의 (異意) [이ː이]

한자: 異(다를 이:), 意(뜻 의:)

다른 의견이나 의사.

용례:

  • 이의가 없다.
  • 현은 그들의 태도와 주장에 알고 보니 한 군데도 이의를 품을 데가 없었다.≪이태준, 해방 전후≫

49. 이의 (異議) [이ː이]

한자: 異(다를 이:), 議(의논할 의(:))

「1」다른 의견이나 논의.
「2」민법에서, 타인의 행위에 대하여 반대 또는 불복의 의사를 표시하는 일.
「3」민사 소송법에서, 강학상(講學上) 소송에서의 피고의 방어 방법이나 법문상 소송 관계인이나 국가 기관의 행위의 불허, 변경, 결과의 배제를 상급 법원 이외의 법원에 구하는 행위. 또는 행위의 효력을 제한ㆍ상실하게 하는 당사자의 소송 행위.
「4」형사 소송법에서, 공판 절차상 재판장의 처분이나 증거 조사, 재판의 집행에 관하여 다른 의사를 표시하는

용례:

  • 「1」이의를 달다.
  • 「1」이의를 제기하다.
  • 「1」이의가 있으신 분은 손을 드십시오.
  • 「1」별다른 이의가 없으면 다음 안건에 대한 논의로 넘어가겠습니다.
  • 「1」전봉준의 엄명에 제일 먼저 이의를 달고 나서는 사람은 김계남이었다.≪유현종, 들불≫

50. 이의신청 (異議申請) [이:이신청]

한자: 異(다를 이:), 議(의논할 의(:)), 申(납[猿] 신), 請(청할 청)

법률에서 인정한 절차에 의하여 이의를 주장하는 행위.

51. 이인 (異人) [이ː인]

한자: 異(다를 이:), 人(사람 인)

「1」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
「2」다른 사람.
「3」외국 사람.

용례:

「1」그 노인은 산속으로 약을 캐러 다니는 어른인데 모르는 것이 없는 이인이에요.≪홍명희, 임꺽정≫

52. 이일 (異日) [이ː일]

한자: 異(다를 이:), 日(날 일)

「1」과거나 미래의 어떤 날.
「2」다른 날.

용례:

「1」남을 모함하려다 자기가 벌받고 있는 것은 일시적으로는 속 시원한 일일지 모르나 이일의 우환이 될지도….≪한무숙, 만남≫

53. 이적 (異跡/異蹟) [이ː적]

한자: 異(다를 이:), 跡(발자취 적), 異(다를 이:), 蹟(자취 적)

「1」기이한 행적.
「2」상식으로는 생각할 수 없는 기이한 일.

용례:

  • 「2」이적을 보이다.
  • 「2」이적을 행하다.
  • 「2」끝까지 신앙심을 잃지 않고 그 대상자를 원망하지 않으면서도 이적이라도 나타내어 주기를 안타까이 기다리는 그 심정.≪심훈, 상록수≫

54. 이족 (異族) [이ː족]

한자: 異(다를 이:), 族(겨레 족)

「1」성(姓)이 다른 겨레붙이.
「2」다른 민족.

용례:

「2」우리는 수많은 이족의 침입을 이겨 낸 역사를 가지고 있다.

55. 이종 (異種) [이ː종]

한자: 異(다를 이:), 種(씨 종(:))

「1」다른 종류.
「2」변한 종자.

용례:

「1」호박에 이종의 수박을 접붙이는 농법이 있다.

56. 이종격투기 (異種格鬪技) [이:종격투기]

한자: 異(다를 이:), 種(씨 종(:)), 格(격식 격), 鬪(싸움 투), 技(재주 기)

서로 다른 무술을 하는 사람끼리 격투를 벌여 승패를 가리는 경기.

57. 이질 (異質) [이ː질]

한자: 異(다를 이:), 質(바탕 질)

성질이 다름. 또는 다른 성질.

용례:

  • 개개인의 경우에서는 사소한 거취의 차이가 전혀 이질의 사람들로 태어나게 만드는 것이다.≪이호철, 소시민≫
  • 흔히들 문사(文士)와 선비를 혼동들 하고 있는데, 아주 이질이라 할 순 없으나 같다고도 할 수 없는 건데….≪박경리, 토지≫

58. 이질감 (異質感) [이ː질감]

한자: 異(다를 이:), 質(바탕 질), 感(느낄 감:)

성질이 서로 달라 낯설거나 잘 맞지 않는 느낌.

