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용 한문교육용 기초한자 - 끝말] 底 밑 저:

1. 간저 (澗底) [간:저]

한자: 澗(산골물 간:), 底(밑 저:)

산골짜기 개울의 밑바닥.

2. 개저 (開底) [개저]

한자: 開(열 개), 底(밑 저:)

배나 트럭 따위의 밑바닥을 엶.

3. 고저 (庫底) [고저]

한자: 庫(곳집 고), 底(밑 저:)

강원도 통천군에 있는 어항. 관동 팔경의 하나인 총석정이 있다.

4. 곡저 (谷底) [곡쩌]

한자: 谷(골 곡), 底(밑 저:)

골짜기의 밑바닥.

5. 광저 (筐底) [광저]

한자: 筐(광주리 광), 底(밑 저:)

바구니나 광주리의 바닥 또는 속.

6. 근저 (根底) [근저]

한자: 根(뿌리 근), 底(밑 저:)

사물의 뿌리나 밑바탕이 되는 기초.

용례:

  • 작품의 근저에 흐르는 정서.
  • 그의 행동의 근저에는 심한 열등감이 자리 잡고 있었다.

7. 기저 (基底) [기저]

한자: 基(터 기), 底(밑 저:)

「1」어떤 것의 바닥이 되는 부분.
「2」사물의 뿌리나 밑바탕이 되는 기초.
「3」주어진 벡터 공간에 속하는 원소의 모임으로, 임의의 벡터를 그 집합에 속하는 벡터들의 일의적(一意的)인 일차 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집합.

용례:

  • 「2」이 소설은 도교 사상을 기저에 깔고 있다.
  • 「2」작품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저의 갈등 구조를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8. 낭저 (廊底) [낭저]

한자: 廊(사랑채/행랑 랑), 底(밑 저:)

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9. 노저 (爐底) [노저]

한자: 爐(화로 로), 底(밑 저:)

노의 아랫바닥.

10. 대양저 (大洋底) [대:양저]

한자: 大(큰 대(:)), 洋(큰바다 양), 底(밑 저:)

대륙 사면에 이어지는 깊이 4,000~6,000미터의 해저 지형. 경사가 극히 완만하여 평탄하고 광대한 대지를 이룬다.

11. 도저 (到底) [도:저]

한자: 到(이를 도:), 底(밑 저:)

‘도저하다’
(「1」학식이나 생각, 기술 따위가 아주 깊다.
「2」행동이나 몸가짐이 빗나가지 않고 곧아서 훌륭하다.)의 어근.

12. 도저 (道底) [도:저]

한자: 道(길 도:), 底(밑 저:)

수행의 심오함.

13. 두개저 (頭蓋底) [두개저]

한자: 頭(머리 두), 蓋(덮을 개(:)), 底(밑 저:)

‘머리뼈 바닥’(머리뼈 밑바닥의 안팎을 가리키는 말.)의 전 용어.

14. 방저 (方底) [방저]

한자: 方(모[棱] 방), 底(밑 저:)

네모진 바닥.

15. 방저 (枋底) [방저]

한자: 枋(다목 방), 底(밑 저:)

벽이 땅에 닿는 부분. 곧 하인방(下引枋)의 밑을 이른다.

16. 부저 (釜底) [부저]

한자: 釜(가마[鬴] 부), 底(밑 저:)

가마의 밑.

17. 불철저 (不徹底) [불철쩌]

한자: 不(아닐 불), 徹(통할 철), 底(밑 저:)

철저하지 못하여 빈틈이나 모자람이 있음.

용례:

  • 운영의 불철저.
  • 그것이 당신이 생각하듯이 국가관과 안보의식의 불철저에서 말미암은 것이라고는 난 생각하지 않습니다.≪이호철, 문≫

18. 사저 (沙底) [사저]

한자: 沙(모래 사), 底(밑 저:)

도자기 밑바닥에 잿물이 잘 묻지 않고 흙바닥 그대로 남아서 좀 껄껄한 부분.

19. 사저 (砂底) [사저]

한자: 砂(모래 사), 底(밑 저:)

도자기 밑바닥에 잿물이 잘 묻지 않고 흙바닥 그대로 남아서 좀 껄껄한 부분.

20. 상저 (上底) [상:저]

한자: 上(윗 상:), 底(밑 저:)

그릇의 밑바닥 가운데가 패어 들어가 들려 있는 모양을 한 형태.

21. 상저 (上底) [상:저]

한자: 上(윗 상:), 底(밑 저:)

‘윗변’(사다리꼴에서 위의 변.)의 전 용어.

22. 선저 (船底) [선저]

한자: 船(배 선), 底(밑 저:)

배의 밑바닥.

23. 성저 (城底) [성저]

한자: 城(재 성), 底(밑 저:)

「1」성(城)의 밑.
「2」성 아래의 마을.

24. 세저 (歲底) [세:저]

한자: 歲(해 세:), 底(밑 저:)

한 해가 끝날 무렵. 설을 앞둔 섣달그믐께를 이른다.

