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교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農 농사 농

1. 감농 (監農) [감농]

한자: 監(볼 감), 農(농사 농)

「1」농사짓는 일을 보살피어 감독함.
「2」농사짓는 일을 감독하도록 위임받은 직책. 또는 그 직책을 맡은 사람.

용례:

  • 「1」인제는 시골 고향으로 돌아가서 농사나 감농을 하고 푹 파묻혀 살겠다.≪박종화, 임진왜란≫
  • 「1」성두가 노름을 해서 논을 되찾은 것이었다. 그러곤 집에 들어앉아 이 악물고 감농에 주력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2. 권농 (勸農) [권:농]

한자: 勸(권할 권:), 農(농사 농)

「1」농사를 장려함.
「2」조선 시대에, 지방의 방(坊)이나 면(面)에 속하여 농사를 장려하던 직책. 또는 그 사람.

용례:

  • 「1」권농 정책.
  • 「1」정부는 식량 자급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권농에 힘써야 한다.

3. 귀농 (歸農) [귀:농]

한자: 歸(돌아갈 귀:), 農(농사 농)

다른 일을 하던 사람이 그 일을 그만두고 농사를 지으려고 농촌으로 돌아감.

용례:

  • 귀농 운동을 추진하다.
  • 시골이 고향인 그는 서울 생활을 청산하고 부인과 귀농 생활을 하기 위해 고향으로 내려왔다.
  • 고향 친구들은 나의 갑작스러운 귀농을 의아하게 여겼다.

4. 근농 (勤農) [근:농]

한자: 勤(부지런할 근(:)), 農(농사 농)

농사를 부지런히 지음. 또는 그런 농민.

용례:

그러나 한재가 심한 해에는 이런 근농도 허사로 돌아갔다.≪이기영, 고향≫

5. 나농 (懶農) [나:농]

한자: 懶(게으를 라:), 農(농사 농)

농사일을 게을리함.

용례:

금년에 받은 석수로 따져서 도지로 내맡길 것 같으면, 누구나 제 수입을 위해서 나농을 할 사람이 없을 겁니다.≪심훈, 상록수≫

6. 낙농 (酪農) [낭농]

한자: 酪(쇠젖 락), 農(농사 농)

젖소나 염소 따위를 기르고 그 젖을 이용하는 산업.

용례:

  • 낙농 제품.
  • 큰아버지는 젖소 20마리를 키우며 낙농을 하시던 분이다.

7. 노농 (老農) [노:농]

한자: 老(늙을 로:), 農(농사 농)

「1」농사를 짓는 늙은 사람.
「2」농사일에 경험이 많은 사람.

용례:

「2」방 첨지는 다년간 농사의 경험이 많은지라 가위 노농의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이기영, 봄≫

8. 대농 (大農) [대:농]

한자: 大(큰 대(:)), 農(농사 농)

「1」큰 규모로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가나 농민.
「2」땅을 많이 가지고 농사를 크게 지음. 또는 그런 집.

용례:

  • 「1」그의 집은 우리 마을에서는 가장 많은 수확을 하는 대농이었다.
  • 「1」가장 대농인 배 구장은 이태 전까지만도 내리 칠 년 동안 설창 마을의 구장 직을 맡아 왔으나….≪김원일, 불의 제전≫

9. 도농 (都農) [도농]

한자: 都(도읍 도), 農(농사 농)

도시와 농촌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 도농 직거래.
  • 농산물의 원활한 유통을 위해서 도농 간의 유기적인 관계가 필요하다.

10. 반목반농 (半牧半農) [반:목빤:농]

한자: 半(반(半) 반:), 牧(칠[養] 목), 半(반(半) 반:), 農(농사 농)

목축과 농업을 겸업함.

용례:

산골 마을에는 반목반농이 제법 많다.

11. 병농 (兵農) [병농]

한자: 兵(병사 병), 農(농사 농)

군사와 농업 또는 병사와 농민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용례:

병농 일치의 군사 제도.

12. 부농 (富農) [부:농]

한자: 富(부자 부:), 農(농사 농)

농토와 농사의 규모가 크고 수입이 많은 농가나 농민.

용례:

  • 그는 부농의 아들로 태어나 유복한 어린 시절을 보냈다.
  • 주인 김학여는 마을 중의 부농으로서 도짓소가 댓 마리나 되고 토지도 두어 섬지기를 가지고 있었다.≪이기영, 서화≫

13. 빈농 (貧農) [빈농]

한자: 貧(가난할 빈), 農(농사 농)

「1」가난한 농가나 농민.
「2」토지 경작만으로는 생계를 유지할 수 없어 다른 임금 노동을 하는 농민.

용례:

  • 「1」빈농 구제책.
  • 「1」원래는 그도 별수 없는, 봄철이 되면 양식 곤란을 똑같이 겪어야 했던 빈농에 지나지 않았으나….≪김춘복, 쌈짓골≫

14. 삼농 (蔘農) [삼농]

한자: 蔘(삼 삼), 農(농사 농)

인삼을 심어 가꾸는 농사. 또는 그 농사를 짓는 사람.

용례:

  • 작년에 산 그 땅은 지력이 약하여 삼농을 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 산식이 말로는 홍삼만 가지고는 앞으로 삼농을 유지할 수 없는 게 우리뿐이 아니랍니다.≪박완서, 미망≫

15. 상농 (上農) [상:농]

한자: 上(윗 상:), 農(농사 농)

「1」농사를 매우 크게 짓는 농부. 또는 그런 농가.
「2」매우 어렵고 힘든 농사일을 쉽게 해내는 농사꾼.