용례:

  • 입안에 들면서 벌써 음식이라는 이질감 없이 살 속으로 편안히 스미는 것이 바로 흰죽이었다.≪최명희, 혼불≫
  • 그럼에도 서로를 가늠하고 이해하면서 어쩐지 맞물려 들어가지 않는 미묘한 이질감에서 늘 서로가 불편한 것이다.≪박경리, 토지≫

59. 이질성 (異質性) [이ː질썽]

한자: 異(다를 이:), 質(바탕 질), 性(성품 성:)

서로 바탕이 다른 성질이나 특성.

용례:

통일 이후 남북한 이질성 극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60. 이질적 (異質的) [이ː질쩍]

한자: 異(다를 이:), 質(바탕 질), 的(과녁 적)

[Ⅰ]성질이 다른 것.
[Ⅱ]성질이 다른.

용례:

  • [Ⅰ]이질적인 요소.
  • [Ⅰ]아버지는 경영자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은 여러 이질적인 것들을 조화하여 전체를 만드는 재능이라고 우리들에게 말하고는 했다.≪조세희, 내 그물로 오는 가시고기≫
  • [Ⅱ]이질적 문명.
  • [Ⅱ]이질적 문화.

61. 이질화 (異質化) [이ː질화]

한자: 異(다를 이:), 質(바탕 질), 化(될 화(:))

바탕이 달라짐. 또는 바탕이 달라지게 함.

용례:

  • 동족의 이질화 현상.
  • 이념과 체제의 차이로 빚어진 이질화를 극복해야 한다.

62. 이채 (異彩) [이ː채]

한자: 異(다를 이:), 彩(채색 채:)

「1」이상한 광채.
「2」색다른 빛.
「3」특별히 두드러지게 눈에 뜨임.

용례:

  • 「1」이채가 반짝이다.
  • 「2」이채를 띠다.
  • 「2」영숙은…이채가 도는 눈으로 무엇을 의뢰하는 것처럼 창하의 얼굴을 쳐다보았다.≪나도향, 어머니≫
  • 「3」광명 학교 선생 중에 중산 씨야말로 가장 이채를 띠고 있는 선생이었다.≪이기영, 봄≫
  • 「3」대개 일본 유학생으로 구성된 회원 중에 일본인 오가다가 끼인 것이 이채였으나, 그보다 뜻밖의 김길상의 출현은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겠다.≪박경리, 토지≫

63. 이채롭다 (異彩롭다) [이ː채롭따]

한자: 異(다를 이:), 彩(채색 채:)

보기에 색다른 데가 있다.

용례:

대부분 양옥인데 유독 이 집만 한옥인 것이 이채로웠다.

64. 이초 (異草) [이ː초]

한자: 異(다를 이:), 草(풀 초)

이상한 풀이나 화초.

용례:

기화와 이초를 보고 그림과 같다는 둥 하면서 진탕 놀았다.≪홍효민, 신라 통일≫

65. 이취 (異臭) [이ː취]

한자: 異(다를 이:), 臭(냄새 취:)

이상한 냄새.

용례:

연기조차 눈에 보이지 않고 이취도 풍기지 않으면서 불은 곱게 타고만 있었다.≪한무숙, 만남≫

66. 이취 (異趣) [이ː취]

한자: 異(다를 이:), 趣(뜻 취:)

색다른 정취.

용례:

이취를 자아내다.

67. 이행 (異行) [이ː행]

한자: 異(다를 이:), 行(다닐 행(:))

보통 사람과 다른 행동.

용례:

백결 선생은 이인이 아니야. 괴벽스러운 노인이 이행 기적이 있다고 반드시 앞일을 아는 것은 아니니까.≪홍효민, 신라 통일≫

68. 이향 (異鄕) [이ː향]

한자: 異(다를 이:), 鄕(시골 향)

자기 고향이 아닌 고장.


관련 글

[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異 다를 이: - 1

출처 정보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