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귀일 (歸一) [귀:일]
한자: 歸(돌아갈 귀:), 一(한 일)
「1」여러 갈래로 나뉘거나 갈린 것이 하나로 합쳐짐.
「2」여러 가지 현상이 한 가지 결말이나 결과로 돌아감.
2. 균일 (均一) [규닐]
한자: 均(고를 균), 一(한 일)
한결같이 고름.
용례:
- 균일 판매.
- 입장 요금은 대인 팔십 원, 소인 사십 원을 받고 있었다.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대인 사십 원이 균일이었다.≪황석영, 어둠의 자식들≫
3. 남북통일 (南北統一) [남북통:일]
한자: 南(남녘 남), 北(북녘 북), 統(거느릴 통:), 一(한 일)
남측과 북측으로 갈려 있는 우리 국토와 우리 겨레가 하나로 되는 일.
용례:
- 온 국민이 평화적인 남북통일을 기원한다.
- 실향민들은 남북통일이 이루어질 날만을 기다리며 살아간다.
4. 다대일 (多對一) [다대일]
한자: 多(많을 다), 對(대할 대:), 一(한 일)
양쪽 가운데 여럿인 어느 한쪽이 하나인 나머지 한쪽을 상대하는 일.
용례:
우리는 지원군이 올 때까지 다대일로 맞서 싸우기로 결의했다.
5. 단일 (單一) [다닐]
한자: 單(홑 단), 一(한 일)
「1」단 하나로 되어 있음.
「2」다른 것이 섞여 있지 않음.
「3」복잡하지 않음.
용례:
- 「1」단일 상품.
- 「1」단일 후보.
- 「1」우리 공장은 단일 공장으로는 그 생산 규모가 세계 최대를 자랑한다.
- 「1」세계는 점차 단일의 통합 경제로 나아가고 있다.
- 「1」이 상점은 단일 품목만 판매한다.
- 「2」단일 수종으로 이루어진 삼림.
- 「2」이 물질은 단일 성분으로 되어 있다.
6. 동일 (同一) [동일]
한자: 同(한가지 동), 一(한 일)
「1」어떤 것과 비교하여 똑같음.
「2」각각 다른 것이 아니라 하나임.
용례:
- 「1」동일 규격.
- 「1」동일 상품.
- 「1」동일 수법.
- 「1」세계 어디서나 동일 수준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 「2」동일 인물.
- 「2」동일 문화권.
- 「2」두 회사는 동일 날짜에 입사 시험을 치게 되어 있어서 많은 응시자들이 둘 중 하나만을 택해야 했다.
- 「2」동일 사건에 대한 두 사람의 해석은 달랐다.
7. 만일 (萬一) [마:닐]
한자: 萬(일만 만:), 一(한 일)
[Ⅰ]「1」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뜻밖의 경우.
[Ⅰ]「2」만 가운데 하나 정도로 아주 적은 양.
[Ⅱ]혹시 있을지도 모르는 뜻밖의 경우에.
용례:
- [Ⅰ]「1」만일의 경우.
- [Ⅰ]「1」만일을 대비하여 비상 약을 챙기다.
- [Ⅰ]「1」만일을 모르니 사전에 잘 준비해 둬라.
- [Ⅰ]「1」만일에 잘못되는 일이 있다 해도 숙부님이 없이는 무슨 일이든 처리될 것 같지가 않았다.≪정한숙, 고가≫
- [Ⅰ]「2」은혜에 만일의 보답도 못 하였다.
- [Ⅱ]만일 밝은 데서 본다고 하면 그의 입술은 파랗게 질렸을 것이다.≪이광수, 흙≫
8. 불균일 (不均一) [불규닐]
한자: 不(아닐 불), 均(고를 균), 一(한 일)
‘불균일하다’
(일정하게 고르지 아니하다.)의 어근.
9. 불일 (不一) [부릴]
한자: 不(아닐 불), 一(한 일)
「1」의견이나 생각 따위가 서로 어긋나서 꼭 맞지 아니함.
「2」한결같이 고르지 아니함.
「3」일일이 다 갖추어 말하지 못하였다는 뜻으로, 한문 투의 편지 끝에 쓰는 말.
10. 불통일 (不統一) [불통일]
한자: 不(아닐 불), 統(거느릴 통:), 一(한 일)
통일이 되지 아니함.
용례:
- 제도의 불통일은 국민에게 불편을 초래한다.
- 남북한 언어의 불통일에서 우리는 언어 이질화 현상을 포착할 수 있다.
- 논리의 불통일이 논문의 이론 전개에서 혼란을 가져올 수 있다.
