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이 (啓移) [계:이]
한자: 啓(열 계:), 移(옮길 이)
임금에게 아뢰어 다른 곳으로 옮김.
2. 공이 (公移) [공이]
한자: 公(공평할 공), 移(옮길 이)
중국 한대(漢代)의 공문서 가운데 같은 등급의 관아 사이에 주고받던 공문서. 때로는 격(檄)과 더불어 포고문의 성격을 띠기도 하였다.
3. 굴이 (掘移) [구리]
한자: 掘(팔 굴), 移(옮길 이)
무덤을 파서 옮김.
4. 나이 (那移) [나:이]
한자: 那(어찌 나:), 移(옮길 이)
돈이나 물건을 잠시 둘러댐.
5. 내이 (內移) [내:이]
한자: 內(안 내:), 移(옮길 이)
조선 시대에, 관찰사나 수령 따위의 외직(外職)에서 중앙 관직인 내직(內職)으로 옮아오던 일.
6. 만이 (晩移) [마:니]
한자: 晩(늦을 만:), 移(옮길 이)
하지가 지난 뒤 늦게 내는 모내기.
7. 매이 (枚移) [매이]
한자: 枚(낱 매), 移(옮길 이)
조선 시대에, 관아(官衙) 사이에 공문을 서로 주고받던 일.
8. 밀이 (密移) [미리]
한자: 密(빽빽할 밀), 移(옮길 이)
남몰래 옮김.
9. 반이 (搬移) [바니]
한자: 搬(옮길 반), 移(옮길 이)
짐을 날라 이사함. 또는 세간을 운반하여 집을 옮김.
용례:
- 벌써 온 집안이 서울로 반이를 해 왔고….≪채만식, 태평천하≫
- 꺽정이는 빨리 반이를 시켜 놓고 다시 전옥 파옥을 경영하려고 마음을 먹고 광복산서 곧 떠나기로 작정하였다.≪홍명희, 임꺽정≫
10. 변이 (變移) [벼:니]
한자: 變(변할 변:), 移(옮길 이)
세월의 흐름에 따라 바뀌고 변함.
용례:
- 설화의 변이 과정.
- 그는 민족주의의 역사적인 변이 양상을 연구하였다.
11. 상전이 (狀轉移) [상저니]
한자: 狀(형상 상), 轉(구를 전:), 移(옮길 이)
물질이 온도, 압력, 외부 자기장 따위의 일정한 외적 조건에 따라 한 상(狀)에서 다른 상으로 바뀌는 현상. 예를 들면 융해, 고화, 기화, 응결 따위이다.
12. 성이 (星移) [성이]
한자: 星(별 성), 移(옮길 이)
별의 위치가 옮겨진다는 뜻으로, 세월이 지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3. 수이 (輸移) [수이]
한자: 輸(보낼 수), 移(옮길 이)
수입·수출에 따라 화물을 여기저기로 옮김.
14. 양이 (量移) [양이]
한자: 量(헤아릴 량), 移(옮길 이)
멀리 유배된 사람의 죄를 감등하여 가까운 곳으로 옮기던 일.
15. 유이 (游移) [유이]
한자: 游(헤엄칠 유), 移(옮길 이)
‘유이하다’
(맺고 끊는 데가 없고 흐리멍덩하다.)의 어근.
16. 전이 (轉移) [저:니]
한자: 轉(구를 전:), 移(옮길 이)
「1」자리나 위치 따위를 다른 곳으로 옮김.
「2」사물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고 바뀜.
「3」양자 역학에서, 입자가 어떤 에너지의 정상 상태에서 에너지가 다른 정상 상태로 옮겨 감. 또는
그런 일.
「4」앞에서 행한 학습이 나중 학습의 효과에 영향을 줌. 또는 그런 일. 나중 학습을 촉진하는 경우를 양의 전이, 방해하거나 억제하는 경우를 음의 전이라고 한다.
「5」정신
분석에서, 어떤 대상에 향하였던 감정이 다른 대상으로 옮아감. 또는 그런 일.
「6」공간 지각에서, 시각적인 것을 촉각적인 것으로, 촉각적인 것을 시각적인 것으로 나타냄. 또는 그런
일.
「7」병원체나 종양 세포가 혈류나 림프류를 타고 흘러서 다른 장소로 이행(移行)·정착하여 원발 병터와 같은 변화를 일으킴. 또는 그런 일. 전이성 안염(眼炎), 암 전이 따위에서 볼
수 있다.
「8」물질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달라짐. 또는 그런 일. 기체·액체·고체상 사이의 상전이(相轉移), 같은 물질의 다른 결정형 사이의 다형(多形) 전이, 동소체(同素體)
사이의 전이 따위가 있다.
용례:
「2」생활 속에 널리 퍼져 뿌리가 깊던 불교 용어가 의미 전이를 일으킨 것이지요.≪최명희, 혼불≫
17. 점이 (漸移) [저:미]
한자: 漸(점점 점:), 移(옮길 이)
차차 옮아감.
18. 조이 (早移) [조:이]
한자: 早(이를 조:), 移(옮길 이)
「1」제철보다 일찍 내는 모.
「2」볏모를 일찍 옮겨서 심음.
19. 천이 (遷移) [처:니]
한자: 遷(옮길 천:), 移(옮길 이)
「1」옮기어 바뀜.
「2」양자 역학에서, 입자가 어떤 에너지의 정상 상태에서 에너지가 다른 정상 상태로 옮겨 감. 또는 그런 일.
「3」일정한 지역의 식물 군락이나 군락을 구성하고 있는 종들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변천하여 가는 현상. 이것이 계속됨에 따라 생태계의 속성이 변한다. 일반적으로 맨땅을 그대로 방치하면 한해살이풀, 여러해살이풀, 양지성 수목, 음지성 광엽수림으로 점차
변한다.
「4」물질이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달라짐. 또는 그런 일. 기체
20. 첩이 (貼移) [처비]
한자: 貼(붙일 첩), 移(옮길 이)
보고하는 문서에 관련 문서를 덧붙여 보냄.
21. 추이 (推移) [추이]
한자: 推(밀 추), 移(옮길 이)
일이나 형편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하여 나감. 또는 그런 경향.
용례:
- 사건의 추이를 살피다.
- 사태의 추이가 주목된다.
- 노조는 협상의 추이에 따라 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 시민들은 보부상 부대와 만민 공동회 사이의 싸움의 추이를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너무나 짧은 순간에 일어난 일이라서 종대는 사태의 추이를 짐작할 수 없었다.≪최인호, 지구인≫
22. 행이 (行移) [행이]
한자: 行(다닐 행(:)), 移(옮길 이)
관청에서 문서를 발송하여 조회(照會)함.
23. 회이 (回移) [회이]
한자: 回(돌아올 회), 移(옮길 이)
중국 한대(漢代)의 공문서 가운데 같은 등급의 관아 사이에 주고받던 공문서. 때로는 격(檄)과 더불어 포고문의 성격을 띠기도 하였다.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