용례:

「1」상농은 아홉 목구멍을 채울 수 있다더라만 과연 그러한지 알지 못한다.≪이문구, 오자룡≫

16. 소농 (小農) [소:농]

한자: 小(작을 소:), 農(농사 농)

작은 규모로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가나 농민.

용례:

예전에 중농이던 사람은 소농으로 떨어지고, 소농이던 사람은 소작농으로 떨어지고….≪조명희, 낙동강≫

17. 소작농 (小作農) [소:장농]

한자: 小(작을 소:), 作(지을 작), 農(농사 농)

일정한 소작료를 지급하며 다른 사람의 농지를 빌려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민.

용례:

  • 몇 대를 소작농으로 이어 오다 시아버지 대에서 겨우 자작농이 되고….≪이문열, 영웅시대≫
  • 순보로서는 어려서부터 무식하고 가난한 사람이어서 소작농을 지어서 근근이 입에 풀칠을 하여 가는 형편이었으므로….≪한용운, 흑풍≫

18. 영농 (營農) [영농]

한자: 營(경영할 영), 農(농사 농)

농업을 경영함.

용례:

  • 영농 기술.
  • 영농 방법.
  • 영농 기계화.
  • 영농 인구.
  • 영농 준비.
  • 영농 후계자.
  • 늙은 아버지는 평생을 영농에 몰두했다.

19. 영세농 (零細農) [영세농]

한자: 零(떨어질/영[數字] 령), 細(가늘 세:), 農(농사 농)

농사짓는 경지가 적어 생계를 겨우 유지하는 농민. 또는 매우 적은 규모의 농업.

용례:

정부는 영세농에게 세제 혜택을 주는 법안을 국회에 상정했다.

20. 유기농 (有機農) [유:기농]

한자: 有(있을 유:), 機(틀 기), 農(농사 농)

「1」화학 비료나 농약을 쓰지 아니하고 유기물을 이용하는 농업 방식.
「2」화학 비료, 유기 합성 농약, 생장 조정제 등 일체의 합성 화학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물과 미생물 등 자연적인 자재만을 사용하는 농업.

용례:

  • 「1」유기농으로 농사를 짓다.
  • 「2」유기농 식품.

21. 이농 (離農) [이:농]

한자: 離(떠날 리:), 農(농사 농)

농민이 농사일을 그만두고 농촌을 떠남. 또는 그런 현상.

22. 임차농 (賃借農) [임:차농]

한자: 賃(품삯 임:), 借(빌/빌릴 차:), 農(농사 농)

돈을 내고 일정 기간 동안 농지를 빌려서 농사를 짓는 사람.

용례:

임차농을 보호하는 법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3. 자농 (自農) [자농]

한자: 自(스스로 자), 農(농사 농)

자기 땅에 자기가 직접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민이나 농가.

용례:

시골 중에도 관청에서 동뜬 두메로 들어가 자농이라도 하면서 하루라도 마음 편하게 살다 죽자 하였다.≪이태준, 해방 전후≫

24. 자영농 (自營農) [자영농]

한자: 自(스스로 자), 營(경영할 영), 農(농사 농)

자신의 소유인 땅에서 농사를 짓고 직접 경영하는 농민.

용례:

  • 자영농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요즘은 유기 농업을 하는 자영농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25. 자작농 (自作農) [자장농]

한자: 自(스스로 자), 作(지을 작), 農(농사 농)

자기 땅에 자기가 직접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민이나 농가.

용례:

  • 몇 대를 소작농으로 이어 오다 시아버지 대에서 겨우 자작농이 되고….≪이문열, 영웅시대≫
  • 유 선달은 이해부터 논 섬지기나 자작농을 부치었다.≪이기영, 봄≫

26. 전업농 (專業農) [저넘농]

한자: 專(오로지 전), 業(업 업), 農(농사 농)

농사일 이외의 다른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없는 농가.

용례:

농어민 후계자 지원금이 늘어나면서 전업농도 증가하였다.

27. 중농 (中農) [중농]

한자: 中(가운데 중), 農(농사 농)

「1」중간 정도의 규모로 짓는 농사. 또는 그런 농가나 농민. 사람도 부리면서 주인도 함께 농사일을 한다.
「2」농사일을 적당히 하는 농사꾼.

용례:

  • 「1」그 뒤 형동이가 농림 학교로 진학하고 경동이가 사범 학교로 진학하게 되자 아무리 알찬 중농이라고는 하지만 농사로는 그 둘의 학비를 댈 길이 없었다.≪이문열, 영웅시대≫
  • 「1」일가가 번연하게 사는 중농 이상의 웬만큼씩들 사는 집안이다.≪염상섭, 취우≫

28. 폐농 (廢農) [폐:농]

한자: 廢(폐할/버릴 폐:), 農(농사 농)

농사를 그만둠.

용례:

  • 계속되는 가뭄으로 전국에 폐농 가구가 늘고 있다.
  • 땀 흘려 가꾼 곡식 물에 떠 내려보내기보다는 차라리 폐농을 해 버리고, 영산강에 나가 고기를 잡든가….≪문순태, 타오르는 강≫

29. 풍농 (豐農) [풍농]

한자: 豐(풍년 풍), 農(농사 농)

농사가 잘됨.

용례:

밭뙈기들은 기껏 호박 덩이나 염출하고 풍농일 때에야 좁쌀 몇 섬과 밀 댓 가마 털어 먹는 보잘것없는 것이었다.≪천승세, 낙월도≫

30. 호농 (豪農) [호농]

한자: 豪(호걸 호), 農(농사 농)

땅을 많이 가지고 농사를 크게 지음. 또는 그런 집.

용례:

얼마 전까지만 해도 상당한 호농이었던 그의 집안은 그가 유학을 시작할 무렵부터 급속도로 기울기 시작하였다.≪홍성원, 무사와 악사≫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