11. 삼일 (三一) [사밀]
한자: 三(석 삼), 一(한 일)
「1」세 가지의 것이 하나의 목적을 위하여 통합되는 일.
「2」천지(天地)의 세 신(神). 천일(天一), 지일(地一), 태일(泰一)을 이른다.
「3」도가(道家)에서,
정(精)·신(神)·기(氣)의 셋이 섞여 하나가 된 허무의 도(道)를 이르는 말.
12. 성일 (誠一) [성일]
한자: 誠(정성 성), 一(한 일)
‘성일하다’
(정성스러움이 한결같다.)의 어근.
13. 소일 (小一) [소:일]
한자: 小(작을 소:), 一(한 일)
아주 하찮고 작음.
14. 소일 (素一) [소:일]
한자: 素(본디/흴[白] 소(:)), 一(한 일)
조금도 섞임이나 꾸밈이 없음.
15. 수일 (隨一) [수일]
한자: 隨(따를 수), 一(한 일)
여럿 가운데서 첫째.
16. 순일 (純一) [수닐]
한자: 純(순수할 순), 一(한 일)
다른 것이 섞이지 않고 순수함.
17. 안전제일 (安全第一) [안전제:일]
한자: 安(편안 안), 全(온전 전), 第(차례 제:), 一(한 일)
어떤 일에 실패나 위험이 없도록, 조심하여 안전을 기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여김.
용례:
우리 공사 현장은 안전제일을 표어로 삼고 있다.
18. 여일 (如一) [여일]
한자: 如(같을 여), 一(한 일)
‘여일하다’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다.)의 어근.
19. 유일 (唯一) [유일]
한자: 唯(오직 유), 一(한 일)
오직 하나밖에 없음.
용례:
- 사건을 목격한 유일의 인물.
- 유일의 친구가 되다.
- 문학에 종사하는 것만이 인류 복지에 공헌하는 유일의 길이라고 생각지는 않으시는지.≪김남천, 등불≫
- 나는 내 부친에 관해서 아무런 지식도 관심도 감정도 갖고 있지 않다. ‘윤’이라는 내 성이 그로부터 물려받은 유일의 것이지만 세상에 흔한 성이라고 느낄 뿐이다.≪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20. 유일 (惟一) [유일]
한자: 惟(생각할 유), 一(한 일)
오직 하나밖에 없음.
용례:
- 사건을 목격한 유일의 인물.
- 유일의 친구가 되다.
- 문학에 종사하는 것만이 인류 복지에 공헌하는 유일의 길이라고 생각지는 않으시는지.≪김남천, 등불≫
- 나는 내 부친에 관해서 아무런 지식도 관심도 감정도 갖고 있지 않다. ‘윤’이라는 내 성이 그로부터 물려받은 유일의 것이지만 세상에 흔한 성이라고 느낄 뿐이다.≪강신재, 젊은 느티나무≫
21. 일대일 (一對一) [일때일]
한자: 一(한 일), 對(대할 대:), 一(한 일)
양쪽이 같은 비율이나 같은 권리로 상대함. 또는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상대함.
용례:
- 일대일로 맞서다.
- 일대일로 대응하다.
22. 재통일 (再統一) [재:통일]
한자: 再(두 재:), 統(거느릴 통:), 一(한 일)
다시 통일함.
용례:
현재 우리의 역사적 과제는 민족의 재통일에 있다.
23. 적화통일 (赤化統一) [저콰통:일]
한자: 赤(붉을 적), 化(될 화(:)), 統(거느릴 통:), 一(한 일)
공산주의로 이루어지는 통일.
용례:
베트남의 적화 통일.
24. 전일 (全一) [저닐]
한자: 全(온전 전), 一(한 일)
완전하거나 하나의 전체로서 통일을 이루고 있음. 또는 그런 것.
25. 전일 (專一) [저닐]
한자: 專(오로지 전), 一(한 일)
마음과 힘을 모아 오직 한 곳에만 씀.
26. 정일 (定一) [정:일]
한자: 定(정할 정:), 一(한 일)
‘정일하다’
(「1」어떤 것의 크기, 모양, 범위, 시간 따위가 하나로 정하여져 있다.
「2」어떤 것의 양, 성질, 상태, 계획 따위가 달라지지 아니하고 한결같다.
「3」전체적으로
흐름이나 절차가 규칙적이다.)의 어근.
27. 정일 (精一) [정일]
한자: 精(정할 정), 一(한 일)
‘정일하다’
(정세하고 한결같다.)의 어근.