25. 수저 (水底) [수저]

한자: 水(물 수), 底(밑 저:)

물의 아래.

26. 심저 (心底) [심저]

한자: 心(마음 심), 底(밑 저:)

마음의 밑바닥.

용례:

어차어피 남이 대는 술이니 아껴 무엇 하랴는 태도로 술을 마시는 천장부들을 나는 심저로부터 증오하였다.≪변영로, 명정 40년≫

27. 심해저 (深海底) [심:해저]

한자: 深(깊을 심), 海(바다 해:), 底(밑 저:)

「1」깊은 바다 밑.
「2」배타적 경제 수역 및 대륙붕으로부터 바깥쪽에 있는 공해(公海)의 해저. 수심이 2,000~6,000미터인 곳이 많다. 해양 넓이의 75.9%를 차지한다.

28. 안저 (眼底) [안:저]

한자: 眼(눈 안:), 底(밑 저:)

안구 속의 뒷부분. 검안경으로 볼 수 있다.

29. 영저 (嶺底) [영저]

한자: 嶺(고개 령), 底(밑 저:)

높은 재의 아래 기슭.

30. 오저 (奧底) [오:저]

한자: 奧(깊을 오(:)), 底(밑 저:)

깊은 속이나 바닥.

31. 운저 (雲底) [운저]

한자: 雲(구름 운), 底(밑 저:)

구름의 밑.

32. 원저 (圓底) [원저]

한자: 圓(둥글 원), 底(밑 저:)

그릇 따위의 바닥이 둥근 것.

33. 읍저 (邑底) [읍쩌]

한자: 邑(고을 읍), 底(밑 저:)

조선 시대에, 관찰 관아가 아닌 지방 관아가 있던 마을.

34. 이중저 (二重底) [이:중저]

한자: 二(두 이:), 重(무거울 중:), 底(밑 저:)

사이에 공간을 두고 겹으로 만든 배의 바닥.

35. 정저 (井底) [정저]

한자: 井(우물 정(:)), 底(밑 저:)

우물의 밑바닥.

36. 지저 (地底) [지저]

한자: 地(따 지), 底(밑 저:)

땅을 뚫고 들어간 속이나 땅의 아래.

용례:

  • 지저 탐험.
  • 지저 세계.

37. 천저 (天底) [천저]

한자: 天(하늘 천), 底(밑 저:)

지구 표면의 관측 지점에서 연직선을 아래쪽으로 연장했을 때 천구(天球)와 만나는 점.

38. 철저 (徹底) [철쩌]

한자: 徹(통할 철), 底(밑 저:)

속속들이 꿰뚫어 미치어 밑바닥까지 빈틈이나 부족함이 없음.

용례:

  • 청소 철저.
  • 준비 철저.
  • 앞으로 다시 그런 불상사가 일어나지 않도록 교육과 감독에 더욱 철저를 기하겠다고 약속합니다.≪조해일, 아메리카≫

39. 첨저 (尖底) [첨저]

한자: 尖(뾰족할 첨), 底(밑 저:)

토기의 바닥이 뾰족한 상태.

40. 탄저 (彈底) [탄:저]

한자: 彈(탄알 탄:), 底(밑 저:)

탄환의 밑바닥 부분. 뾰족한 앞부분의 반대쪽에 있는 평평한 부분을 이른다.

41. 파저 (波底) [파저]

한자: 波(물결 파), 底(밑 저:)

물의 아래.

42. 평저 (平底) [평저]

한자: 平(평평할 평), 底(밑 저:)

「1」평평한 밑바닥.
「2」펀펀한 토기 바닥.

43. 폐저 (肺底) [폐:저]

한자: 肺(허파 폐:), 底(밑 저:)

허파의 아래 바닥을 이루는 오목하고 넓은 면. 가로막과 접하고 있다.

44. 하저 (河底) [하저]

한자: 河(물 하), 底(밑 저:)

하천의 밑바닥.

용례:

  • 하저 터널.
  • 유속이 늦어 하저에 쌓인 퇴적물이 증가하고 있다.

45. 해양저 (海洋底) [해:양저]

한자: 海(바다 해:), 洋(큰바다 양), 底(밑 저:)

대륙 사면에 이어지는 깊이 4,000~6,000미터의 해저 지형. 경사가 극히 완만하여 평탄하고 광대한 대지를 이룬다.

46. 해저 (海底) [해:저]

한자: 海(바다 해:), 底(밑 저:)

바다의 밑바닥.

용례:

  • 해저 동굴.
  • 해저 탐사.

47. 화저 (花底) [화저]

한자: 花(꽃 화), 底(밑 저:)

꽃의 밑.

48. 환저 (丸底) [환저]

한자: 丸(둥글 환), 底(밑 저:)

그릇 따위의 바닥이 둥근 것.

49. 흉저 (胸底) [흉저]

한자: 胸(가슴 흉), 底(밑 저:)

마음속. 또는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

용례:

황혼의 그림자는…나의 고독감을 내 흉저에 깊이 앉히어 놓을 뿐이었다.≪허준, 잔등≫


출처 정보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