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경 (莊敬) [장경]
한자: 莊(씩씩할 장), 敬(공경 경:)
‘장경하다’
(엄숙하고 공손하다.)의 어근.
2. 장로 (莊老) [장노]
한자: 莊(씩씩할 장), 老(늙을 로:)
장자와 노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3. 장원 (莊園) [장원]
한자: 莊(씩씩할 장), 園(동산 원)
「1」중국에서, 한(漢)나라 이후 근대까지 존속한 궁정ㆍ귀족ㆍ관료의 사유지. 한나라 때부터 진(晉)ㆍ남북조 때까지의 장원은 주로 별장지(別莊地)의 성격이 강하였는데 당나라 이후로는 경제적 성격을 띠게
되어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고 관리인을 두어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2」유럽의 중세기에 귀족이나 사원에 딸린 넓은 토지. 봉건 제도에서의 토지 소유의 한 형태이다.
「3」일본에서 10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엽까지 존속하였던 토지 소유의 한 형태.
4. 장자 (莊子) [장자]
한자: 莊(씩씩할 장), 子(아들 자)
중국 전국 시대의 사상가(B.C.365?~B.C.270?). 이름은 주(周). 도가 사상의 중심인물로, 유교의 인위적인 예교(禮敎)를 부정하고 자연으로 돌아가자는 자연 철학을 제창하였다. 현종이 ‘남화진인’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저서에 ≪장자≫가 있다.
5. 장자 (莊子) [장자]
한자: 莊(씩씩할 장), 子(아들 자)
중국 전국 시대에, 장자가 지은 사상서. 중국의 철학과 선종의 발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인간 지혜의 한계를 말하고,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데에 참된 자유가 있다고 설명한다. 10권 33편.
6. 장전 (莊田) [장전]
한자: 莊(씩씩할 장), 田(밭 전)
귀족의 사유지로 장원(莊園)에 딸린 논과 밭.
7. 장정 (莊丁) [장정]
한자: 莊(씩씩할 장), 丁(고무래/장정 정)
고려 시대에, 왕실 소유의 장원(莊園)인 장(莊)에 속한 소작인.
8. 장중 (莊重) [장중]
한자: 莊(씩씩할 장), 重(무거울 중:)
‘장중하다’
(장엄하고 무게가 있다.)의 어근.
9. 장토 (莊土) [장토]
한자: 莊(씩씩할 장), 土(흙 토)
개인이 소유하는 논밭.
관련 글
[고등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장음(長音)] 莊 씩씩할 장: (장단음이 나뉘는 한자)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