28. 제일 (第一) [제:일]
한자: 第(차례 제:), 一(한 일)
[Ⅰ]여럿 가운데서 첫째가는 것.
[Ⅱ]여럿 가운데 가장.
용례:
- [Ⅰ]제일의 목표.
- [Ⅰ]감기에 걸렸을 때는 쉬는 게 제일이다.
- [Ⅰ]돈만 있으면 제일이냐?
- [Ⅰ]열심히 노력하여 세계 제일이 되겠다.
- [Ⅰ]뭐니 뭐니 해도 목숨이 제일이니까 딴생각은 집어치우고 살 도리를 찾아야 한다.≪장용학, 원형의 전설≫
- [Ⅱ]세상에서 제일 무서운 이야기.
- [Ⅱ]나는 과일 중에 사과를 제일 좋아한다.
29. 제일 (齊一) [제일]
한자: 齊(가지런할 제), 一(한 일)
똑같이 가지런함.
30. 주일 (主一) [주일]
한자: 主(임금/주인 주), 一(한 일)
정신을 한곳으로 모아 온전하게 함.
31. 집일 (執一) [지빌]
한자: 執(잡을 집), 一(한 일)
「1」한 가지 일만을 지키고 그것에 매달림.
「2」하늘의 이치를 앎.
32. 천하일 (天下一) [천하일]
한자: 天(하늘 천), 下(아래 하:), 一(한 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가장 뛰어난 것.
33. 천하제일 (天下第一) [천하제:일]
한자: 天(하늘 천), 下(아래 하:), 第(차례 제:), 一(한 일)
세상에 견줄 만한 것이 없이 최고임.
용례:
그놈이 낳은 계집, 그러니까 내 정실인데, 그 계집은 탐욕이 천하제일이요, 표독스럽기가 살쾡이 저리 나앉으라….≪박경리, 토지≫
34. 총일 (總一) [총:일]
한자: 總(다[皆] 총:), 一(한 일)
「1」모두 뭉쳐서 하나가 됨.
「2」전체 가운데 으뜸가는 것.
35. 축일 (逐一) [추길]
한자: 逐(쫓을 축), 一(한 일)
[Ⅰ]하나하나 쫓음.
[Ⅱ]빼지 않고 하나씩 하나씩.
36. 택일 (擇一) [태길]
한자: 擇(가릴 택), 一(한 일)
여럿 가운데에서 하나를 고름.
용례:
파견지는 미국, 영국, 프랑스 가운데 택일을 해야 합니다.
37. 통일 (統一) [통:일]
한자: 統(거느릴 통:), 一(한 일)
「1」나누어진 것들을 합쳐서 하나의 조직·체계 아래로 모이게 함.
「2」여러 요소를 서로 같거나 일치되게 맞춤.
「3」여러 가지 잡념을 버리고 마음을 한곳으로 모음.
「4」다양한 부분을
제시하면서 하나로도 파악되는 관계. 종합과 전체라는 개념이 뒤따른다.
용례:
- 「1」통일 전쟁.
- 「1」신라의 삼국 통일.
- 「1」남북은 반드시 통일이 되어야 한다.
- 「1」베를린 장벽 철거 전 서독에는 수백 개에 이르는 통일 관계 연구 단체가 있었다고 한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 「2」의견의 통일.
- 「2」복장의 통일.
- 「2」영화나 연극도 오케스트라처럼 전체적인 조화와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 「3」정신의 통일.
38. 평화통일 (平和統一) [평화통:일]
한자: 平(평평할 평), 和(화할 화), 統(거느릴 통:), 一(한 일)
전쟁에 의하지 아니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이루는 통일.
용례:
- 남북의 평화 통일.
- 평화 통일 방안.
- 우리는 온 민족의 단합된 힘으로 조국의 자주적 평화 통일을 기어이 실현해야 한다.
39. 합일 (合一) [하빌]
한자: 合(합할 합), 一(한 일)
둘 이상이 합하여 하나가 됨. 또는 그렇게 만듦.
용례:
- 국론의 합일.
- 이론과 실제의 합일.
40. 혼일 (混一) [호:닐]
한자: 混(섞을 혼:), 一(한 일)
한데 섞어서 하나로 만듦.
41. 획일 (劃一) [회길]
한자: 劃(그을 획), 一(한 일)
‘획일하다’
(「1」모두가 한결같아서 변함이 없다.
「2」줄을 친 듯 가지런하다.)의 어근.
출처 정보
- 훈음 출처: 한국어문회
https://www.hanja.re.kr - 자료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
댓글 쓰기